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달력 그림 마치느라 정신없었던 것이 얼마 전이었던 것 같은데 벌써 3월 후반이로군요.
내년도 달력에 쓸 그림을 아직 하나도 마치지 못해서 벌써 걱정이 되고 있습니다. 시간이 정말 빠르게 지나가네요.
3월 25~26일에는 올시즌 첫 레이스가 캘리포니아의 어윈데일에서 열립니다.
예전에 화제가 되기도 했던 벨로스터 랠리크로스카의 데뷔전이죠.
3월 25일 금요일과 26일 토요일 이틀간 열리는데요, 장소는 어윈데일의 도요타 스피드웨이
(Toyota Speedway at Irwindale)입니다. 예전에는 3월 36~27일이라고 발표되었는데 토,일요일 대신
금,토요일(3/25~26)로 변경되었네요.
랠리크로스는 작년에 미국에 상륙한 모터스포츠 종목입니다. 유럽 각지, 특히 영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종목이지요.
여러가지 스포츠에서 미국은 다른 나라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요, 자동차 경주도 마찬가지입니다.
미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모터스포츠라면 나스카와 드래그레이스를 꼽을 수 있고 유럽같은 방식의 투어링카 레이스나
F1등은 보편적인 인기를 끌고 있지는 못합니다. 랠리는 철저히 비인기 종목이었죠.
차 세워놓고 한참을 걸어들어가서 한참의 시간차이를 두고 차가 한대씩 먼지날리며 달리는 것을 직접 관전하러 가는
사람들도 많지 않았고 TV중계도 한정되어 있다보니 노출도 적어 스폰서들도 홍보효과를 크게 누리지 못했습니다.
전미 랠리 선수권전은원래 SCCA에서 주관했었습니다. SCCA는 랠리에서 시간 계측을 비롯해 다양한 실무를 맡고 있던
랠리 아메리카에게 2005년에 전미 랠리 선수권전을 넘겼습니다.
미국에서 오랫동안 비인기 종목이던 랠리는 2006년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로스엔젤레스에서 열린 X Games 12에서 랠리 덕분이었죠.
스테디움에서 특설 경기장을 마련하여 펼치는 수퍼 스페셜 스테이지 형식으로 열린 X게임 랠리는 미국내에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지난해에는 X게임에 수퍼 스페셜 스테이지와는 달리 여러대가 동시에 출발하여 순위를
겨루는 랠리 레이스가 처음으로 채택되었습니다. 2010 한해동안 뉴저지 모터스포츠 파크에서는 US 랠리크로스가
3회 개최되었죠. 랠리를 트랙레이스에 접목시킨 랠리크로스는 지난해미국에 처음 도입되었지만 본격적으로 열리는
것은 올해부터입니다.
<iframe title="YouTube video player" height="390" src="http://www.youtube.com/embed/hbC9x7Dr8dA" frameborder="0" width="640" allowfullscreen></iframe>
언론노출도 거의 없었던 지난해와는 달리 이번 시즌에는 ESPN과 ESPN2를 통한 방송도 이루어지게 되지요.
공식적인 대회명칭은 U.S. Rallycross가 아니라 Global Rallycross Championship입니다.
랠리크로스는 드리프트와 점프 등 랠리의 요소와 함께 순위다툼 및 포지션 방어위한 치열한 몸싸움 등 관전재미가 큰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현대, 포드, 그리고 스바루가 팩토리팀 내지는 메이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팀으로 출전을 합니다.
작년도 랠리크로스의 경우에는 프라이비터의 미쓰비시 란에보를 비롯해 미국에서 철수한 시트로엥, 미국에 진출조차
하지 않은 스코다도 볼 수 있었습니다. 저희 팀에서는 AWD 클래스에 벨로스터를 2대 투입합니다.
한대는 팀 오너인 리스 밀란이 운전을 하고 다른 한 대는 영국 랠리 챔피언을 5회나 획득한 마커스 도드가 스티어링을
잡습니다. WRC 챔피언이었던 마커스 그론홀름도 이번 랠리크로스에 포드 피에스타로 출전을 합니다.
태너 파우스트도 작년과 마찬가지로 포드 피에스타로, 데이브 미라는 스바루 STi로 출전을 합니다.
LA 인근에 계시는 분들은 구경오세요.

푸하하...이런 헤프닝이.....벨로스터 렐리카는 베르나WRC라는 내용을 글을 올렸다가 완전 심하게 뒷북인것을 알고 내렸습니다. 권규혁님의 글을 빼놓지 않고 다 봤는데...이전에 올리신 글에서 벨로스터 렐리카로 만들기 위한 기본 베이스 차량에대한 정확안 언급이 없으셔서 그부분에 대해서 얘기를 했는데...이미 추후에 달린 리플들에서 자세하게 다 설명을 해주셨더군요....그런 이유로....제 글은 바로 내렸습니다. 규혁님께서 못보셨어야 할텐데요....ㅎㅎㅎ
요즘 국내에 현대차를 비판하는글이 많습니다
레이싱카로 제작되는 현대차들을 많이 보셨으니
현대 차의 장점이나 포텐셜 등에 대해 짧게나마
좋은 글을 부탁드려도 될런지요?
바쁘실텐데 어려운 부탁인것 같아
죄송합니다
나중에 라도 시간 되신다면 제 궁금증과
관심 해결 부탁드립니다^^

현대차가 기술적인 면이나 품질에서 상당히 발전한 것은 사실입니다. 주변의 저널리스트들이 제게 한국차의 발전이 놀랍다고 얘기하기 시작한 것은 약 10년정도 전부터였습니다. 그냥 제가 한국인이라고 해서 입바른 소리로 립서비스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눈빛과 말투에서 진정성이 느껴지는 칭찬이었죠. 현재 리스도 현대가 스폰서여서가 아니라 사석에서 차 이야기를 할 때도 현대의 발전에 대해 정말 높게 평가하고 있죠. 그뿐만 아니라 최근에 만난 드라이빙 스쿨 인스트럭터도 현대차의 각종 이벤트에 프로페셔널 드라이버로 일을 했는데 핸들링과 성능에서 감탄했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현대 자동차는 장점도 포텐셜도 많은 회사입니다. 하지만 요즘 현대와 기아가 비판을 받는 이유는 차의 성능이나 품질, 완성도 때문이 아니라고 봅니다. 하드웨어적인 면에서는 많이 발전했지만 A/S를 비롯한 다른 부분에서 발생하는 문제들 때문에 비판을 받고 있는게 아닐까요? 최근 기아의 에어백 문제만 해도 고객들이 차를 산 뒤 포장지 뜯어보듯이 트림 탈거해서 에어백이 들어있는지 확인할 수도 없는 일이니 카탈로그와 영업사원 이야기 믿고 그 옵션패키지를 채택하고 그에 상응하는 가격을 지불한 것입니다. 사람의 일이니 실수가 있을수 있다고 해도 그 실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행동이 많은 것을 이야기하죠.
지금 현대 기아차가 가지고 있는 문제는 하드웨어적인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거창하게 얘기하자면 제조사가 자동차에 대한 어떤 뚜렷한 주관이나 철학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얘기까지 나오겠지만 일상적인 고객 입장에서는 영업사원과 서비스센터의 고객응대 태도와 처리방식 등 가까이서 느낄 수 있는 부분부터 문제겠지요.
아직 국내에서는 보기조차 힘든 차량인데, 벌써 분해까지 해보셨네요 +.+;;
벨로스터의 대뷔레이스인 만큼 성적도 기대되네요^^
드라이버를 보니 내심 상위권에 들어가라고 바래봅니다.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서 놀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