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수온 유온 때문에 두가지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1. OBD로 체크한 수온과 센서를 이용한 게이지로 체크한 수온에 차이가 많이 날까요?
- 참고로 어제같은경우에 풀어택으로 주행하지않은 경우에 태백써킷 주행시 OBD상 수온은 87도가 최고이더군요...
2. 수온과 유온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을것 같은데, 그 차이가 어느정도일까요? 아니면 유온 수온은 따로 움직이나요?
- 제차는 OBD에서 수온만 체크되는 관계로 유온이 궁금하군요.
고수님들 많은 고견부탁합니다.
행복한 하루되세요.
2011.04.04 22:18:12 (*.226.216.3)
CANBUS를 통해 보여지는 수온(TCO)는 TCO센서를 통해 EMS로 전해지는 값이니 특별히 별도 센서와 게이지를 다신다고 더 정확한 값을 얻으실 가능성은 적습니다
일반적으로 오일온도(TOIL) 센서가 따로 없는 대부분의 요즘차들은 수온(TCO) 센서에서 얻어진 수온값을 이용하여 EMS에서 오일온도를 모델링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수온과 오일온도는 당연히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많이)
다만 그 모델링의 reliability는 크지않기때문에 터보과급엔진과 같은 고성능 엔진에는 오일온도 센서(TOIL)가 별도로 다는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오일온도(TOIL) 센서가 따로 없는 대부분의 요즘차들은 수온(TCO) 센서에서 얻어진 수온값을 이용하여 EMS에서 오일온도를 모델링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수온과 오일온도는 당연히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많이)
다만 그 모델링의 reliability는 크지않기때문에 터보과급엔진과 같은 고성능 엔진에는 오일온도 센서(TOIL)가 별도로 다는경우가 많습니다
유수온은 당연히 상관관계가 있습니다만,
서킷같은 고속 과부하 주행 상황에서는 수온이 낮아도 유온은 올라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행풍으로 수온은 지속적으로 내려가지만 냉각수가 유온을 내려주는 것엔 한계가 있으니까요.
실지로 수온이 90도 이하를 맴돌고 있는데 유온이 130도 가까이 올라가는 경우도 있었구요,
그래서 가능한 유온이나 유압게이지 중에 하나는 장착하시는게 좋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