자동차 업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전기차는 리튬-이온 배터리가 가장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많은 조사 기관 메이커들이 배터리의 비용과 관련된 전망을 내놓고 있기도 하다. 배터리의 비용이 하락해야 전기차의 대중화가 가능하다는 게 중론이다. 최근 미국 DoE(Department of Energy)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와 전기차용 배터리의 비용을 예상해 발표했다.

전기차용 배터리 개발은 이제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직 개발의 여지가 많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생각보다 빠르게 비용이 감소하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작년 DoE는 항속 거리 160km 기준으로 배터리 비용을 3만 3천 달러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배터리 비용은 2015년 1만 달러까지 떨어지고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2021년에는 5천 달러, 2030년에는 3천 달러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리고 2020년 이후에는 배터리 팩의 무게도 55kg까지 떨어진다. 현재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팩의 무게는 330kg 내외이다.

DoE는 다양한 투자를 통해 배터리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것이라는 희망적인 전망을 내놨다. 미국 정부는 2015년까지 전기차 50만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규 고용 효과도 낳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친환경차 기술에 투자되는 금액만 120억 달러에 이른다. 이 투자에는 30개에 이르는 전기차 배터리와 관련 부품 생산 라인, 필드 테스트 등이 포함돼 있다. 그리고 닛산과 테슬라, 피스커 등의 메이커에게는 공장과 기술 개발을 위한 지원도 하고 있다.

30개 생산 라인 중 26개는 이미 준공에 들어갔고 이중 9개가 배터리 프로젝트이다. 미시건에만 3개의 배터리 공장이 세워지고 배터리 관련 부품 공장만 11개이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생산 용량을 늘려 나갈 계획이다. 이런 계획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경우 2012년 말에는 최소 20만대의 전기차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된다. 그리고 2013년 말에는 미 전역에 2만개의 충전 스테이션이 설치된다.

플루이딕 에너지라는 회사는 메탈 에어 배터리 개발에 5백만 달러를 지원받고 있다. 메탈 에어는 현재 주목받고 있는 리튬-이온 보다 에너지 집적도는 10배가 높지만 코스트는 30%에 불과하다. 메탈 에어의 개발에는 아리조나 주립 대학도 참여하고 있다.

작년까지 미국에는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이 2개 뿐이었다. 그리고 글로벌 점유율도 2%가 채 되지 않았다. 하지만 적극적인 투자를 앞세워 전기차용 배터리 개발과 생산에서도 앞서가겠다는 계획이다. 2015년에 이르면 이 비율은 40%까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역시나 가장 큰 문제는 배터리의 비용 감소이다.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는 너무 비싸고 무거워 상용화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DoE에 따르면 항속 거리를 160km로 잡았을 때 배터리의 비용은 3만 3천 달러 이상으로 책정된다. 하지만 2013년에는 배터리 비용이 1만 6천 달러까지 떨어지며 2015년에는 현재 보다 70%가 감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예상이 맞게 되면 현재 2만 5천~3만 5천 달러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 볼트 및 리프의 차량 가격이 큰 폭으로 인하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