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오늘 광주에 다녀오다가 제차 옆구리로 경차를 밀어버릴 뻔 했습니다.
성남으로 가던 중 2차선에서 1차선으로 차선을 바꿔야하기에
깜빡이를 켜고 사이드미러로 확인 후 고개를 돌려 확인하고 자신있게 들어갔죠.
1차선을 약 25%정도 먹고 들어갔는데 사이드미러 끝에 왠 흰색 물체가 보여 2차선으로 황급히 이동했습니다.
그차도 놀랐는지 뒤늦게 크락션을 누르더군요.
다시 확인해보니 흰색 경차였습니다. 1리터 엔진달렸다는 그...
차선 바꿀 때 사이드미러로 확인하면 웬만한 소형차는 제차보다 뒤에 있으면 트렁크가 보이고, 앞에 있으면 숄더체크시 범퍼가 보이기 마련이죠.
근데 경차들은 고개를 아무리 돌려서 봐도 옆에 안보이고, 사이드미러를 봐도 사각지대에 정확히 들어있는 경우가 많아 아주 겁납니다.
제가 옆구리로 밀어버렸으면 그 차는 중앙분리대 들이받고 스핀했겠죠.
물론 제가 무조건 잘못한거지만 경차 운전자도 제가 방향지시등을 넣었을 때 감속해주거나 했으면 더 좋았을 거 같습니다.
각그랜저처럼 긴 차들이 사각지대가 상대적으로 더 있긴해서 항상 조심하는데도 이런 사태가 생기네요.
서울에 도착해서는 사거리에서 전 좌회전 한 순간, 반대편에서는 S600이 우회전을 해서 제가 위치한 4거리 내에 1차선까지 순식간에 진입하더군요.
악셀을 더 밟아서 피하긴 했는데 아주 무서운 순간이었어요.
차는 힘이 강해야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제 평소의 지론이 빛을 발한 순간이죠.
근데 웃기는 건 S600운전자분이 오히려 제게 열받아서 제 옆에 붙어서 저를 노려보시는 듯했네요.
지금 생각 난건데요... S600운전자분도 상대적으로 작은 제 차가 안보여서 그랬을까요? ㅎㅎㅎ
오늘 일진이 아주 안좋은 듯합니다.

저도 사이드미러에 뽈록이 거울 달아서 어느정도 극복이 되는거 같습니다...
처음에 사각지대 방지차원에서 뽈록이 거울달았었는데...
별 의미가 없더군요 뽈록거울이 있어도 그냥 사이드미러밖에 안보이더군요...
그래서 옆에볼때 사이드미러보고, 뽈록거울 별도로 한번더 신경써서 보고하다보니
어언 몇년만에 적응이 좀 되는거 같으네요...

선암님, 안녕하세요~
'경차 운전자도 제가 방향지시등을 넣었을 때 감속해주거나 했으면'
이 부분은 조금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하마터면 부딪칠 상황에서 그걸 바라시는 건 무리가 있지 않을까요..
물론 단편적으로 쓰신 글로만 봐서 드는 생각입니다. ^^

전 경차를 타면 보통 겪는다는 "큰 차들이 그냥 밀고 들어와요" 의 대부분이 사각지대에 들어가서 그런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차가 좌우 앞뒤로 작으니 말이죠.. 음~
곡률이 적당해서 사각지대가 없는 사이드 미러를 모든 차량마다 달아주면 참 좋겠는데 그거 얼마 한다고 잘 안달아주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차량들에 간혹 장착되어 나오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만..........
중형차 이상에서는 순정으로도 약간 볼록이긴 한데 그 곡률이 너무 미미해서 사각을 완전히 없애주지는 못하고 한 절반쯤만 커버하는 것 같습니다.
처제 모닝을 몰아보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완전 평면 거울이더군요.
사이드 미러에 보이는 부분이 너무나 적은 것을 보고, 이런 차를 운전하면서도 사고가 그렇게 많지 않은 것이 참 신기했습니다.
사이드 미러에 led 리피터는 달아 놓으면서 거울은 평면을 쓰다니.........
제 차에는 보조 미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사이드 미러 거울면에 붙이는 종류는 거울면의 일부를 잠식하므로 좋지 않고 너무 볼록이어서 두 거울간 사물의 크기가 달라 잘 보이지 않습니다.
적당한 곡률을 가진 보조 미러를 A필러 실내부분에 장착하고 운전석에 앉아서 보조미러와 사이드 미러가 일직선상에서 연결되어 보이게 조정해놓습니다. 사이드 미러도 약간 볼록이긴 합니다만 그걸로는 한참 모자라더군요.
덕분에 골목에서 우회전해서 큰 도로로 진입할 때도 고개를 돌려서 보기 전에 보조미러로 먼저 볼 수 있습니다. 머리보다는 훨씬 차량 앞쪽에 있으니까요.
차량 제조사들이 기본적인 개념을 가지길 바라봅니다.
제 첫차가 마티즈1 황금색이었조 큰차들이 엄청 무시함니다. 막 껴들고 빵빵거리고,,, 갈비집에서 주차를 맨 귀퉁이에다 하도군요 ㅋㅋ 그래도 황금 마티즈가 그리워요
저도 얼마전 입양한 차량의 운전석쪽 미러가 평면거울이어서 적응하려고 한참 노력했었습니다.
평소 보던 볼록거울이 아니라 사물이 무척 가까워보여 (한참뒤의 차량이 사이드미러에 꽉차게 보임) 차선 변경때마다
두근두근 했었죠... 결국 양곡미러(?)던가... 여튼 곡률이 꽤 큰 거울로 교환했습니다...
사각이 많이 줄어들어서 좋긴한데... 그래도 사각이 있긴 하더군요.. (경차나 오토바이)
안좋은점은... 좁은 공간에 차량을 주차할때 차량 후미부분과 공간의 틈이 무척 좁아보여 난감하다는 정도..
거울 각을 어떻게 하셨는지 모르지만,,, (제가 F3 레이서출신운전학원20년차할아버지선생님께 배운 바 + 둘다 사용해본 경험으로는) 백미러에 자기 차가 보이면 안됩니다.......................................룸미러를 기준으로 왼쪽거울 오른쪽거울 총 3개거울의 이미지가 파노라마처럼 한개로 이어지게 하시면 사각은 거의!(완벽히는 아니고,, 300C는 차길이의 95%, 투스카니는90%. 그랜드카니발은 100% 됨...)없어집니다. 단,,,, 후진할때는 거울로 못하고, 몸 돌려서 sexy를 연습~~~해야 한다는 점이... ㅋㅋ

