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지난 주말인 8월 18일 새벽 2시30분 스투트가르트를 향해 떠납니다. 540km거리를 4시간도 안되는 시간에 주파하는 것으로 이번 나홀로 여행이 시작되었습니다. 아내와 아기가 일본에 놀러간 틈을 타 그동안 미뤄왔던 자동차 관련 성지순례를 하기로 맘먹고 시간을 최대한 아끼기 위해 새벽에 출발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차에서 2시간 정도를 잔 후 오전 9시 문 열자마자 들어간 벤츠 박물관은 작년에 새로 오픈했고, 아주 볼거리가 많은 곳입니다. 3년전에 방문했을 때도 규모가 제법 컸는데, 이번에 새로 옮긴 곳은 디자인적으로나 구성으로보나 자동차 박물관 중에 최고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곳에서 4시간을 보냈는데, 아주 알찬 시간이었습니다.

포뮬러1 머신도 가까이서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기회도 있었습니다.

점심을 먹고 나서 방문한 포르쉐 박물관은 예나지금이나 구멍가게만한 작은 크기이지만 그래도 매니어라면 꼭 들러야하는 곳입니다. 역시 3년전에 방문했던 곳이고 별다른 변화는 없고 새로 크게 박물관을 짓고 있는 모습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포르쉐 공장 입구에 세워져있던 993

원래는 여기서 친구가 있는 뉘른베르그로 바로 갈 예정이었는데, 온김에 아우디 본사가 있는 잉골슈타트로 옮기기로 맘을 바꾸게 되었습니다. 포르쉐 공장에서 266km떨어져있었는데, 역시 2시간만에 주파했고, 박물관이 끝나기 1시간 15분전인 오후 4시 45분에 도착했습니다.

5년전에 방문했을 때와 비교해서 크게 달라진 것은 없고, 규모가 그리 크지 않기 때무넹 한시간반이면 충분히 자세하게 볼 수 있습니다. 사진은 콰트로의 우수성을 랠리를 통해 증명한 역사적 모델 스포츠 콰트로

잉골슈타트에서 박물관이 문을 닫는 오후 6시에 떠나 뉘른베르그로 또다시 100km를 달렸으니 하루동안 1000km를 달린 셈이지요.
하루에 세곳의 자동차 관련 박물관을 관람하는 것이 큰 무리가 없었고, 도로 상황이 받쳐준 것이 금쪽같은 이동시간을 엄청나게 줄여주었습니다.
친구와 만나 한식 뷔페에서 영양보충을 한 후 시내에서 맥주한잔하고 돌아와 자고, 다음날 아침에 테니스를 두시간 아주 찐하게 친 후 점심먹고, 뉘른베르그의 중고차 전시장 몇군데 둘러보고 집으로 향하게 됩니다.
460km를 달려야하는 상황에서 베를린에 있는 친구한테 전화가 와서 다시 기수를 베를린으로 돌리게 되고 뉘른베르그에서 470km를 달려 베를린에 도착한 후 저녁을 먹고 Wolfsburg로 향하는데, 또다시 230km를 달려야 했습니다.
한시간 반만에 230km를 주파한 후 집에 돌아오니 머리가 띵하면서 무지 어지럽더군요.
어제 약간 피곤한 기색이 있었지만 화요일인 오늘은 컨디션을 회복했습니다.
이번 여행으로 나홀로 자동차 성지 순례는 마무리 되었고, 지난 8월 5일 시작한 주말여행은 무사히 마무리되었습니다.
1. 호켄하임 드리프트 스쿨
2. 뉘르부르그링 서킷 주행
3. 각종 자동차 박물관
15일 동안 주말에만 달린 거리가 4000km나 됩니다.
새벽에 달릴 때는 파삿 바리안트로 크루징 세팅할 수 있는 최고속인 210km/h로만 달렸고, 아우토반 평균속도 180km/h를 기록할 정도로 시원하게 원없이 달렸습니다.
새벽뿐만 아니라 아우토반에서도 달릴 수 있는 풀스피드를 계속 유지했고, 최악의 주행상황에서 파삿의 연비는 11.5km/리터 이하로 떨어지지 않은 점이 아주 만족스러웠습니다.
R32나 RS2가 최고속은 훨씬 빠르지만 이 두차는 풀스피드로 달리면 2시간마다 주유를 해야한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파삿은 하루에 750km이상을 한탱크로 무주유로 달릴 수 있다는 것은 아주 큰 혜택입니다.
젊음은 이래서 좋고, 젊은시간 도로에서 불사른 시간은 평생 기억에 남을 좋은 추억이 될 것입니다.
-testkwon-
2007.08.22 07:18:03 (*.248.120.73)

