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인제군과 KRF(Korea Racing Festival)가 기린면 일원에 자동차 테마파크 조성사업을 추진한다.
인제군은 최근 인제 오토테마파크 관광지 조성 민간투자사업의 최초 제안 내용을 알리고 제3자 제안 신청을 받기 위한 공고를 한 결과, KRF가 민간투자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KRF는 인제군과의 최종 협의를 통해 총 1,600억여원의 민자를 유치해 기린면 북리 일원에 F1, 챔프카, 슈퍼GT 등을 유치할 수 있는 국제 규모의 오토테마파크를 내년 7월 착공, 2009년말 완공할 계획이다.
오토테마파크에는 총 길이 4.13㎞의 국제 규격의 서킷과 1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관람석이 설치되며 오는 2010년 첫 국제대회를 유치한 이후 2013년부터 매년 국제대회 12회, 국내대회 21회씩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특급호텔과 콘도 등 숙박시설이 들어서게 되고 카트 경주장, 오토캠핑장, 모터스포츠 체험장, 교통 안전교육장, 가족공원 등이 마련된다.
인제군은 자동차 테마파크가 조성되면 지역내 소득 유발효과와 고용 효과 등 경제적 파급 효과가 높을 것으로 보
고 있으며 내·외국인 관광객 유치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출처:강원일보>
인제군은 최근 인제 오토테마파크 관광지 조성 민간투자사업의 최초 제안 내용을 알리고 제3자 제안 신청을 받기 위한 공고를 한 결과, KRF가 민간투자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KRF는 인제군과의 최종 협의를 통해 총 1,600억여원의 민자를 유치해 기린면 북리 일원에 F1, 챔프카, 슈퍼GT 등을 유치할 수 있는 국제 규모의 오토테마파크를 내년 7월 착공, 2009년말 완공할 계획이다.
오토테마파크에는 총 길이 4.13㎞의 국제 규격의 서킷과 1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관람석이 설치되며 오는 2010년 첫 국제대회를 유치한 이후 2013년부터 매년 국제대회 12회, 국내대회 21회씩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특급호텔과 콘도 등 숙박시설이 들어서게 되고 카트 경주장, 오토캠핑장, 모터스포츠 체험장, 교통 안전교육장, 가족공원 등이 마련된다.
인제군은 자동차 테마파크가 조성되면 지역내 소득 유발효과와 고용 효과 등 경제적 파급 효과가 높을 것으로 보
고 있으며 내·외국인 관광객 유치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출처:강원일보>
2007.08.23 09:12:04 (*.87.60.117)

카지노까지 있는 태백도 고전을 면치 못하는데, 걱정도 되고... 서킷이 많아진다는 측면에서는 기대도 되지만, 항상 결론은 지어져봐야 안다는거...
2007.08.23 12:15:22 (*.181.107.131)

예전 기사에서 부지는 인제군에서 제공하는거 같았었는데... 부지 비용 문제는 잘 모르겠군요.
안산 서킷 공사비가 100억 정도였으니 서킷은 충분히 만들수 있겠죠.
안산 서킷 공사비가 100억 정도였으니 서킷은 충분히 만들수 있겠죠.
2007.08.23 13:20:53 (*.227.22.57)

인제군 군수가 이쪽에 관심이 많아서 모 레이싱팀 단장님과 상하이 F1경기장에도 갔다 오셨다네요. ^^ 잘 되길 기대해 봅니다..
2007.08.23 13:51:23 (*.63.124.246)

무엇보다 교통편이 문제일텐데요... 인천, 김포와 인제간 항공편이 있으면 좋을텐데....
사실 외국의 자동차 경주팬이 많이 몰려야 돈이 되는, 남는 장사가 가능할 것인데 교통편이 열악하다보니 아무래도 힘들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사실 외국의 자동차 경주팬이 많이 몰려야 돈이 되는, 남는 장사가 가능할 것인데 교통편이 열악하다보니 아무래도 힘들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2007.08.23 17:05:05 (*.229.109.2)

반가운 소식이네요. 여기저기 써킷이 앞으론 많이 생길거라 믿습니다. 보통 레이스 선진국들도, 도시에서 서너시간씩 떨어진곳에 경기장이 많이 만들어지지요. 거리는 문제 없을겁니다. 아훙.. 맘에 드는 셋팅의 레이싱카 싣고, 트레일러에 끌고 전국 서킷 돌아댕김서 탈수있으면 정말 좋겠어요.
2007.08.23 23:52:44 (*.152.136.217)
춘천에 거주하는 저로서는 매우 반가운 소식입니다....
서울-춘천고속도로가 완공되면 접근성이 그리 떨어지지는 않을거라 봅니다...44번국도도 4차선포장되어서..춘천에서 30~40분이면 갈수있거든요....
서울-춘천고속도로가 완공되면 접근성이 그리 떨어지지는 않을거라 봅니다...44번국도도 4차선포장되어서..춘천에서 30~40분이면 갈수있거든요....
2007.08.24 10:58:14 (*.145.162.179)

