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회사에서 요즘 너무 정신이 없어서.. 동영상만 잽싸게 올립니다...
소나타 보니 웃음이 나네요.. 너무 말짱해서....
제목에 오타를 냈군요.. 출동이라고...^^
리플글을 보다가 신주용님말씀때문에 살짝 제 의견을 적습니다..
저는 동영상보고 더 NF가 좋아지던데요..^^ 어느정도 부서져야 차가 사람을 보호한다고는 하지만... 테스트 정도의 충돌에 범퍼가 떨어져 나가고 트렁크가 들썩이고 이정도는 사실 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웃은것은 통~ 하고 튕길때 모습이 너무 귀여워서 웃음이 난거였습니다..
소나타 보니 웃음이 나네요.. 너무 말짱해서....
제목에 오타를 냈군요.. 출동이라고...^^
리플글을 보다가 신주용님말씀때문에 살짝 제 의견을 적습니다..
저는 동영상보고 더 NF가 좋아지던데요..^^ 어느정도 부서져야 차가 사람을 보호한다고는 하지만... 테스트 정도의 충돌에 범퍼가 떨어져 나가고 트렁크가 들썩이고 이정도는 사실 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웃은것은 통~ 하고 튕길때 모습이 너무 귀여워서 웃음이 난거였습니다..
2007.08.30 15:43:09 (*.150.199.100)

기본적으로 북미수출용이면 5마일 범퍼를 달아야 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저렇게 찌그러지는 차는 뭘까요? 아니면 테스트속도가 5마일을 넘은건가...
2007.08.30 15:52:27 (*.192.187.141)

찌그러지진 않지만 제일 멀리 빠르게 반대방향으로 튕겨나간다는것은 충격흡수가 잘 안된다는 이야기인데.. 저 안에 탄 사람은 저 충격을 그대로 온몸으로 흡수하겠죠?
차라리 견적 좀 나오고 돈으로 차를 고치는게 사람 고치는것 보단 더 나아보이는데....
소나타 타고 있다가 후방 추돌 당하면 목잡고 내릴수밖에 없는 구조네요 -_-;;;
차라리 견적 좀 나오고 돈으로 차를 고치는게 사람 고치는것 보단 더 나아보이는데....
소나타 타고 있다가 후방 추돌 당하면 목잡고 내릴수밖에 없는 구조네요 -_-;;;
2007.08.30 15:55:59 (*.192.187.141)

소나타 후방 충돌 광고를 보면서 항상 무슨 결과일까 궁금했었는데... 이런게 마케팅에 plus 요소가 될꺼라고 생각하는 현대자동차 사람들도 많이 웃기네요... 튼튼하기로는 군용차량들이 정말 튼튼하죠... 전봇대를 박아도 전봇대만 부러지니까.. 다만 그 안에 탄 사람들이 진짜 죽어나던데 .... 쩝
2007.08.30 16:30:49 (*.240.33.196)

올해여름엔 기담이라는 국산공포영화를 재미나게 보고나서 올여름
최고로 무서운 영화를 보았다고 만족하였더니 이 동영상이 더 무섭군요.
설마 현대자동차가 다 저런거라면...뒷목이 벌써 뻐근해옵니다.
최고로 무서운 영화를 보았다고 만족하였더니 이 동영상이 더 무섭군요.
설마 현대자동차가 다 저런거라면...뒷목이 벌써 뻐근해옵니다.
2007.08.30 17:27:44 (*.171.28.2)

만약 현대차 범퍼가 많이 부서지고 다른차들은 범퍼가 말짱했다면...그래도 분명히 현대를 씹으셨겠지요? 현대...차 정말 못만드네...다른 역시 외제가 최고야...라고 말이죠.
2007.08.30 18:17:01 (*.152.136.217)
키보드 전사들께서는 그러실겁니다.. 저건수출형이라서 그래요~ 내수로 시험하면 다를거에요 펄판두께부터 다르잖아요 이러면서요ㅋ
2007.08.30 19:24:37 (*.217.0.146)
이런 동영상 보고도 씹는 분들 있는 것 보면 현대도 현대지만 소비자들도 각성해야 할것 같네요...^^ 국산차라면 뭐든지 나쁜쪽으로 생각하는 것도 이젠 좀 질리는때가 된듯...
2007.08.30 19:38:40 (*.254.12.240)

