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오늘부로 잠정합의를 했다고 합니다.
10년만에 처음으로 무분규합의를 이끌어내었는데요.
여러반응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들을 보면 회사가 노조에게 너무 양보한것 아닌가 싶기도 하고.
연례행사였던 파업을 하지 않음으로서 상생의 노사관계를 위한 첫걸음이라는 평도 있고.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파업을 하지 않았지만, 결론적으론 별다를 것이 없다고 보여집니다.
실제로 이전보다 더 파격적인 조건들이 수용되었기 때문입니다.
기본급은 동종업계보다 많이 상승되고 상여금 750%로 50%상승 일시금으로 여러이유를 들어서 꽤 많은 금액을 지불하며, 정년을 59세로 1년 연장하는등 많은것을 노조에게 양보한 모양새입니다.
이로인한 파급효과는 저의 예상으로는 협력업체 CR증가, 차량가격 상승등의 문제가 있을것으로 봅니다.
현재 해외시장에서 힘을 쓰지 못하는 실정인데요(특히 중국) 그로인해 과도한 프로모션으로 너무 싼 가격에 판매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는 몇년후 중고차 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지며, 그로인한 신차가격도 상승시킬 수 없는 악순환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무분규로 타결한 것은 참 잘한것이고, 1차협력업체 종사자인 저의 입장에서는 좋은 일이지만, 너무 많은것을 회사가 노조에게 준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회사가 파업을 무서워한다는것이 눈에 보였고, 노조는 잘 이용했던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음에는 서로 양보하면서 실질적으로 회사를 지속적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찾는 노사가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10년만에 처음으로 무분규합의를 이끌어내었는데요.
여러반응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들을 보면 회사가 노조에게 너무 양보한것 아닌가 싶기도 하고.
연례행사였던 파업을 하지 않음으로서 상생의 노사관계를 위한 첫걸음이라는 평도 있고.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파업을 하지 않았지만, 결론적으론 별다를 것이 없다고 보여집니다.
실제로 이전보다 더 파격적인 조건들이 수용되었기 때문입니다.
기본급은 동종업계보다 많이 상승되고 상여금 750%로 50%상승 일시금으로 여러이유를 들어서 꽤 많은 금액을 지불하며, 정년을 59세로 1년 연장하는등 많은것을 노조에게 양보한 모양새입니다.
이로인한 파급효과는 저의 예상으로는 협력업체 CR증가, 차량가격 상승등의 문제가 있을것으로 봅니다.
현재 해외시장에서 힘을 쓰지 못하는 실정인데요(특히 중국) 그로인해 과도한 프로모션으로 너무 싼 가격에 판매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는 몇년후 중고차 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지며, 그로인한 신차가격도 상승시킬 수 없는 악순환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무분규로 타결한 것은 참 잘한것이고, 1차협력업체 종사자인 저의 입장에서는 좋은 일이지만, 너무 많은것을 회사가 노조에게 준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회사가 파업을 무서워한다는것이 눈에 보였고, 노조는 잘 이용했던것으로 생각됩니다.
다음에는 서로 양보하면서 실질적으로 회사를 지속적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찾는 노사가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자동차 출고가 피크인 시기라, 회사가 노조에 쩔쩔맬수밖에 없는 시기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