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안녕하세요. 전민근 입니다.
요즘 지름신이 한참 와계셔서 제대로 영접하질 못해 죄송한 마음에 이것저것
몇가지를 지르게 되었습니다. 일단 순정품들(인젝터, 연료필터, 오페라실린더 등)과 타이어,
점화플러그 등등... 그 중에 제가 꼭 달아보고 싶었던, 그래서 예전에 1.5 오토 시절부터
세번이나 구입했다가 다시 되팔은 hks 흡기필터였습니다. .5 시절엔 용량이 맞질 않아서
참 맘 고생이 심했죠. 저놈을 쓰고 싶은데 제 차에는 맞질 않으니 이건 해볼 도리가 없더군
요. 하지만 지금 차는 2.0 하이캠에다가 저랑 비슷한 스펙의 차들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필
터라 주저없이 갔다 바쳤습니다. 다행히 일본에서 직접 사오신 어느 분이 새 제품을 좀 저렴
하게 팔고있던 지라 냉큼 지르게 되었습니다. 참....신형 아시죠? 리로디드 필터. 이놈은
전에 나오던 슈퍼파워 플로우가 습식(?) 인데 비해 건식이더군요. 사이즈는 200-80 이었고
일단 전에 사용하던 k&n 타이푼 필터 3천cc이상용 필터를 빼고 기존의 인테이크에 밴드를 이
용해서 장착을 했습니다. 오~ 좋아... 이거야~ 강렬한 그린~~~
일단 시승을 했습니다. 일상적인 영역에서는 뭐... 괜찮습니다. 흡기음도 더 조용해지고...
흐흐... 역시 좋군. ㅋㅋㅋ 혼자 좋아라 했죠.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여자친구 데려다
주고 내려오면서 최고속 테스트도 한번 해볼 겸 중부3터널 입구에서 80킬로를 맞춘다음 터널
진입과 동시에 4단에서부터 풀가속 합니다. 터널에서 나올무렵 4단 7천5백에 x50을 마크하며
우측으로 살짝 굽어진 다리가 끝날 무렵 x80에 아주 약간 못미치는 속도가 나옵니다. 이상하
게 전에 쓰던 타이푼 필터보다 몸이 뒤로 밀리는 느낌이 없습니다. 그렇게 미적미적 가속을
하다가 다시 좌로 굽어지는 코너와 함께 완만한 오르막이 시작됩니다. 기어는 5단, 알피엠은
6천9백 고정. 속도계도 대략 y10~20 고정...-_-;; 순간 허탈해집니다. 집에 돌아온 저는 바로
본넷을 열어서 필터를 보며 속싹입니다. '내가 미쳤지...'
바로 필터를 빼내서 다시 타이푼 필터를 갈아 끼우고 다시 몇일을 다닙니다. 역시 느낌이 참
좋습니다. ㅋㅋ 동일한 장소에서도 최고속 잘~나오고 5단 7천5백까지 잘 밀어줍니다. 후...
필터를 팔아버리려는 찰라... 친구들이 만나자고 해서 곤지암 도자기 박물관 주차장에서
얘기를 하다가 그놈 차에 달려있던 수제작 인테이크가 보입니다. 내경 76파이에 제 인테이크
보다 10센티가량 더 길고... 바로 뺏어서 hks필터와 조합후 다시 테스트하러 경안ic까지
갔다가 차를 돌려서 동일하게 가속을 해봅니다. 오~ 터널을 나오기 50미터 전에 4단7천5백
알피엠에 속도계는 x50 입니다. 이내 5단을 찔러넣고 다시 가속... 다리를 건널 무렵 x80이
넘어가 있습니다. 계속 가속합니다. 좌로 굽은 코너가 나오기 전에 5단 7천5백알피엠을 찍
어버립니다. 저는 그 길로 인테이크를 끼우고 바로 집으로 가버렸습니다. -_-
농담이구요.ㅋ 친구차는 구형아반떼 2.0 흡배기인데 제가 말했죠. '이거 아무래도 니차에는
오버스펙이야. 허당친다' 이러고는그냥 트렁크에 실려있던 인테이크 하나 꼽아줬더랬죠. ㅋㅋ
제가 나쁜 놈인가요? -_-;;;
그나저나 참 재미있습니다. 이런 작은(?) 부분 하나에서도 이렇게 예민하게 반응하니...