테스트 목적에 어떤 결과가 가장 부합하는가만 생각해 보시면 충분하지 않을까요? 이번 테스트는 황호선님 말씀대로 견적 적은 차가 짱 먹는 테스트 맞습니다.^^
2007.08.30 19:49:42 (*.150.199.100)

좋은 차라면 탑승자가 부상할 정도의 충격에서는 적절히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승객석은 유지돼야 하면서도 경미한 충격에서는 손상을 최소화 하는 것이겠죠..그런 관점에서 NF의 안전성은 세계최고수준이라고 봅니다. 다만 측면충돌안전성은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지만요.
2007.08.30 21:03:36 (*.215.1.147)

이 실험 자체는 차량견적이 적게 나오는 차를 구분하는게 맞죠... 하지만 중요한건 보험사도 분명 그에 따른 인사견적도 계산을 할테고 이런 부분까지 등급평가에 반영을 할텐데 현대의 마케팅은 이런 부분들은 교묘히 가린채 우린차가 더 튼튼하니까 더 안전해..라는 식의 마케팅을 한다는 점을 지적하는겁니다..
튼튼한것만 광고한다면 맞죠... 하지만 더 안전하다고 광고하면 안되죠...
튼튼한것만 광고한다면 맞죠... 하지만 더 안전하다고 광고하면 안되죠...
2007.08.30 21:35:32 (*.34.71.16)

요즘 나오는 현대차..안전도 면에서는 가격 대비 최고 수준 맞습니다. NF 이후 출시된 아반떼 이상급은요. 동급 어느 차와 비교해도 안전도 떨어지는 차라는 소리 들을 만한 차는 없습니다.
2007.08.30 21:47:08 (*.34.101.144)
김주영님 걱정하실 필요없습니다. 저 영상의 NF는 견적도 적게 나오면서 탑승자도 안전한 차량입니다.
튼튼하면서 안전하다....최고죠 한마디로...
튼튼하면서 안전하다....최고죠 한마디로...
2007.08.30 22:42:46 (*.247.131.39)
안전하다는 것은 시간이 증명해 주겠죠.. 과거로 볼 땐, 현대의 자동차 만드는 정신은 미흡하다고 봅니다... 현재도 국민을 위한다 보기는 오직 기업 이윤극대화만 생각하는 것만 같아 보기 안 좋네요.. 비단 현대만 그런게 아니라 르노삼성 지엠대우 모두 마찬가지라고 봐요..
일본처럼 자동차 만드는 메이커가 더 많아져서 소비자의 선택의 폭도 넓어지고 더 좋은 차를 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때가 하루 속히 왔으면 좋겠습니다...
일본처럼 자동차 만드는 메이커가 더 많아져서 소비자의 선택의 폭도 넓어지고 더 좋은 차를 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때가 하루 속히 왔으면 좋겠습니다...
2007.08.30 23:51:18 (*.5.74.178)

국내 보험 회사도 저런 것으로 차등 했으면 좋겠네요.
쓸때없이 맨날 스포츠 카라고 보험 안들어주는 일 따위는 하지 말고...
쓸때없이 맨날 스포츠 카라고 보험 안들어주는 일 따위는 하지 말고...
2007.08.31 02:35:12 (*.34.71.16)

토요타 혼다의 몇 모델 제외하면..동급의 현대차가 대부분의 일본차보다 안전도 면에서 더 낫다고 말해도 무방할꺼 같습니다. 특히나 닛산은 안전도 면에서 현대가 완전히 추월한 듯 싶기도 하구요.
2007.08.31 02:36:53 (*.34.71.16)

그리고..이윤극대화라는 문제에 관해선 토요타 따라갈 차는 세계에 없습니다. 현대만 너무 색안경 끼시는 것 같아 안타깝네요. 다른 차도 좋지만..현대가 만들어내는 차 역시 가격 대비 성능과 안전도 모두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아직도 더 나아가야 할 길이 멀지만요~
2007.08.31 10:56:52 (*.7.28.150)