젊음은 이래서 좋고... 저 역시 1500마일 이내의 거리는 자동차를 고집합니다. 혼자서 누비는 기분은 정말 말로 형언할 수 없죠. 특히 경찰의 눈을 피해서;;;;
2007.08.22 07:52:43 (*.206.228.60)
대단하십니다.....
저는 왕년에는 부산-서울쯤 거리는 생리적 문제가 아닌 이상 논스톱으로 100km/h
정속주행을 할 수 있는 체력을 가졌었는데....
요새는 힘듭니다. 도저히 졸려서 휴게소에서 한 숨 자야지 주파가 가능합니다.
최고기록은 겨울에 히터 껐다가 켰다가 하면서 한 휴게소에서 12시간연속으로
잔 적도 있습니다.T_T
밤 12시 쯤에 휴게소 들어가서 한 숨자고 일어나보니 다음날 정오였습니다.
벌써부터 이러면 안되는데....ㅋㅋ
저는 왕년에는 부산-서울쯤 거리는 생리적 문제가 아닌 이상 논스톱으로 100km/h
정속주행을 할 수 있는 체력을 가졌었는데....
요새는 힘듭니다. 도저히 졸려서 휴게소에서 한 숨 자야지 주파가 가능합니다.
최고기록은 겨울에 히터 껐다가 켰다가 하면서 한 휴게소에서 12시간연속으로
잔 적도 있습니다.T_T
밤 12시 쯤에 휴게소 들어가서 한 숨자고 일어나보니 다음날 정오였습니다.
벌써부터 이러면 안되는데....ㅋㅋ
2007.08.22 09:46:25 (*.87.60.117)

대단한 체력이십니다.
요즘 정속주행은 졸음과의 싸움이 되다보니, 장거리가 점점 두려워지고있는데...
그래도, 젊음은 이래서 좋다는거 충분히 공감~
요즘 정속주행은 졸음과의 싸움이 되다보니, 장거리가 점점 두려워지고있는데...
그래도, 젊음은 이래서 좋다는거 충분히 공감~
2007.08.22 11:47:47 (*.212.224.16)

예전에는 진짜, 새벽에 일찍 부산 내려가서 바다한번 보고 그날 오후 바로 올라오기도 했는데..
요새는 꿈도못꿉니다.. 그랬다간 거의 반 죽음 되죠. 예전에 비해 엄청나게 인상된 기름값도 부담되지만, 그렇게 달리고 나면 최소 하루는 시체모드가 된다는게..ㅎㅎ 밤에 출발해 강릉찍고 오는것도 부담되더군요.
요새는 꿈도못꿉니다.. 그랬다간 거의 반 죽음 되죠. 예전에 비해 엄청나게 인상된 기름값도 부담되지만, 그렇게 달리고 나면 최소 하루는 시체모드가 된다는게..ㅎㅎ 밤에 출발해 강릉찍고 오는것도 부담되더군요.
2007.08.22 11:49:49 (*.49.30.15)