스피드웨이도 성수기에는 주차장으로 쓰고 싶다고 그러고.. (뭐 사설 시설인데다 기업에서 수익성에 기여하는 쪽으로 자산을 쓰겠다는데 뭐라 할 말이 없으니) 안산은 이제 GS건설에서 개발하여 주상복합 짓겠다는데 뭐 그것 역시 그 큰 땅을 그냥 푼돈 내는 차 좋아하는 무리들의 놀이터로 남게 해달라고 떼 쓸 수도 없고.. 레이스에도 골프계에 박세리가 세계무대에 떠올라 온 국민이 골프에 관심을 갖게 된 지금까지 온 것 처럼 또 누군가 나서서 큰 관심을 끌게 해주지 않는 한 참 어려울 것 같아요.. 결국 누군가 봐야 스폰서들도 스폰을 할 거고 그래야 놀이공원주차장 보다는 비즈니스가 되기 시작할 테니까요.
2007.08.24 11:00:49 (*.145.162.179)

뻘 밭에서 프라이드와 엑셀에 주먹구구식으로 튜닝해서 레이스하던 시절부터 우리나라 레이싱계를 계속 관심을 갖고 보고 있습니다만 참 힘들게 가네요.. 더디가고.. 이제 2007년이니 나름 상당한 시간이 지났습니다만.. 계속 지지부진 하는 것 같아요. 자기들끼리 또 꼬투리 잡고 늘어지고 .. 분당하고.. 험담하고.. 싸우고.. 헤어지고. 또 만나고..
2007.08.24 13:17:33 (*.108.7.52)

제가 알고 있기로는 F1 경기장 건설 비용이 보통 1조원 정도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F1 경기가 가능하려면, 트랙만 있으면 곤란하겠죠. 부대 시설 규모 (컨트럴 타워, 관람석, 정비 공간, 대기 공간, 주차장, 기타 부대시설) 등이 엄청난데 1,600억원은 누가 봐도 어불성설로 보이네요. 게다가 시스템 구축 비용 역시 만만치 않은데다가, 국내 땅 값이 아무리 인제라고 해도 점유 공간 대비하면 꽤 많은 비용이 지출될텐데요 ... 어쨌든 예정 부지 근처에 땅을 사두면 돈은 벌겠군요. 실제로 가능할 사업일지는 상당히 의구심이 들기는 하지만요 ...
2007.08.24 13:18:41 (*.108.7.52)

아 .. 그리고 참고로 F1 트랙의 아스콘 포장은 일반 도로 포장과는 기술적인 부분이나 포장 스펙에 있어 차원이 다르기 때문에 F1 규격의 트랙 공사 비용도 일반 트랙 공사 비용과 같이 간주하는 것도 무리가 있어 보입니다.
2007.08.24 20:23:58 (*.48.101.121)

