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거의 매일 눈팅만 하는 회원입니다.
제목대로 게이지를 장착하려고 합니다.
차량은 mk5 gti(tsi)입니다.
현재 차에는 데x VSD-X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여기 질문글 중에 데X관련 글 보니까. VSD-X에 디스 플레이어(수온, 유온 나오는 것)와 게이지 하나를
연결 할수 있게 나와있었습니다. 이게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일단 부스터압을 보고 싶어서 주변 샾에(인터넷에서 찾아보고) 문의를 해 봤는데 제가 사는 곳이 경남 통영쪽입니다.
부스터게이지 작업은 가능한데. 유온, 유압, 배기온등은 곤란하다란 답변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데피 게이지 컨트롤러 달고 게이지를 하나 다느니 기계식 게이지를 설치 하라고 하십니다. (아펙X 로요)
맞는말 같은데. 기계식 게이지와 전자식 게이지의 차이점이 무엇인지도.. (사실 아는게 거의 없네요..)
또한 아는 게이지가 데X밖에 없었는데.. 아펙X도 같은 일제라고 좋다고 하시더군요..
수도권에 있으면 이름 있는 샾가서 조언 구하고 바로 장착 하겠지만. 요즘 바빠서 올라가기도 힘들어서 근처에서
해결하려고 하니. 왠지 좀 불안 하네요..
글이 장황한데...
질문 내용은
1. 데X VSD-X에 유온 수온등 나오는 디스플레이어(하이패스 만한거) 와 게이지를 장착할수 있는지??
2. 게이지 종류중 내구성과 정확성을 겸비한 제품 추천.
3. 게이지에서 기계식과 전자식의 차이점.
4. 경남 통영, 거제, 창원,진주,사천 등지에 경험 많은 샾 추천 (곤란하시면 쪽지로.)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아 답변 감사합니다. ^^
다이어 게이지도 알아 봐야겠군요... 현재 STAGE 1 + 배기 상태여서.. 추후에 STAGE 2 혹은 그 이상까지
고려해 보려고 했는데.. 역시 한걸음씩 차례차례 가는 것도 나쁘지 않겠네요....
좋은 주말 보내세요.

저의 경우는 연료압 제외한 Defi 풀 게이지에 링크디스플레이(하이패스만한거...라고하신) 장착하고 있습니다.(게이지:부스트,배기온,유압 / 링크디스플레이:수온,유온)
먼저, Defi 를 100% 활용하시기 위해선 컨트롤유닛은 필수입니다(워닝알람,레코딩,피크값기록). 추가 업글까지 고려하신다면.. 여유있으실때 장만하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그리고 VSD-X를 이미 가지고 계신다고 하셨는데.. 컨트롤유닛 없이 VSD-X만 HUD 기능으로 다신건진 확실하지 않지만.. 컨트롤유닛없는 Defi는 앙꼬없는 찐빵이랑 다름없습니다.
사실.. 게이지란게.. 없을땐 꼭 필요한 놈이라 생각되서 거금들여서 세팅해놓지만,, 좀 익숙해지면 고속크루징이나 집중해서 운전할때나 경치보며 운전할때.. 거의 보지 않는다는 겁니다. ^^; 각 센서의 임계값을 미리 세팅해놓기 때문에.. 임계값에 도달하면 워닝알람 듣고 해당 부분 확인을 주로하구요.. 아이들 상태시 게이지 변화로 차량상태점검에도 유용합니다.(아이들시 부스트 게이지가 마이너스 0.6~0.8 사이에서 불안정하게 움직인네... 서지쪽이나 쓰로틀쪽에 문제가 있나??? 수온 90도에 오일온 70도인데 오일압이 1이하네... 엔진오일 맛간건가??? 와 같은...)
저같은 경우.. 애프터마켓에서 터보작업을 한 후 몇가지 트러블들을 겪으면서 결국 게이지작업을 하였는데.. 장애(?) 예방차원에서도 좋지만.. 차에대해서 많은 공부를 할 수 있어서 더 좋았습니다.(이상태에서 저녀석은 왜 저값인가..라든가, 같은 코스를 비슷한 타임으로 끊는데.. 어떨땐 배기온 변화가 심하고.. 어떨땐 안정적인군... 차에 무리없이 타려면.. 이렇게 하는게 낳은건가?? 등등.)
그리고.. 센서를 다는게.. 여간 까다로운게 아닙니다. 배기온 센서의 경우 터빈 앞에 장착하느냐..뒤에 장착하느냐.. 센서를 어느정도 깊이로 박느냐에 따라 기준값이 달라지고, 작업도가 낮을경우 작업 후 매니크랙도 발생할 여지도 있습니다. 오일온 센서도.. 헤드에 박느냐, 쿨러블라킷에 박느냐, 오일팬에 박느냐에 따라 기준값이 달라집니다. 특히, 각 차량별 구조적인 특성상 센서 장착지점이 달라질 수도 있기 때문에...쉽게 판단하고 장착했다가 후에 많은 고생을 겪을실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까운 샾에서 적당히 장착하시기 보단, GTI 를 잘 알고 Defi 게이지 세팅 경험이 풍부한 샾에서 작업을 하시는게 최선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두서없이 긴 글이 되어버렸습니다만.. 좋은 판단 하셔서 즐거운 드라이빙 하시길 빕니다
저의 경우에는 엔진룸에 잡다구리하게 센서박고 배선 연결하는 것이 싫어서 OBD2 단자를 이용한 다이어게이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배기온과 유압은 체크가 안된다는 것이 아쉽지만 점화시기, 냉각수온,유온,부스트압 등이 한 화면에서 체크되기 때문에 담배갑보다 약간 작은 모니터만 장착하면 되고 가격도 데피게이지 콘트롤러와 센서/게이지 다 구비했을 때의 반의 반도 안되니까 저렴합니다.
배기온은 순정터보라면 특별히 신경쓰지 않아도 될 문제이고 유압 역시 과격한 주행에서는 유온으로 일정수준 모니터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엔진오일팬이 구멍나서 갑자기 오일이 하나도 없어진다던지 엔진의 수명이 다했다던지 했을 때 파악이 가능하겠지만 그것을 체크하기 위해 오일압력센서 어댑터를 장착하고 다니다가 그 어댑터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웬만한 모니터링은 다이어게이지로도 충분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