운전석쪽 사이드미러가 평면거울인 차들은 운전하기가 상당히 힘들더군요...
여지껏 운전한 차들이 볼록거울인지라 가끔 지인차들을 운전할때 평면이면 타이밍도 못맞추겠고 거리도 조절이 안돼서
긴장하고 스트레스 받으면서 운전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차를 살 때 선택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ㅠ.ㅠ

저 역시도 운전석미러가 평면이라서 그런지 처음엔 적응하기 너무 어려웠었는데요..
지금은 아예 문손잡이 간신히 보이게끔 해놓고 다니니 좀 괜찮아졌습니다
처음엔 사각지대에 자주 걸려서 정말 힘들었었어요~

숄터체크만 하면 거의 사각지대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사각이 엄청 많은 차를 맨날 타도 고개만 돌려서 체크하면 50cc 스쿠터를 제외하곤 거의다 보입니다.
김성모님의 말씀대로 하면 사각은 거의 없어집니다. 단, 후진 주차할 때 좀 불편하지만 익숙해지면 괜찮습니다.
룸미러에서 뒤에서 따라오는 양쪽 차선의 차량이 자기차를 추월할 때 사라지게 되는 부분부터 양쪽 백미러가 커버하도록 하면 되는데, 백미러가 거의 바깥쪽으로 열리게 되고 자기 차가 보이지 않습니다. 전 몇개월 전부터 이렇게 해놓고 다니는데 아주 편하고 아파트 주차장에서도 불편없이 주차하고 있습니다.
백미러 세팅방법은;
1.룸미러 세팅, 백미러 높이 세팅
2.좌측 백미러 : 안전벨트 메고 핸들을 잡은 후 머리를 좌측 윈도우로 붙혀 백미러에 자기차 뒷부분이 조금 보이도록 조정
3.우측 백미러 : 안전벨트 메고 핸들을 잡은 후 머리를 우측으로, 차 좌우 중간부분에서 우측 백미러를 보아 차 뒷부분이 조금 보이도록 조정
4. 최종 조정 ( 룸미러와 좌우 백미러가 끊임없이 잘 보여주는지 실제 상황에서 조정 )
한번 시도해 보세요.

저는 요새 많이 파는 3S 렌즈 붙이고 있습니다 --; 특히 BMW는 조수석 평면 미러라 아주 불편한데 볼록 거울을 붙였을 땐 밤에 너무 불편하더군요;; 근데 3S 렌즈는 괜찮아서 가족들 차에 다 붙여줬습니다... ㅎㅎ
경차만 그런 것은 아니고 일반적인 승용차는 다 그런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저는 오토바이가 무섭습니다.
방향도 이리저리 다니고 틈만 보이면 끼고... 그래서 사이드 미러나 리어 뷰 미러에 오토바이가 가까이에 보이면 긴장 모드.
웬만해서는 차선 안 바꾸고 차선 바꾸일 생기면 평소보다 턴 시그널 일찍 넣고 여유있게.
여유 운전만이 그나마 방어 운전에 최선 같습니다.

예전에 어떤 분이 "뒤따라오는 차들의 거동을 모두 파악하고 있지 않으면 불안하다."고 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예를 들어 왼쪽 뒤에 따라오던 마티즈가 후방에서 갑자기 없어졌으면 1) 정차,좌,우회전했거나 2) 사각으로 들어왔거나 3) 나를 추월했거나 셋 중 하나인거죠. 앞에 없으면 3)이 아니고 1)보다는 2)가 더 위험한 상황이므로 내가 차선을 변경하려 할 때에는 2)의 상황을 확인해야만 하는 것이 됩니다.
뭐 로직으로는 이런데, 이럴려면 수시로(=짧은 주기로) 전방,후방,좌,우를 모두 체크하면서 모든 차들을 인식하고 변화를 판단해야 하는 프로세싱의 부담이 생깁니다. -_-
제 머리로는 이게 안돼서 그냥 숄더첵 비스무레하게 하게 됩니다. ;;

숄더테크를 하실때 고개를 좀 더 뒤로 돌려보시면 사각이 없어질겁니다.
전 사이드, 리어, 그 다음에 솔더체크 이렇게 3번체크합니다.
오 차가 작으면 안 보이는군요. 그런 경우는 처음 들어봅니다. 저도 운전할 때 조심해야겠네요. (이런 점에서 볼보의 그 BLISS인가.. 사각지대 체크 시스템이 애프터 마켓에서 설치 가능하거나 전 차종으로 퍼지면 좋을 텐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