지자체나 업자들이 명분을 찾기위해 국제경기를 자꾸 들먹이는 거지요. 해봐야 실제 돈도 안될텐데. 그런 헛된 명분보다 국민스포츠의 일환으로 국내 모터스포츠 발전을 위해 정부땅 임대해주고 거기에 써킷만들어서 운영하는것도 명분도 서고 좋지않을까 싶습니다만. 안되겠죠^^
2007.08.24 22:11:26 (*.233.247.19)
1600억이면 가능하지 않을까요??? 안산이나 태백써킷 건설비용(100~200억정도)을 생각한다면 충분하다는 생각입니다. 땅값도 대략 평당 7~8만원도 안하는 지역이니, 평당10만원쳐도 만평에 10억, 10만평에 100억정도이니, 얼마나 부지가 필요하게 될지는 모르지만, 500억정도만 땅값해도 대략 50만평이상(위치에 따라서는 100만평도) 가능해보입니다. (또한 땅을 담보로 융자를 받을테니, 실제 토지매입비용은 더욱 낮아지겠죠.) 기타 써킷건설비용 200억, 나머지 부대시설 건설 및 인프라구축비용, 모터스포츠 유치 등등 대충 계산해보면 가능한 액수인 듯 싶습니다. 제 생각엔 그러네요.. (투자한 만큼 본전+이익을 뽑을 수 있느냐가 관권이지, 만드는 건 문제 없을 듯 하네요.) 거기에 서울과의 접근성도 사실 상당히 좋습니다. 2시간반~3시간정도면 갈 수 있으며, 좀 밟으면 2시간정도에도 갈만한 거리입니다. 양양국제공항에서도 1시간반정도 거리구요. (이정도면 일본 나고야에 있는 스즈카서킷보다도 접근성이 좋습니다.) 암튼, 잘 되었으면 좋겠네요. 이상 인제군민이었습니다. *^^*
2007.08.26 19:48:36 (*.32.202.125)
(답글 형식을 댓글로 옮겼습니다...내용은 같습니다)
지금까지 안산이나 태백, (창원)은 별개인가요? 다들 지방자치단체와 레이스관계자랑 조인이 이뤄지다보니 항상 결실다운 결실을 맺지 못하는거 같아요...경기관계자는 부지나 자금면에 부딪히는 일이 많을것이고, 행정기관에선 자기들 지역발전에 일환으로 어떻게 경기장이나 유치해서 사람들좀 끌어볼까...하는 이런 안일한 인식속에서 진행이 반복되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물론 다양한 경기를 유치하고(가능하다면 큰경기, 유명한 경기) 또 즐길수 있게되면 젤 좋겠지만요...무슨 일이든 단계가 있는거니까요. 자동차 생산대수가 아닌 자동차 문화라는 측면에선 아직 걸음마인걸 인정하고 차근차근 해나갔으면 합니다. 저지르고 보자 식의 경기장건설 추진이라면 계속 실패만 거듭할꺼라는...
꼭 F1이어야합니까? 레이싱의 정점에 선 경기중에 하나이며, 탑 팀들의 경우 팀 예산이 연간 4억불에서 5억불은 넘나드는 상황에서 그런 팀들을 초청해 축제를 멋지게 성공시키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개막과 본 경기 폐막에 이르기까지!!!)를 한번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것입니다.
어차피 써킷이라는게 끝없는 유지보수를 필요로하는 시설이고, 관리가 동반되지 못해 역사에 뒷편으로 사라진 전설의 써킷들도 많은 현재, 절대 써킷하나 가지곤 되는일도 아니니, 멀리봐서 시설의 완성도가 높은 중급규모의 경기장이 지어졌으면 하는바램입니다...써킷의 성패는 규모가 아닌 효율적인 운영이겠지요...(국가 프로젝트 차원에서 한번 추진해 줬으면한다는..)
용인하나로 이렇게까지 지속해온걸 보면 가까운 일본의 쯔쿠바나 좀더 욕심내서 모테기나 세팡정도의 써킷이면 첫걸음으론 충분한 성공이 아닐까합니다?
순간 상해의 경기장이 머리를 스쳐가네요...
지금까지 안산이나 태백, (창원)은 별개인가요? 다들 지방자치단체와 레이스관계자랑 조인이 이뤄지다보니 항상 결실다운 결실을 맺지 못하는거 같아요...경기관계자는 부지나 자금면에 부딪히는 일이 많을것이고, 행정기관에선 자기들 지역발전에 일환으로 어떻게 경기장이나 유치해서 사람들좀 끌어볼까...하는 이런 안일한 인식속에서 진행이 반복되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물론 다양한 경기를 유치하고(가능하다면 큰경기, 유명한 경기) 또 즐길수 있게되면 젤 좋겠지만요...무슨 일이든 단계가 있는거니까요. 자동차 생산대수가 아닌 자동차 문화라는 측면에선 아직 걸음마인걸 인정하고 차근차근 해나갔으면 합니다. 저지르고 보자 식의 경기장건설 추진이라면 계속 실패만 거듭할꺼라는...
꼭 F1이어야합니까? 레이싱의 정점에 선 경기중에 하나이며, 탑 팀들의 경우 팀 예산이 연간 4억불에서 5억불은 넘나드는 상황에서 그런 팀들을 초청해 축제를 멋지게 성공시키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개막과 본 경기 폐막에 이르기까지!!!)를 한번 곰곰이 생각해봐야 할것입니다.
어차피 써킷이라는게 끝없는 유지보수를 필요로하는 시설이고, 관리가 동반되지 못해 역사에 뒷편으로 사라진 전설의 써킷들도 많은 현재, 절대 써킷하나 가지곤 되는일도 아니니, 멀리봐서 시설의 완성도가 높은 중급규모의 경기장이 지어졌으면 하는바램입니다...써킷의 성패는 규모가 아닌 효율적인 운영이겠지요...(국가 프로젝트 차원에서 한번 추진해 줬으면한다는..)
용인하나로 이렇게까지 지속해온걸 보면 가까운 일본의 쯔쿠바나 좀더 욕심내서 모테기나 세팡정도의 써킷이면 첫걸음으론 충분한 성공이 아닐까합니다?
순간 상해의 경기장이 머리를 스쳐가네요...
모터스포츠의 발전을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생각하구요.
사실 용인서킷의 확장가능성도 전무하고 에버랜드측의 무성의한 운영의 이유가 용인아니면 마땅한 서킷이 없다는 배짱에서 비롯되는게 아닌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