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서울시가 환경개선과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첫 도입한 ‘서울 차없는 날’ 행사가 10일 종로길 일대에서 실시됐다. 탁 트인 길에 나선 시민들은 만족해 한 반면 우회도로에서 하루종일 정체에 시달린 시민들은 “전시행정에 불과하다”며 불만을 나타내는 등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교통량 감소=승용차 진입이 금지된 종로거리는 교통경찰관과 공무원 등 1700여명이 수신호를 통해 원활한 버스통행을 도왔다. 그러나 을지로와 남북방향의 도로는 큰 혼잡을 겪었다. 종로거리로 진입하지 못한 차량들이 동대문과 세종로에서 각각 우회전하면서 병목현상이 곳곳에서 빚어졌다.
이날 출근시간대인 오전 7~9시 서울시내 총 교통량은 일주일 전 월요일인 지난 3일과 비교해 자가용 교통량은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심교통량도 같은 기간에 비해 22.8% 줄었다.
녹색교통운동이 한강로 등 시내 13개 주요 지점의 출근시간대 교통량을 조사한 결과 7만3005대로 평균 8만7899대에 비해 16.9%(1만4894대) 감소했다. 자가용 교통량은 5만8160대에서 4만4448대로 23.6%(1만3712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직장인 조인화씨(52)는 “매연만 풀풀 나던 평소와 달리 한결 상쾌한 느낌이었다. 탁 트인 종로를 걸어보니 스트레스가 확 풀리는 것 같다”고 말했다.
불만을 나타내는 시민들도 많았다. 서울시는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하면서 정작 시내버스의 증차나 전철의 배차간격 단축 등을 실시하지 않아 출퇴근 시민들은 적지않은 불편을 겪었다.
회사원 한기만씨(40)는 “종로는 뻥 뚫렸는지 모르겠지만 버스안은 만원이었다. 또 시민들의 불편을 생각한다면 월요일보다는 금요일 행사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종로에 임시로 설치된 버스정류장에 대한 안내도 미흡했다. 종각역 일대는 중앙차로가 제때 설치되지 않아 시민들이 승·하차 때마다 우왕좌왕하기도 했다.
특히 생업에 직접 지장을 받은 상인들의 불만이 높았다. 상인 강운영씨(56)는 “종로거리를 통행하는 사람이 회사원들뿐이냐. 종로에서 영업하는 사람들에게는 어이없는 날이었다”며 “하루종일 물건 배송차량이 들어오지 못해 장사를 망쳤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혼잡통행료 확대·인상=서울시측 목영만 맑은서울추진본부장은 “이날 행사는 성공적이었다”면서 “내년에는 경기도·인천과 협의해 수도권 전체에서 차없는날 행사를 동시에 여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간부회의에서 “‘차없는 날’ 행사를 계기로 혼잡통행료 부과대상 지역의 확대논의를 본격적으로 공론화해 달라”고 지시했다. 시는 혼잡통행료 징수 구간을 강남의 테헤란로, 강남역 등 만성적인 교통난을 빚고 있는 지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창영·장관순·송진식기자〉
2007.09.11 00:16:57 (*.131.111.175)

버스를 자가용 안가지고 나오는 사람들 몫까지 감안해서 증편하는것도 아니면서 저런식의 전시행정은...-_- 뚜벅이들도 더 고통스러워지는 날입니다...
2007.09.11 01:13:18 (*.147.157.28)