요즘 지름신이 한참 와계셔서 제대로 영접하질 못해 죄송한 마음에 이것저것
몇가지를 지르게 되었습니다. 일단 순정품들(인젝터, 연료필터, 오페라실린더 등)과 타이어,
점화플러그 등등... 그 중에 제가 꼭 달아보고 싶었던, 그래서 예전에 1.5 오토 시절부터
세번이나 구입했다가 다시 되팔은 hks 흡기필터였습니다. .5 시절엔 용량이 맞질 않아서
참 맘 고생이 심했죠. 저놈을 쓰고 싶은데 제 차에는 맞질 않으니 이건 해볼 도리가 없더군
요. 하지만 지금 차는 2.0 하이캠에다가 저랑 비슷한 스펙의 차들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필
터라 주저없이 갔다 바쳤습니다. 다행히 일본에서 직접 사오신 어느 분이 새 제품을 좀 저렴
하게 팔고있던 지라 냉큼 지르게 되었습니다. 참....신형 아시죠? 리로디드 필터. 이놈은
전에 나오던 슈퍼파워 플로우가 습식(?) 인데 비해 건식이더군요. 사이즈는 200-80 이었고
일단 전에 사용하던 k&n 타이푼 필터 3천cc이상용 필터를 빼고 기존의 인테이크에 밴드를 이
용해서 장착을 했습니다. 오~ 좋아... 이거야~ 강렬한 그린~~~
일단 시승을 했습니다. 일상적인 영역에서는 뭐... 괜찮습니다. 흡기음도 더 조용해지고...
흐흐... 역시 좋군. ㅋㅋㅋ 혼자 좋아라 했죠.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여자친구 데려다
주고 내려오면서 최고속 테스트도 한번 해볼 겸 중부3터널 입구에서 80킬로를 맞춘다음 터널
진입과 동시에 4단에서부터 풀가속 합니다. 터널에서 나올무렵 4단 7천5백에 x50을 마크하며
우측으로 살짝 굽어진 다리가 끝날 무렵 x80에 아주 약간 못미치는 속도가 나옵니다. 이상하
게 전에 쓰던 타이푼 필터보다 몸이 뒤로 밀리는 느낌이 없습니다. 그렇게 미적미적 가속을
하다가 다시 좌로 굽어지는 코너와 함께 완만한 오르막이 시작됩니다. 기어는 5단, 알피엠은
6천9백 고정. 속도계도 대략 y10~20 고정...-_-;; 순간 허탈해집니다. 집에 돌아온 저는 바로
본넷을 열어서 필터를 보며 속싹입니다. '내가 미쳤지...'
바로 필터를 빼내서 다시 타이푼 필터를 갈아 끼우고 다시 몇일을 다닙니다. 역시 느낌이 참
좋습니다. ㅋㅋ 동일한 장소에서도 최고속 잘~나오고 5단 7천5백까지 잘 밀어줍니다. 후...
필터를 팔아버리려는 찰라... 친구들이 만나자고 해서 곤지암 도자기 박물관 주차장에서
얘기를 하다가 그놈 차에 달려있던 수제작 인테이크가 보입니다. 내경 76파이에 제 인테이크
보다 10센티가량 더 길고... 바로 뺏어서 hks필터와 조합후 다시 테스트하러 경안ic까지
갔다가 차를 돌려서 동일하게 가속을 해봅니다. 오~ 터널을 나오기 50미터 전에 4단7천5백
알피엠에 속도계는 x50 입니다. 이내 5단을 찔러넣고 다시 가속... 다리를 건널 무렵 x80이
넘어가 있습니다. 계속 가속합니다. 좌로 굽은 코너가 나오기 전에 5단 7천5백알피엠을 찍
어버립니다. 저는 그 길로 인테이크를 끼우고 바로 집으로 가버렸습니다. -_-
농담이구요.ㅋ 친구차는 구형아반떼 2.0 흡배기인데 제가 말했죠. '이거 아무래도 니차에는
오버스펙이야. 허당친다' 이러고는그냥 트렁크에 실려있던 인테이크 하나 꼽아줬더랬죠. ㅋㅋ
제가 나쁜 놈인가요? -_-;;;
그나저나 참 재미있습니다. 이런 작은(?) 부분 하나에서도 이렇게 예민하게 반응하니...
2007.10.09 09:35:08 (*.100.186.136)