크루즈 콘트롤이 있으면 확실히 장거리 주행에 부담이 덜 되는 것 같습니다..크루즈 컨트롤 없는 차로 고속 정속 주행하면 발에서 쥐가 나서 국도로 같은 거리를 달리는 것이 발목에는 훨씬 덜 부담이 가더군요...시간은 좀 더 걸려도..
2007.08.22 11:53:21 (*.145.162.179)

이제 그 체력도 꺾일 나이가 좀 넘었는데... ㅋㅋㅋ 술 담배를 안해서 유지가 되는 건지.. ㅎㅎ 차를 좋아해서 그러는 건지 모르겠군요. ㅎㅎ
2007.08.22 12:53:33 (*.236.194.24)

90km,100km 저속 정속주행보다는 180km이상의 고속 크루징이 훨씬 낫죠!
졸리지도 않고 집중력도 생기고..ㅋㅋ
다만 기름을 훨씬 많이 써야 된다는게 흠이긴 흠이지요!
그런면에서 파삿디젤 대단하네요^^
졸리지도 않고 집중력도 생기고..ㅋㅋ
다만 기름을 훨씬 많이 써야 된다는게 흠이긴 흠이지요!
그런면에서 파삿디젤 대단하네요^^
2007.08.22 12:58:33 (*.66.178.98)
아.. 저도 몇달전 새로 차를받아 너무 기쁜나머지 1박2일간 드라이브를 떠나 2000키로를 달린적이 있죠. 이젠 안할랍니다 ㅎㅎ
2007.08.22 14:43:26 (*.229.109.2)

빠른속도로 달리기에 가능한 거리입니다.
울나라 도로상황에선, 정속중에 졸려서 어려울 듯 싶군요.^^
꼭..젊어서 가능한게 아닌것은..마라톤이나 다카르랠리등, 고도의 인내력과 집중력을 요하는 스포츠 선수나 레이서는, 30~40 대 이상이 많다는 것이죠. 클럽의 젊은 친구들이랑 함께 놀아보거나 술마셔보면, 새벽 서너시도 안돼서 픽픽 쓰러지지요. 제 나이에도 삼사일 정도는 밤새 술마시고.. 낮에 종일 운전하고 버틸 수 있는 용량이 된답니다.
중요한건.. 능숙한 드라이버일수록 체력안배와, 집중력을 돕는 순간순간의 동기부여에도 능숙하다는 사실이지요. 언제 기회가 되면 꼭~ 유럽이건, 한국이건.. 권영주님이랑 장거리 투어드라이빙 함 같이하고 싶네요. 배짱이 잘~ 맞을 듯. ㅎㅎ
울나라 도로상황에선, 정속중에 졸려서 어려울 듯 싶군요.^^
꼭..젊어서 가능한게 아닌것은..마라톤이나 다카르랠리등, 고도의 인내력과 집중력을 요하는 스포츠 선수나 레이서는, 30~40 대 이상이 많다는 것이죠. 클럽의 젊은 친구들이랑 함께 놀아보거나 술마셔보면, 새벽 서너시도 안돼서 픽픽 쓰러지지요. 제 나이에도 삼사일 정도는 밤새 술마시고.. 낮에 종일 운전하고 버틸 수 있는 용량이 된답니다.
중요한건.. 능숙한 드라이버일수록 체력안배와, 집중력을 돕는 순간순간의 동기부여에도 능숙하다는 사실이지요. 언제 기회가 되면 꼭~ 유럽이건, 한국이건.. 권영주님이랑 장거리 투어드라이빙 함 같이하고 싶네요. 배짱이 잘~ 맞을 듯. ㅎㅎ
2007.08.22 16:24:06 (*.210.124.68)