군사정부 시절 전시행정 보는 것 같아 좀 어이없습니다.
퀵서비스, 소규모 택배 등 운송업에 종사하시는 분들..
하루벌어 하루 사는 분이 대부분인데..뭔가 상징적인 일 하고자
생업을 짓밟아 버렸네요
게다가 종로 2~3개구간만 막으면 그로인한 우회정체가
더 극심해질 것은 생각들 미처 못하셨는지..
주말에 서울 전체 차없는 날 자전거의 날 같은 걸 시행하셨어야지...
오시장 그렇게 안봤는데...좀 어이없네요
퀵서비스, 소규모 택배 등 운송업에 종사하시는 분들..
하루벌어 하루 사는 분이 대부분인데..뭔가 상징적인 일 하고자
생업을 짓밟아 버렸네요
게다가 종로 2~3개구간만 막으면 그로인한 우회정체가
더 극심해질 것은 생각들 미처 못하셨는지..
주말에 서울 전체 차없는 날 자전거의 날 같은 걸 시행하셨어야지...
오시장 그렇게 안봤는데...좀 어이없네요
2007.09.11 02:04:24 (*.152.136.217)
택배는 어찌 했을까요.... 부패되는 물건 배송할것도 있었을텐데....제가 사는 춘천에서 저런행사가 열리지 않기만을 바랄뿐입니다...^^:
2007.09.11 07:11:00 (*.229.109.2)

생업에 지장받는 분들은 안타깝지만,
서울에만 44년 살다보니, 정말 공기 나쁜게 심하게 느껴집니다. 온난화나 대기오염 예방.. 이제 더 늦춰서는 안될거 같더군요. 가끔은 이벤트성이라도, 하는게 좋다고 보여지네요. 근데.. 보통 차들은 괜찮은데, 동네 스쿠터들.. 왤케 매연이 심한지요. 수십미터 앞서가도 쾌쾌한 냄새.. 확~ 돌멩이 던지고 싶어집디다. ㅎㅎ
서울에만 44년 살다보니, 정말 공기 나쁜게 심하게 느껴집니다. 온난화나 대기오염 예방.. 이제 더 늦춰서는 안될거 같더군요. 가끔은 이벤트성이라도, 하는게 좋다고 보여지네요. 근데.. 보통 차들은 괜찮은데, 동네 스쿠터들.. 왤케 매연이 심한지요. 수십미터 앞서가도 쾌쾌한 냄새.. 확~ 돌멩이 던지고 싶어집디다. ㅎㅎ
2007.09.11 09:12:10 (*.181.70.2)

저는 익렬님과 반대로 지방에만 살다가 서울에 올라가보면 정말 공기가 많이 다르다는게 느껴집니다. 서울에 살면 차 못끌고 다니겠더라구요. 막히고 짜증나고... 기름값도 비싸구요. ㅠㅠ
2007.09.11 10:02:28 (*.95.133.91)

불편해하시는 분이 많은 것같은데...저는 차없는거리 아이디어에 찬성합니다. 아예 서울 4대문 주위로 환상도로를 만들고 대중교통/긴급자동차/업무용으로 허가된 차량 외엔 그 안으로 진입못하게 하는게 어떨까 하는 생각도 오래전부터 해봤습니다. 뭐 도시계획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분들은 다 아시는 내용이지만,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실제 이행하고 있는 도시들도 꽤 있습니다. 서울같은 대도시의경우, 많은 보완책이 필요하겠고 긴 적응기간, 시행착오도 있겠지요.그래도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지극히 원론적이지만 사람이 살만한 도시에서 살고 싶다는거 하나입니다.
2007.09.11 10:43:22 (*.106.205.55)

익렬님, 2사이클 스쿠터들 조만간에 없어질 예정입니다. 국내 생산업체인 대림에서도 내년까지만 2사이클 스쿠터를 생산하고 다 4사이클로 바뀝니다.
잘 아시겠지만, 2사이클 엔진은 엔진오일을 휘발유가 같이 태워서 보내기 때문에 많은 매연이 나옵니다.
하지만... 저같은 환자들은 그 달콤한(?)냄새를 무지 사랑한답니다. ㅋㅋㅋ
잘 아시겠지만, 2사이클 엔진은 엔진오일을 휘발유가 같이 태워서 보내기 때문에 많은 매연이 나옵니다.
하지만... 저같은 환자들은 그 달콤한(?)냄새를 무지 사랑한답니다. ㅋㅋㅋ
2007.09.11 11:57:29 (*.72.222.137)