이론적인 스펙과 테스트주행상 차이는 그때 그때 달라요~~~ 라고 말하고 싶네요.... 흡기셋팅은 최고속 고회전에 맞게 하면 좋겠지만 왠지 일상영역의 저출력의 문제점이 있더군요.... 둘다 만족할만한 선에서 타협하시는게~~~좋을뜻하네요..... 요즘 민근님 글읽어보는게 하나의 버릇이 되었네요
2007.10.09 11:36:41 (*.145.162.179)

흡기관과 필터는 이렇게 저렇게 만져봐야 character 만 달라지고 전반적인 성능 향상(?)은 크게 기대되지 않던데.. 그냥 재미로 생각하세요. ^^
2007.10.09 11:43:37 (*.94.41.89)

얼마전 게이지를 장착하고 측정한 부스트가 소소하지만 기준 이하로
나오길래 바꾼 인테이크 필터탓이라 믿고 기분이 좀 상해 있었어요.
그러다 날씨 좋은날 필터청소를 싹 다시 해 주었더랬죠.(많이더러움..)
오염이 원인이였다고 정확히 말하긴 뭐하지만 다시 부스트 정상으로
올라갔습니다. 필터종류에 연연하기 보다 청소를 자주 해 주는게 더
좋은것 같습니다 ^^
나오길래 바꾼 인테이크 필터탓이라 믿고 기분이 좀 상해 있었어요.
그러다 날씨 좋은날 필터청소를 싹 다시 해 주었더랬죠.(많이더러움..)
오염이 원인이였다고 정확히 말하긴 뭐하지만 다시 부스트 정상으로
올라갔습니다. 필터종류에 연연하기 보다 청소를 자주 해 주는게 더
좋은것 같습니다 ^^
2007.10.09 12:04:43 (*.178.101.34)

ITG 60/70 필터를 끼고 다이나 실차맵핑을 돌렸는데.. 최대토크 지점에서 순정 맵과 겹쳐지는 공기가 원활하게 들어오지 못하는 증상을 보였습니다..
맵핑해주신 실장님 말씀으로는 공기량이 데이터보다 적게 들어와서 함몰 구간이 생기게 된다고 하셔서.. 시일이 지나고..200/80 HKS 리로디드 장착하고 맵 수정을 하러 갔드랬죠..
사이즈차이가 있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HKS 200/80 사이즈가 ITG 60/70 보다 확실히 우위에 있더군요.. 공기량도 데이터만큼 확보가 되는걸로봐서 흡입이 잘되는거같습니다...^^
인테이크도 단열지 + 전기테잎을 2중으로 해서 열을 차단 시켜주었더니...흡기에는 아주 만족스런 결과가 나왔습니다..^^ 저는 HKS 리로디드 상당히 만족 하고 있습니다.. (2000cc 오토)
맵핑해주신 실장님 말씀으로는 공기량이 데이터보다 적게 들어와서 함몰 구간이 생기게 된다고 하셔서.. 시일이 지나고..200/80 HKS 리로디드 장착하고 맵 수정을 하러 갔드랬죠..
사이즈차이가 있어서 그런지 모르겠지만...HKS 200/80 사이즈가 ITG 60/70 보다 확실히 우위에 있더군요.. 공기량도 데이터만큼 확보가 되는걸로봐서 흡입이 잘되는거같습니다...^^
인테이크도 단열지 + 전기테잎을 2중으로 해서 열을 차단 시켜주었더니...흡기에는 아주 만족스런 결과가 나왔습니다..^^ 저는 HKS 리로디드 상당히 만족 하고 있습니다.. (2000cc 오토)
2007.10.09 12:48:24 (*.223.107.181)

ㅍㅎㅎㅎ 진짜 그냥 집에 가신 줄 알았습니다. ㅋㅋ
그나저나 필터질 제가 해봤는데요... ^^; (다이나모에 묶어 놓고 이거 껴보고 저거 껴보고, 나중엔 아예 빼고도 돌렸습니다.) 확실히 그래프가 차이가 납니다.
아예 빼고 돌리면 출력은 최고로 나올 줄 알았는데 그렇지도 않더군요.
전공자들 왈.. 관성과 맥동을 이해해야 한다는데, 이게 배기보다 훨씬 어렵다고 합니다.
저는 요새도 흡기는 다이나모에 묶어 놓고 하나하나 바꿔가며 결정하고 있습니다. ㅡ.ㅡㅋ
그나저나 필터질 제가 해봤는데요... ^^; (다이나모에 묶어 놓고 이거 껴보고 저거 껴보고, 나중엔 아예 빼고도 돌렸습니다.) 확실히 그래프가 차이가 납니다.
아예 빼고 돌리면 출력은 최고로 나올 줄 알았는데 그렇지도 않더군요.
전공자들 왈.. 관성과 맥동을 이해해야 한다는데, 이게 배기보다 훨씬 어렵다고 합니다.
저는 요새도 흡기는 다이나모에 묶어 놓고 하나하나 바꿔가며 결정하고 있습니다. ㅡ.ㅡㅋ
2007.10.09 14:36:54 (*.145.162.179)