운전자 목이 뒤로 꺽일것 같은 상상이 떠오르네요....충격흡수는 거의 없고 튕겨나가는듯한....
차 수리비가 적으면 당연히 좋겠지만.....목디스크라도 걸리면 평생 고생을 하지 않을까 합니다..
차 수리비가 적으면 당연히 좋겠지만.....목디스크라도 걸리면 평생 고생을 하지 않을까 합니다..
2007.08.31 11:26:08 (*.134.225.3)
저도 노조때문에 현대차를 좋아하진 않지만 점점 발전하는 모습을
박수받을만 하다고 생각됩니다.
저기 나오는 차들처럼. 범퍼만 깨지는거...
제가 얼마전에 접촉사고로 쏘2를 받았는데
영상보다 느리거나 비슷한속도였는데
쏘2는 범퍼가 깨지고 안에 레일까지 상했죠.
피해자분 입원해서 일주일을 누워있었습니다.
목이 꺾였다고...
진짜 다친건지 아닌지는 모를일이지만.
깨져준다고 안전한건 아닌거 같습니다.
박수받을만 하다고 생각됩니다.
저기 나오는 차들처럼. 범퍼만 깨지는거...
제가 얼마전에 접촉사고로 쏘2를 받았는데
영상보다 느리거나 비슷한속도였는데
쏘2는 범퍼가 깨지고 안에 레일까지 상했죠.
피해자분 입원해서 일주일을 누워있었습니다.
목이 꺾였다고...
진짜 다친건지 아닌지는 모를일이지만.
깨져준다고 안전한건 아닌거 같습니다.
2007.08.31 12:53:52 (*.7.28.150)

요즘 나오는 차의 범퍼가 깨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우레탄재질이라....찢어지죠..
93년도에 나온 소2는 프라스틱재질이라 깨져버립니다......요즘 신차와 93년도 차 와의 비교는 ..... 그리고 위의 영상에 나오는 차들중에 범퍼가 깨지는 차는 한대도 없군요....찌그러질뿐...
93년도에 나온 소2는 프라스틱재질이라 깨져버립니다......요즘 신차와 93년도 차 와의 비교는 ..... 그리고 위의 영상에 나오는 차들중에 범퍼가 깨지는 차는 한대도 없군요....찌그러질뿐...
2007.08.31 14:27:12 (*.52.80.224)
소나타가 튼튼해보이긴 하지만, 우연히 좋은 조건이 된것 같습니다.
정확하게 범퍼의 중간을 박아버리는데. 상대적으로 범퍼의 높이가 낮은 닛산차는 손해를 많이 본것 같습니다. 물론 소나타가 튼튼하게 만들어졌겠지만 말이죠.
정확하게 범퍼의 중간을 박아버리는데. 상대적으로 범퍼의 높이가 낮은 닛산차는 손해를 많이 본것 같습니다. 물론 소나타가 튼튼하게 만들어졌겠지만 말이죠.
2007.08.31 14:45:24 (*.229.115.111)