대부분의 유럽 도시 들은 현재 이미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의 경우는 ZTL(Zona Traficco Limitato: Traffic Limited Zone) 이라고 해서 시내 중심부는 공공차량(버스,택시,관공차량 등등), 허가 받은 차량, 주민등록이 그 시내에 되어 있는 사람, 호텔에 숙박하는 사람, 2륜차를 제외한 다른 차량들은 못 들어가게 되어있습니다. 물론 시간제한이 있는 곳이 아직은 대부분이고요. 제가 살던 도시의 경우는 밤 10시부터 그 다음날 오후 1시까지는 허가받지 않은 차량은 못들어가게 되어있습니다. 단속도 전자태그를 붙이게 되어있어서 자동으로 단속이 되고 벌금도 10만원 가량 되는 꽤나 많은 벌금이 부과됩니다.
2007.09.11 12:00:04 (*.72.222.137)

서울 시내도 이런 제도가 생겼으면 하고 생각을 몇 년전부터 하고 있었지만, 서울이 워낙에 크고, 시내 중심이라고 할 만한 곳이 워낙에 많기 때문에 아무리 생각해도 불가능 하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서울 집이 삼청동 옆인데, 이번 차 없는 날도 왜 종로였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 차라리 강남 대로에서 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지 않을까 하는 의구심도 들고요. 택시가 지나 가지 못하고 납품하는 화물차들이 들어 가지 못한 다는 것은 대충 생각해낸 정책과시용 퍼포먼스였지 않나 싶기도 하고요. 무엇보다도 월요일이었다는 것..!!! 가장 이해 안 되는 것입니다.
2007.09.11 12:02:35 (*.72.222.137)

이탈리아 북쪽의 도시들 몇곳(Milano, Bergamo, Verona 등등) 은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은 차량 진입이 금지 됩니다. 물론 위에서 말했던 허가 된 차량들은 제외하고요. 이 날은 이륜차도 못 다닙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시민들은 자전거와 인라인을 타고서 대로를 활보 합니다. 주말만 되면 한시간에 한대씩 배차 되어있는 버스도 마지막주 토요일은 3배로 늘리고요. 이러한 배경이 뒷받침 되면서 그런 제도가 시행이 되어야 시민들의 동의와 함께 계속 진행 될 수 있고, 정부에서 얘기하는 선진문화에 가까워 가지 않을 까 싶습니다.
2007.09.11 12:04:16 (*.217.176.190)