오준호님 그래프의 전 영역에서 차이가 나나요? maximum 값은 차이가 납니다. 그리고 다이나모는 엔진의 케릭터 모두를 보여주지는 않습니다. 레스펀스가 무시됩니다. 파셜드로틀에서의 토크와 연비등도 중요한 요소구요. 수치나 그래프가 모든 걸 보여주지 않는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07.10.09 15:10:25 (*.214.84.253)

물론입니다. 다이나모는 어차피 풀로드 상황에서의 제한적인 정보만 제공하기 때문에, 피크치가 높다고 꼭 최고의 셋팅은 아니죠. ^^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미리미리 이것 저것 다이나'몸' 으로 감을 잡은 후에 다이나모로 확인하는 정도겠죠.
필터만 빠꿔가며 해보기도 하고, 인테이크 파이프도 바꿔가며 해보기도 했는데, 어떤 결과는 다이나모의 오차범위라고 봐야할 미미한 변화도 있었지만, 전 영역에서 확실히 차이가 나는 경우도 더러 있었습니다. 이는 엔진의 성격에 따라 또 틀렸던것 같네요.
아무튼 저는 절대적 고성능의 추구는 능력상 어려워서.. 그냥 가용한 범위내에서 상대적 고성능을 찾은 경우라고 하겠습니다. ㅎㅎ 결과적으로 차이가 나는 이유는 잘 모릅니다.ㅡㅡㅋ
필터만 빠꿔가며 해보기도 하고, 인테이크 파이프도 바꿔가며 해보기도 했는데, 어떤 결과는 다이나모의 오차범위라고 봐야할 미미한 변화도 있었지만, 전 영역에서 확실히 차이가 나는 경우도 더러 있었습니다. 이는 엔진의 성격에 따라 또 틀렸던것 같네요.
아무튼 저는 절대적 고성능의 추구는 능력상 어려워서.. 그냥 가용한 범위내에서 상대적 고성능을 찾은 경우라고 하겠습니다. ㅎㅎ 결과적으로 차이가 나는 이유는 잘 모릅니다.ㅡㅡㅋ
2007.10.09 16:29:15 (*.214.84.253)

다시보니 제 얘기가 굉장히 오버스럽게 느껴지는 부분이 있네요. ^^;
필터하나 결정하는것도 다이나모까지 동원해야할 큰 일인것 처럼 써 놨군요. ㅋ
사실 제가 다이나모까지 동원한 이유는 단지 '재미'있기 때문입니다. 실험으로 가장 좋은 셋팅을 찾을 순 있지만 기껏해야 몇 마력 차이인 데다가, 롱이니 숏이니 고속형이니 저속형이니 해봐도, 전체적인 그래프의 기울기는 변화하지 않습니다.
진짜 흡기셋팅은 스로틀 바디 이후 입니다. 즉 서지탱크의 용적 및 형상, 러너의 길이와 내경을 변화 시키게 되면 진짜로 그래프가 변합니다. 이 때 말고는 사실 다이나모 까지 동원하는건 삽질 맞습니다. ㅡ.ㅜ
그래도 나는 1마력에 살고 죽는다는 분들이나 자잘한 재미를 찾는 분들은 언제 기회될 때 해보세요. 차이는 납니다. ㅎㅎ
필터하나 결정하는것도 다이나모까지 동원해야할 큰 일인것 처럼 써 놨군요. ㅋ
사실 제가 다이나모까지 동원한 이유는 단지 '재미'있기 때문입니다. 실험으로 가장 좋은 셋팅을 찾을 순 있지만 기껏해야 몇 마력 차이인 데다가, 롱이니 숏이니 고속형이니 저속형이니 해봐도, 전체적인 그래프의 기울기는 변화하지 않습니다.
진짜 흡기셋팅은 스로틀 바디 이후 입니다. 즉 서지탱크의 용적 및 형상, 러너의 길이와 내경을 변화 시키게 되면 진짜로 그래프가 변합니다. 이 때 말고는 사실 다이나모 까지 동원하는건 삽질 맞습니다. ㅡ.ㅜ
그래도 나는 1마력에 살고 죽는다는 분들이나 자잘한 재미를 찾는 분들은 언제 기회될 때 해보세요. 차이는 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