차라리 이런글은 안올라왔으면 좋겠습니다.
멀해도 안티는 있다지만 아예 이슈거리를 안만드는게...,
충돌시험 하는 친구들에 물어봤는데 단순히 저 동영상 가지고
인체에 미치는 충격 정도를 어떻게 가늠할 수 있는지
대단 하다고 비아냥만 들었습니다. 더미인형이 있는것도 아닌데
이럴것이다~! 란 추측성 댓글이 어떤 공학적 이론을 가지고 있는것도
아니고 단순히 생각에 이럴것이다로 매도 당하는 현대....,
만약 쏘나타가 아니고 다른차였다면 어떤 리플이 올라왔을지
궁금합니다.
멀해도 안티는 있다지만 아예 이슈거리를 안만드는게...,
충돌시험 하는 친구들에 물어봤는데 단순히 저 동영상 가지고
인체에 미치는 충격 정도를 어떻게 가늠할 수 있는지
대단 하다고 비아냥만 들었습니다. 더미인형이 있는것도 아닌데
이럴것이다~! 란 추측성 댓글이 어떤 공학적 이론을 가지고 있는것도
아니고 단순히 생각에 이럴것이다로 매도 당하는 현대....,
만약 쏘나타가 아니고 다른차였다면 어떤 리플이 올라왔을지
궁금합니다.
2007.08.31 18:58:44 (*.248.205.35)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왜 아직도 사대주의와 패배주의에서 허우적 거리시는지...
좀 더 객관적으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노조가 아무리 미워도 구슬땀 흘리고 잠 못자면서
연구하는 연구원들의 결실마저 동일시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정 못참으시면 '비난'이 아닌 '비판'을 하시길 바랍니다.
이유없는 '비난'은 그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제프리 존스가 이런말을 하더군요.
"한국인은 칭찬에 옹색하다"라고...
왜 아직도 사대주의와 패배주의에서 허우적 거리시는지...
좀 더 객관적으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노조가 아무리 미워도 구슬땀 흘리고 잠 못자면서
연구하는 연구원들의 결실마저 동일시 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정 못참으시면 '비난'이 아닌 '비판'을 하시길 바랍니다.
이유없는 '비난'은 그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제프리 존스가 이런말을 하더군요.
"한국인은 칭찬에 옹색하다"라고...
2007.08.31 23:54:31 (*.152.207.49)

시험 높이도 일반적으로 보행자 안전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앞범퍼 높이를 어느정도 반영 하여.. 시험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앞범퍼가 뒷범퍼를 접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니, 보험사가 그정도 반영해서 했겠지요.
물론.. 추돌시에 노즈다운도 반영했을 가능성이 있겠죠..^^
물론.. 추돌시에 노즈다운도 반영했을 가능성이 있겠죠..^^
2007.09.01 10:26:32 (*.88.25.52)
똑같은 조건에서 동일한 시험을 한 것이지 현대가 운이 좋은 것이 아닙니다. 이 평가의 기준은 보통 Damageability(충돌시 적정한 충격흡수로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도), Repairability(파손된 부위를 수리하기가 얼마나 용이한가)인것 같더군요.. 또한 충돌안전성에 관한 별도의 테스트에서도 nf가 전반적으로 좋은 점수룰 맞고 있죠...먼저 저런 결과가 나온 차가 외산차였다면 어떤 댓글을 달았을지 스스로에게 곰곰히 물어보세요... 이제 무조건 국산차 까는 것도 한물간 유행아닙니까?누가 현대차 어디가 문제더라 하고 사진한장 올리면 그런것 같이 까는 거야 이해가 가지만 이런 공식적인 테스트까지 애써 무시하는 모습은 좀 이성을 상실한듯한...ㅎㅎ
2007.09.01 12:08:26 (*.7.28.150)

확실히 테드에는 현대 찬반론자들이 존재하는군요....현대측 옹호하는 분들은 현대 파업글에 전혀 댓글을 안다시니.....현대쪽 관계자들이 많은가 봅니다...
2007.09.01 13:01:07 (*.247.131.39)
ㅎㅎㅎ 감정들 상할 까, 염려됩니다.. 한 기업의 이미지가 지금 당장의 상품으로 극복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현대든 대우든 쌍용이든, 지난 세월동안 여러 차들을 통해서 국민과 소비자들에게 보여준 자동차 품질로 반영이 된다 봐야겠죠.. 사적인 판단이지만, 이러한 면에서 현대는 그동안 생산했던 모델들을 보았을 때, 소비자에게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을 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물론 앞으로 좋은 차를 만들어서, 소비자에게 응답한다면 그 이미지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쇄신이 되겠죠.. 현재의 현대의 모습은 나아진 품질보다, 국민 소득대비 지나친 차량 가격인상으로 불만을 사고 있고, 덩달아 르노삼성이나, 지엠대우까지 덩달아 따라하니 욕을 먹겠죠.. 지금의 우리나라 메이커만큼, 옵션 몇 가지 추가하면 엄청나게 상승하는 차량가격을 보면 그냥 욕이 나올 수 밖에 없죠... 자기들이 만들면, 소비자들은 부르는 대로 값을 지불해야 하는 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