전시행정에 전체주의...
대중교통의 수송능력에 여유가 있고 운행이 원활하다면 모를까...
누구에게나 만원 버스를 강요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버스에 애들이나 노약자는 어떻게 탑니까.
지하철이나 버스 회사야 좋겠지만 어떤 식으로든 피해보는 사람들 생각도 해야지요.
다수를 위해 소수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와 사상적으로 정면대치됩니다.
물론 다수를 위해 소수가 희생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문제는 불편과 희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안을 마련했느냐, 어떠한 노력을 보였느냐입니다.
저런 이벤트를 실시할 때는 시민들의 불편을 예상하여 버스의 배차 간격을 좁히고 불편이 따르지 않도록 원활하게 공급을 했어야 옳습니다.
또한 우회로도 충분히 알리고 신호 조정을 해야죠.
우리는 행사를 해야겠으니 불편하기 싫으면시민들이 알아서 대비하라는 것은 지극히 관료주의적인 생각입니다.
차라리 비싼 통행료를 물리던지....
집무실에서 차 없는 거리를 내려다 보며 단지 흐뭇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는지는 모르겠네요.
대비가 없다보니 민원이 발생하게 되고, 민원에 쩔절 매는 것이 반복되다보니( 할 말이 없겠죠.) 무리한 민원까지 발생하는 것입니다.
국가 행정에서 인권 제대로 존중되지 못하니 인권이 지켜지지도 않고, 그러다보니 인권 문제가 지적되죠.
나라가 인권에 대한 개념이 없으니 나아가 인권 찾으면서 자기 잇속만 챙기려는 꼴뚜기들이 생겨나는 것입니다.
취지야 좋지만, 민주주의 사회에서 그러한 일을 하려면 어떤 부분에서 배려가 있어야는지에 대한 것은 전혀 모르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 소수의 불이익은 무시하는 것, 그게 바로 전체주의이자 관료주의죠.
민주 사회라면 똑 같은 일을 하더라도 이런 식으로는 하지 않습니다.
역작용에 대한 대안과 정책 시행시 상대적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 이 것이 핵심입니다.
그런데 그 것도 모자라 이 행사를 기점으로 뭘 더 해먹으려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있네요.( 개연성이 없는 것 같은데.... 억지스럽죠.)
관료들은 뭔가 보여주고 업적을 남기려는 욕심 때문에 정작 국민의 권리는 무시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보기 바랍니다.
대중교통의 수송능력에 여유가 있고 운행이 원활하다면 모를까...
누구에게나 만원 버스를 강요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버스에 애들이나 노약자는 어떻게 탑니까.
지하철이나 버스 회사야 좋겠지만 어떤 식으로든 피해보는 사람들 생각도 해야지요.
다수를 위해 소수의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와 사상적으로 정면대치됩니다.
물론 다수를 위해 소수가 희생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문제는 불편과 희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안을 마련했느냐, 어떠한 노력을 보였느냐입니다.
저런 이벤트를 실시할 때는 시민들의 불편을 예상하여 버스의 배차 간격을 좁히고 불편이 따르지 않도록 원활하게 공급을 했어야 옳습니다.
또한 우회로도 충분히 알리고 신호 조정을 해야죠.
우리는 행사를 해야겠으니 불편하기 싫으면시민들이 알아서 대비하라는 것은 지극히 관료주의적인 생각입니다.
차라리 비싼 통행료를 물리던지....
집무실에서 차 없는 거리를 내려다 보며 단지 흐뭇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는지는 모르겠네요.
대비가 없다보니 민원이 발생하게 되고, 민원에 쩔절 매는 것이 반복되다보니( 할 말이 없겠죠.) 무리한 민원까지 발생하는 것입니다.
국가 행정에서 인권 제대로 존중되지 못하니 인권이 지켜지지도 않고, 그러다보니 인권 문제가 지적되죠.
나라가 인권에 대한 개념이 없으니 나아가 인권 찾으면서 자기 잇속만 챙기려는 꼴뚜기들이 생겨나는 것입니다.
취지야 좋지만, 민주주의 사회에서 그러한 일을 하려면 어떤 부분에서 배려가 있어야는지에 대한 것은 전혀 모르는 것 같아 아쉽습니다.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 소수의 불이익은 무시하는 것, 그게 바로 전체주의이자 관료주의죠.
민주 사회라면 똑 같은 일을 하더라도 이런 식으로는 하지 않습니다.
역작용에 대한 대안과 정책 시행시 상대적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 이 것이 핵심입니다.
그런데 그 것도 모자라 이 행사를 기점으로 뭘 더 해먹으려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있네요.( 개연성이 없는 것 같은데.... 억지스럽죠.)
관료들은 뭔가 보여주고 업적을 남기려는 욕심 때문에 정작 국민의 권리는 무시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보기 바랍니다.
2007.09.11 12:07:44 (*.72.222.137)