저도 이번 주말에 호주 멜버른이라는 도시에 친구를 보러 가면서 제 R34 GTR 로 3일동안 3000키로를 뛰었네요. 다만 제 차의 연비는 65리터 기름탱크에 400키로를 뛰는 리터당 6키로라는 어이없는 연비가 나오더군요...
위에, 이익렬님, 나중에 꼭 Gumball 3000 같은거 참여를 하셔야겠네요. 밤새 파티하고 낮에 종일 운전하는! :)
위에, 이익렬님, 나중에 꼭 Gumball 3000 같은거 참여를 하셔야겠네요. 밤새 파티하고 낮에 종일 운전하는! :)
2007.08.22 19:15:19 (*.180.44.177)
새벽 2시라.. 권영주님은 정말 부지런하시네요.
파샷 디젤은 예전에.. 놀라운 연비때문에 어느 잡지에서 본것이 기억에 남는데요..
시속 100km보다 어느정도 그 이상으로 달렸을때의 연비가 더 좋다는 글을 본적이 있습니다.
파샷트 연비 놀랍네요. ㅋㅋ
저는 익렬님께 철인 3종경기 추천해드리고 싶어요.
제 꿈이 그러하기도 하지만.. 요..
파샷 디젤은 예전에.. 놀라운 연비때문에 어느 잡지에서 본것이 기억에 남는데요..
시속 100km보다 어느정도 그 이상으로 달렸을때의 연비가 더 좋다는 글을 본적이 있습니다.
파샷트 연비 놀랍네요. ㅋㅋ
저는 익렬님께 철인 3종경기 추천해드리고 싶어요.
제 꿈이 그러하기도 하지만.. 요..
2007.08.22 20:01:26 (*.144.76.77)

독일도 기름값이 만만치 않다고 하던데 연비가 도와주더라도 기름값 좀 드셨겠어요 ^^ 정말 요즘은 기름값 무서워서 좋아하는 드라이빙도 무서워지려고 합니다
2007.08.22 21:47:50 (*.39.32.74)

세 박물관을 하루에 돌아보시다니.. 열정과 체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벤츠박물관은 자동차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강추 박물관이지요.
포르쉐 박물관은 작지만 알찬 매운고추 박물관..
반면에 BMW 박물관은 시대에 상대적으로 빈약한 전시물, 뒤떨어진 영상과 음향효과들로 실망이 가득했던 기억이 나네요.
3년전 신축중이었는데 지금은 어떻게 멋지게 변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오랜만에 추억을 되돌아보게 하네요. 사진 잘 보았습니다.^^
벤츠박물관은 자동차의 역사를 한눈에 볼수있는 강추 박물관이지요.
포르쉐 박물관은 작지만 알찬 매운고추 박물관..
반면에 BMW 박물관은 시대에 상대적으로 빈약한 전시물, 뒤떨어진 영상과 음향효과들로 실망이 가득했던 기억이 나네요.
3년전 신축중이었는데 지금은 어떻게 멋지게 변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오랜만에 추억을 되돌아보게 하네요. 사진 잘 보았습니다.^^
2007.08.22 23:09:40 (*.249.126.10)

벤츠 박물관은 정말 최고 지요 ^^ 차도 건물도 멋있지만, 동선설계가 아주 기억에 남았습니다.
bmw박물관은 1년전에도 신축중이었습니다ㅠ 컨테이너 박스 몇개 붙여 놓은 것 같은 건물에서 임시로 전시하고 있었는데... 그다지...
박물관 뒤편에 마련된 bmw미니카체험장(?)에서 미친 듯이 타고 놀았던게 더 기억에 남네요.
bmw박물관은 1년전에도 신축중이었습니다ㅠ 컨테이너 박스 몇개 붙여 놓은 것 같은 건물에서 임시로 전시하고 있었는데... 그다지...
박물관 뒤편에 마련된 bmw미니카체험장(?)에서 미친 듯이 타고 놀았던게 더 기억에 남네요.
2007.08.22 23:09:56 (*.114.62.65)

신축중인 BMW 박물관은 올해 8월중에 오픈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저도 BMW의 팬의 한사람으로서 가족들과 함께 방문할 예정입니다.
저도 BMW의 팬의 한사람으로서 가족들과 함께 방문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