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제 새 애마인 MK4 gti 1.8T 의 그래프입니다. 전주인분 께서 측정하신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크지않은 배기량에 터보차져로서 렉이 좀 느껴지고 부스트가 터지면 주우욱 하고
잘 치고 나갑니다. 200KM 까진 속력을 내봤고 여력은 더 있는듯합니다.
다이노 그래프 보는법과 이차의 적절한 변속 시점등등 알고 싶습니다.
분석좀 부탁드립니다......
2007.09.10 00:01:17 (*.6.245.218)

가로축이 알피엠이고, 세로축이 토크와 마력입니다. 초반 2000알피엠부터는 급상승하는 힘으로 쭉쭉 밀어주겠고... 5000-5500 이후 출력이 급감하는 관계로 5500 이후는 그리 상승의 여지가 있어보이지 않습니다. 5500 이전에서 변속을 마친다면 탄력적인 주행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2500-5000까지가 토크가 제대로 나와주는군요.^^
2007.09.10 02:31:43 (*.215.1.147)

3800rpm 부근의 토크함몰구간은 측정시에 나타난 단순수치인지 아니면 몸으로 느끼는 토크함몰인지요? 차후 맵핑을 다시 하신다면 저 부분을 조금 손보시는게 어떨까합니다..
뭐 터보차량이라 워낙 토크가 높아서 크게 신경 안쓰일지도...
NA같은 경우엔 저런 함몰이 생기면 굉장히 신경 쓰이거든요.. (제 엘리사가 대표적인 토크함몰구간이 생기는 엔진;;)
뭐 터보차량이라 워낙 토크가 높아서 크게 신경 안쓰일지도...
NA같은 경우엔 저런 함몰이 생기면 굉장히 신경 쓰이거든요.. (제 엘리사가 대표적인 토크함몰구간이 생기는 엔진;;)
2007.09.10 14:50:34 (*.57.216.223)

캠을 건들이지 않고 파워밴드를 움직이는건 힘듭니다. 위 그래프 역시 순정 파워밴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때문에 변속도 순정 레드라인에서 하는게 제일 이상적일것 같습니다. 그래프를 보니, 5500에서 변속을 하면, 몸으로 느껴지는 토크는 있지만 쉬프업후 기어비가 파워밴드에 못미쳐 가속이 좀 더딜것 같네요.
2007.09.13 19:03:27 (*.198.74.130)
왼쪽 그래프는 토크... 그러니까 회전하는 힘...에 대한 그래프이구요.
오른쪽 그래프는 파워... 단위 시간당 에너지..에 대한 그래프입니다.
각 색깔별로 그래프를 그리셨는데....색깔에 대한 설명이 없어서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각 단수별 데이터를 색깔로 표시한거 같군요.
변속은 위 그래프를 보면 2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토크 위주로 운전하구 싶으시면(시내주행에서 힘찬 주행을 원하시면) 좌측 그래프에서 가장 그래프값이 높은 피크점...(약 3500 rpm 부근이군요) 부근에서 변속해주시면 됩니다.
변속전과 변속후의 rpm 값을 고려하셔서 변속후에 rpm이 3500 rpm 부근에 있으면 좋겠지요.
파워 위주로 운전하고 싶으시면(남들과 속도경쟁을 원하시거나 내차의 제로백 성능을 알고 싶으시다면) 우측 그래프를 기준으로 변속하시면 됩니다.
피크치가 5000 rpm 부근이니까 그 부근에서 변속해 주시면 됩니다. 이때도 역시 변속전과 변속후의 rpm 변화를 잘 살피셔서 적절히 해 주시면 됩니다.
좌측 그래프의 토크 함몰 구간은 보통의 DOHC 차량에 대부분 존재하는 현상입니다. 물론 이 부분을 없애도록 셋팅 할수도 있지만.... 얻는거보다 잃는게 더 많을수 있기에 저렇게 셋팅을 하죠. 저 구간 때문에 파워 위주의 주행을 하시면 중간에 약간 차가 움찔 하는 순간을 경험하실수 있습니다만.... 파워 그래프를 보면 아시겠지만... 그 순간에도 파워는 꾸준히 올라가고 있답니다. 속도 위주의 주행에서는 파워가 중요하므로 그냥 오른쪽 그래프를 믿고 운전하시면 됩니다.
애고... 글이 길어졌는데... 좋은차 가지고 계시내요. 안전운전 하셔요.
오른쪽 그래프는 파워... 단위 시간당 에너지..에 대한 그래프입니다.
각 색깔별로 그래프를 그리셨는데....색깔에 대한 설명이 없어서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각 단수별 데이터를 색깔로 표시한거 같군요.
변속은 위 그래프를 보면 2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토크 위주로 운전하구 싶으시면(시내주행에서 힘찬 주행을 원하시면) 좌측 그래프에서 가장 그래프값이 높은 피크점...(약 3500 rpm 부근이군요) 부근에서 변속해주시면 됩니다.
변속전과 변속후의 rpm 값을 고려하셔서 변속후에 rpm이 3500 rpm 부근에 있으면 좋겠지요.
파워 위주로 운전하고 싶으시면(남들과 속도경쟁을 원하시거나 내차의 제로백 성능을 알고 싶으시다면) 우측 그래프를 기준으로 변속하시면 됩니다.
피크치가 5000 rpm 부근이니까 그 부근에서 변속해 주시면 됩니다. 이때도 역시 변속전과 변속후의 rpm 변화를 잘 살피셔서 적절히 해 주시면 됩니다.
좌측 그래프의 토크 함몰 구간은 보통의 DOHC 차량에 대부분 존재하는 현상입니다. 물론 이 부분을 없애도록 셋팅 할수도 있지만.... 얻는거보다 잃는게 더 많을수 있기에 저렇게 셋팅을 하죠. 저 구간 때문에 파워 위주의 주행을 하시면 중간에 약간 차가 움찔 하는 순간을 경험하실수 있습니다만.... 파워 그래프를 보면 아시겠지만... 그 순간에도 파워는 꾸준히 올라가고 있답니다. 속도 위주의 주행에서는 파워가 중요하므로 그냥 오른쪽 그래프를 믿고 운전하시면 됩니다.
애고... 글이 길어졌는데... 좋은차 가지고 계시내요. 안전운전 하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