이륜차 얘기가 나와서 하는 얘기인데, 이탈리아에서도 이제 2싸이클 엔진이 달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제가 가장 좋아하는 제 애마이기도 한 Vespa PX 의 생산을 중지 합니다. 대신 그 생산 라인을 산 인도의 회사가 이름만 다른 똑같은 모델을 생산 하지만요. 유럽식의 교통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제 생각엔 무엇보다 이륜차 인구가 10배는 늘어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연비 좋고, 4싸이클 경우엔 매연도 거의 없는 무지하게 실용적인 교통수단으로 인식이 되어야 할 거 같습니다. 단지 배달용이라는 틀을 벗어나서요. 또 이탈리아 큰 도시들의 시내에선 Euro 0~4 까지 나뉘어져 있는 차량 배기가스 배출 정도 구분에 따라서 시내에 진입이 가능한 시간이더라도 "Euro 1 이하는 진입금지" 같은 규칙이 따로 있습니다.
2007.09.11 13:21:59 (*.161.237.86)

취지야 좋겠지만, 시위고 이런 이벤트고 죄다 강북에만 집중되어
있으니 죽을맛입니다.
툭하면, 시위다, 마라톤이다, 청와대 영빈관에서 행사라도 있는날이면
교통통제되기 일쑤고... 날씨좋은날이면 HID형님들이나 민노총에서
션하게 단합대회하곤 하시는데...
집의 위치상 그리로 자주 다니는 입장으로써는 좋아만 보이진 않더군요.
여러가지 불가항력적인 부분이 있겠지만, 실제 지역 거주자나 근로자들의
의견등은 무시된채 이루어지는 것은 반대입니다.
환경이나 교통문제들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적극동감하지만, 다른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고 이런것에만 관심을 갖고 있으니
안타까울때도 있네요.
있으니 죽을맛입니다.
툭하면, 시위다, 마라톤이다, 청와대 영빈관에서 행사라도 있는날이면
교통통제되기 일쑤고... 날씨좋은날이면 HID형님들이나 민노총에서
션하게 단합대회하곤 하시는데...
집의 위치상 그리로 자주 다니는 입장으로써는 좋아만 보이진 않더군요.
여러가지 불가항력적인 부분이 있겠지만, 실제 지역 거주자나 근로자들의
의견등은 무시된채 이루어지는 것은 반대입니다.
환경이나 교통문제들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적극동감하지만, 다른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고 이런것에만 관심을 갖고 있으니
안타까울때도 있네요.
2007.09.11 14:07:34 (*.178.134.200)
홍석호님의견에 적극 공감합니다.
각종 집회나 행사로 인한 피해를 그저 받아들여야만 하는 지역주민입장에서는 정말 열이 터집니다. 가끔 벌어지는 일회성 이벤트도 아니고..
거의 매주마다 이어졌던 대학로 집회때문에 짜증났던 걸 생각하면..;;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도 좋습니다만, 그걸 꼭 길을 막아야 하나요..
각종 집회나 행사로 인한 피해를 그저 받아들여야만 하는 지역주민입장에서는 정말 열이 터집니다. 가끔 벌어지는 일회성 이벤트도 아니고..
거의 매주마다 이어졌던 대학로 집회때문에 짜증났던 걸 생각하면..;;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도 좋습니다만, 그걸 꼭 길을 막아야 하나요..
2007.09.11 16:03:03 (*.109.16.251)
버스에 저는 앉아 있었지만 서서가는 사람들이 엄청나게 고통당하는 모습을 봤습니다..물론 저도 내릴땐 꽤나 힘들게 내렸져...어쨌거나 버스증차는 필수일듯하네여..
2007.09.11 21:48:29 (*.34.101.144)
달리 말하면, 버스나 지하철의 증설이나 생업용 차량의 최소한의 통행권이 있다면 찬성하시는 겁니까?
종로는 제가 본 대한민국의 땅중에서 가장 공기가 나쁜 곳이던데, 이런 전시형 행정이라도 해서 공기좀 정화시킬수 있다면 좋겠네요. 이번은 전혀 생각못하고 많은 부분에서 문제를 만들었다면, 내년에는 더 잘하면 되는거 아니겠습니까?
종로는 제가 본 대한민국의 땅중에서 가장 공기가 나쁜 곳이던데, 이런 전시형 행정이라도 해서 공기좀 정화시킬수 있다면 좋겠네요. 이번은 전혀 생각못하고 많은 부분에서 문제를 만들었다면, 내년에는 더 잘하면 되는거 아니겠습니까?
2007.09.11 23:04:19 (*.133.138.117)

