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차량은 옵티마이고 2.4 스왑하며 매핑을 따로 한 차라서 2500~3500rpm 사이 구간에서는 노킹음이 꽤 들렸습니다.
까르르르륵 그랬죠
양상규님께서 진단하신 적이 있고, '고급유를 먹여보시오'라 하시길래 고급유 50리터를 주유했습니다. 만 원 정도 더 나오네요.
그 이후, 노킹음이 뿅 하고 사라졌습니다.
엔진 열 때문에 그런가 싶어서 쿨러도 달고 냉각수도 바꾸고 별짓을 다 했는데, 감사하기도 하고 약간 허무하기도 하고...
결론은
1. 양상규님의 진단이 과연 정확하였다.
2. 노킹을 잡으려면 고급휘발유가 좋다.
3. 고급유 색은 연두색이다.
까르르르륵 그랬죠
양상규님께서 진단하신 적이 있고, '고급유를 먹여보시오'라 하시길래 고급유 50리터를 주유했습니다. 만 원 정도 더 나오네요.
그 이후, 노킹음이 뿅 하고 사라졌습니다.
엔진 열 때문에 그런가 싶어서 쿨러도 달고 냉각수도 바꾸고 별짓을 다 했는데, 감사하기도 하고 약간 허무하기도 하고...
결론은
1. 양상규님의 진단이 과연 정확하였다.
2. 노킹을 잡으려면 고급휘발유가 좋다.
3. 고급유 색은 연두색이다.
2007.09.04 12:37:42 (*.111.97.201)

확실히 차이있습니다...제가 옛날에 B5 1.8T 를 탔는데 이상하게 언덕에서 스로틀 열면 빌빌거리더라고요...푸드득 거리며...그래서 양질의 것을 함 먹여줬더니 언덕 가뿐히 치고
나가더라고요...^^
역시 1.8T 엔진 명기입니다...
나가더라고요...^^
역시 1.8T 엔진 명기입니다...
2007.09.04 12:56:44 (*.193.141.161)

엔진의 본래 출력이 고르지 못하고 일반유 세팅에 고급유 넣었을때 노킹이 없어지는경우 엔진에 문제가 있거나 맵핑이 잘못되어서 그런경우가 있는데 그런경우는 아닌가 보네요 2.4스왑하시고 맵핑 하실때 고급 휘발유의 옥탄가에 맞는 한계점을 맞추어 세팅이 된 엔진 같습니다.^^
2007.09.04 12:58:17 (*.193.141.161)

고급유에 옥탄가가 맞춰진 엔진에 일반유 넣으면 엔진 내구성이나 성능에 미치는 악영향은 상당히 높습니다 앞으로는 좋은기름만 먹여주셔야겠네요^^
2007.09.04 13:04:52 (*.192.187.141)

많은 경우엔 옥탄가 자체보다는 휘발유내의 수분함유량도 많이 좌우하더군요...
특히 지방 주유소등에는 아직도 물반 기름반인 곳도 있습니다.. -_-;;;
특히 지방 주유소등에는 아직도 물반 기름반인 곳도 있습니다.. -_-;;;
2007.09.04 13:13:54 (*.193.141.161)

지방 주유소에서 가끔 휘발유 품질이 떨어지는 이유는 휘발유 판매량이 많은 도시와는 달리 지방 주유소는 휘발유를 장시간 보관 하면서 분순물과 수분이 생길수밖에 없다고 생각됩니다. 유통기한이 따로 있는건 아니지만 오래 보관하고 판매될수밖에 없는 휘발유는 품질이 떨어질수밖에 없겠죠.. 물론 가짜 휘발유 넣는곳이 더 문제지만 지방도로에서 판매하는 기름도 무조건 나쁜경우는 없겠지만 개인적으로 신뢰도가 떨어지는건 사실입니다.
2007.09.04 14:24:28 (*.150.199.100)

엔진 자체적인 문제로 노킹음이 나는 경우 고급유를 먹여도 시간이 지나면 학습효과 때문인지 노킹음이 나더군요. 뉴베타 엔진을 쓴 아반떼XD 2.0과 투스카니 2.0을 탈 때 그랬습니다. 처음에는 고급유 100% 주유하니 노킹이 안나다가 몇천키로 타니까 도루묵이라 그 후부터는 고급유를 30% 정도로만 유지했습니다. 노킹이 다시 나긴 하지만 예전처럼 심하진 않아서 그냥 타다가 차를 바꿨죠.
그 이후 타는 차들은 아무 기름이나 넣어도 연비좋고 노킹도 안나고 속이 후련합니다.
그 이후 타는 차들은 아무 기름이나 넣어도 연비좋고 노킹도 안나고 속이 후련합니다.
2007.09.04 14:26:44 (*.217.0.155)
고급유는 옥탄가가 높아 노킹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원인을 치유하는건 아니죠..항상 고급유만 넣고 다니기는 힘들잖아요..
2007.09.04 17:36:16 (*.20.192.167)

일반유로 ECU 매핑이 되어있었다면 매핑이 잘못되었거나 필요 옥탄가를 높이는 문제들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피스톤에 카본이 많이 끼거나, 산소센서가 노후해서 공연비가 짙어지는 경우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