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참 조촐하네요..

 

사이드쪽은 국내 5개사가 초대형 부스로 점령하고..

 

수입차들은 가운데에 옹기종기 모여있고..

 

파가니존다, 코닉세그, 롤스로이스, 애스턴마틴, 부가티 등등은 바라지도 않았습니다..

 

최소한 국내에 딜러가 있는 페라리, 람보르기니, 마세라티, 벤틀리, 로터스, 볼보 정도는 나와줘야 볼거리가 있지 않았을까요??

 

이따구 규모라면 테드 회원들이 모이는 테드카쇼가 훨씬 더 나을듯 합니다..

 

서울 모토쇼보다 훨씬 더 많고 다양한 수입차들로 국내 최대의 카쇼를 열수 있을겁니다..

 

 

PS..

30-40대의 자동차 매니아들은 어릴때부터 인쇄매체와 영상매체를 통해 해외의 유명한 자동차들을 보고 이 차량들을 동경하고 자신의 카 라이프에 대한 상상을 해왔습니다.

 

저 또한 30대 후반이지만 어릴때 모토쇼라는 것을 경험하지 못했고 여러매체와 함께 니드포스피드 등의 자동차 게임을 통해 그 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도 했었습니다.

 

그 덕분에 유학시절을 제외하더라도 국산 소형 - 국산 중형 - 수입 중형 - 수입 준대형까지 저의 카 라이프를 상상했던 대로 즐기고 있습니다.. 다음차례는 수입 대형과 수퍼카겠죠.... ^^

 

페라리, 람보르기니, 마세라티, 벤틀리, 로터스등이 없다고 불평한 저에게 브랜드의 마케팅과 모토쇼의 수익성 등들을 따지며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셨습니다.

 

우리가 어린이 시절에 접해보지 못했던 모토쇼같은 행사를 통해 수퍼카와 럭셔리카 등을 아빠와 엄마에 손을 잡고 온 어린이들이 실제로 볼수 있는 기회가 된다면 어린이들에게는 얼마나 좋을까요?

 

우리가 매체로만 느껴왔던 무한한 동경심과 카라이프에 대한 상상을 할 기회를 아빠와 엄마에 손을 잡고 아니면 삼촌과 형들과 함께 온 어린이들에게 서울모토쇼를 통해 주면 안되는건지 생각해봅니다.

 

마케팅은 당장의 판매와 함께 미래의 잠재고객을 잡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 잠재고객을 잡는 장소가 서울모토쇼이길 바랄뿐이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