하루사이에 댓글이 마니 올라왔군요.. ^^;;
존재감 없는 -고건 전서울시장 이나 이명박 전서울시장에비해- 오세훈
서울 시장께서 존재감을 보여 주시기 위해 이벤트성 행사를 열으신건
좋은데 무엇을 위한 행사였나가 문제라 보여집니다
현재 전체국세총액의 1/4을 차지하고 있는 유류세조차
어디에 쓰여지고 있는지 잘 알수 없는 상황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간부회의에서 차없는 날 행사를
계기로 혼잡통행료 부과대상 지역의 확대논의를 본격적으로
공론화해 달라고 지시했다"라고하니
결국 세금을 더 걷고 싶다는 이야기로밖에 들리지 않는군요
올해 초과세수가 예산대비 11조원 수준으로 예상되는
-이나마도 회계시스템의 오류로 6조원 적자났다더니 요즘에서야
정정 됬다죠- 이마당에 타이밍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_-;;
존재감 없는 -고건 전서울시장 이나 이명박 전서울시장에비해- 오세훈
서울 시장께서 존재감을 보여 주시기 위해 이벤트성 행사를 열으신건
좋은데 무엇을 위한 행사였나가 문제라 보여집니다
현재 전체국세총액의 1/4을 차지하고 있는 유류세조차
어디에 쓰여지고 있는지 잘 알수 없는 상황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간부회의에서 차없는 날 행사를
계기로 혼잡통행료 부과대상 지역의 확대논의를 본격적으로
공론화해 달라고 지시했다"라고하니
결국 세금을 더 걷고 싶다는 이야기로밖에 들리지 않는군요
올해 초과세수가 예산대비 11조원 수준으로 예상되는
-이나마도 회계시스템의 오류로 6조원 적자났다더니 요즘에서야
정정 됬다죠- 이마당에 타이밍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_-;;
2007.09.12 01:37:09 (*.147.157.28)

어제 더불어 서울 교통란 지하도로로 해결하겠단 뉴스가 나오더군요..
지하도로...혼잡세 징수 구간 증설 다 좋습니다만...
사안의 본질을 외면하는 임시 방편적 대안일 뿐이라 생각 합니다.
서울과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수도권역은 지나치게 포화 상태 입니다.
그러다보니 도시행정에 있어 효율이나 복리 등을 생각할 수 조차 없습니다.
지하철 구간, 상하수도 및 각종 지하시설를 피해 최소 왕복 6차선 이상의
순환/구간 지하도로를 건설할 비용으로 차라리 단계별 인구분산화 정책에
투자를 했음 하는 바람 입니다.
그저 현 정부에 반기를 들겠다는 반발심으로 어이없게 사그라드러 버린
수도이전 정책이 아쉬울 따름 입니다
지하도로...혼잡세 징수 구간 증설 다 좋습니다만...
사안의 본질을 외면하는 임시 방편적 대안일 뿐이라 생각 합니다.
서울과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수도권역은 지나치게 포화 상태 입니다.
그러다보니 도시행정에 있어 효율이나 복리 등을 생각할 수 조차 없습니다.
지하철 구간, 상하수도 및 각종 지하시설를 피해 최소 왕복 6차선 이상의
순환/구간 지하도로를 건설할 비용으로 차라리 단계별 인구분산화 정책에
투자를 했음 하는 바람 입니다.
그저 현 정부에 반기를 들겠다는 반발심으로 어이없게 사그라드러 버린
수도이전 정책이 아쉬울 따름 입니다
살포시 생각해 봅니다..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