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보배드림에 올라온 자료입니다.
독일 프리미엄 삼총사(벤츠, 비엠, 아우디) 중에서 하나를 골라 들여올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다양한 브랜드의 차종이 들어옵니다.
가격적인 메리트를 위해 상위 모델이 많이 들어오는 것 같네요...
335i가 6천만원 초반대라면... 시장 구조가 많이 흔들릴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그레이임포터들이 받을 타격이 클 것 같습니다.
중고차 가격도 많이 떨어지겠군요... ㅡㅡ;
-----------------------------------이하 원문------------------------------
정말 꽤 다양한 차종이 들어옵니다..
국내에서 거품이 있는차량들은 메이커 가리지않고 다들어오네요..독일차의 거품이 특히 심했는지 독일차 위주가 많네요..일단 각 브랜드의 기함들은 다 가지고 들어오네요.
s550,745li,a8,ls460 과 a6 3.0콰뜨로,벤츠 e350 ,비엠 530..그리고 335i (6000만원초반대에 때린다고하니..후덜덜입니다.) 독일차의 거품이 얼마나 심한지 드러나는거지요..분당의 두 군데 딜러샾이 생기구여..(얼마전에 보니까 리모델링중이더군요.).. 독일차의 경우 미국버젼과 독일버젼의 가격이 약간 다르게 책정되는것같습니다..크게 차이는안나지만여..독일차 삼사도 어쩔수없이 가격내릴려고 협의중이랍니다..(xx같은넘들..그동안 많이 해먹었지머..)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정말 기쁜일이 아닐수없습니다... 솔직히 a/s문제 이야기하는데여..엔진 트러블생겨서 제대로 조치해주는것 본적없고..수리비역시 장난아니게 눈탱이 쳐서 받는데...굳이 정식으로 하는분들 이해안갑니다..1000만원내외에 차이라면 모를까..그이상차이나면 볼것없이 그레이로 가는게 현명할듯싶습니다..
이제 소비자들이 정신차려서 쓸데없이 독일차의 가격이 정당하다는 어리석은 생각들버리고 현명한 소비했으면 합니다...
독일 프리미엄 삼총사(벤츠, 비엠, 아우디) 중에서 하나를 골라 들여올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다양한 브랜드의 차종이 들어옵니다.
가격적인 메리트를 위해 상위 모델이 많이 들어오는 것 같네요...
335i가 6천만원 초반대라면... 시장 구조가 많이 흔들릴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그레이임포터들이 받을 타격이 클 것 같습니다.
중고차 가격도 많이 떨어지겠군요... ㅡㅡ;
-----------------------------------이하 원문------------------------------
정말 꽤 다양한 차종이 들어옵니다..
국내에서 거품이 있는차량들은 메이커 가리지않고 다들어오네요..독일차의 거품이 특히 심했는지 독일차 위주가 많네요..일단 각 브랜드의 기함들은 다 가지고 들어오네요.
s550,745li,a8,ls460 과 a6 3.0콰뜨로,벤츠 e350 ,비엠 530..그리고 335i (6000만원초반대에 때린다고하니..후덜덜입니다.) 독일차의 거품이 얼마나 심한지 드러나는거지요..분당의 두 군데 딜러샾이 생기구여..(얼마전에 보니까 리모델링중이더군요.).. 독일차의 경우 미국버젼과 독일버젼의 가격이 약간 다르게 책정되는것같습니다..크게 차이는안나지만여..독일차 삼사도 어쩔수없이 가격내릴려고 협의중이랍니다..(xx같은넘들..그동안 많이 해먹었지머..)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정말 기쁜일이 아닐수없습니다... 솔직히 a/s문제 이야기하는데여..엔진 트러블생겨서 제대로 조치해주는것 본적없고..수리비역시 장난아니게 눈탱이 쳐서 받는데...굳이 정식으로 하는분들 이해안갑니다..1000만원내외에 차이라면 모를까..그이상차이나면 볼것없이 그레이로 가는게 현명할듯싶습니다..
이제 소비자들이 정신차려서 쓸데없이 독일차의 가격이 정당하다는 어리석은 생각들버리고 현명한 소비했으면 합니다...
2007.10.12 16:10:05 (*.55.192.254)

와우~, 길고 긴 토론을 본 듯 합니다. 속성(사고,팔고,얻고,주고 하는 인간군들의 기본적인)에 대한 생각도 많이 되새김질 해 봤네요. SK는 워런티A/S전용 보험가입을 해 주지 않을까 합니다. (기존 통계나 향후 예측 워런티비용을 이용해) 출고시 보험회사에 가입해주고 A/S발생시 그 보험금으로 수리를 하며, 수리처는 각지의 1~2급 정비소중 계약제로 해결할 듯 합니다만... 제 상상일 뿐일지도... 현 시점에서 젤 빠른 방법이 아닐까하는 생각에~
2007.10.12 21:21:26 (*.166.164.191)

어제밤에 긴글을 일고 또 긴 뎃글을 달다 그만 날아가 버렸습니다. 애석하게도...
암튼 저는 순기능쪽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그 이유야 위에 최섭님및 다른 호원분들께서 많은 이야기를 해주셨고 저또한 최섭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한가지만 더 언급하자면 이미 딜러 경헙도 있고 중고차 매매 사업도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기업에서 서비 스조직과 그간의 경험이 거대조직의 SYSTEM과 자본과 맞닥 드린다면
현 메이저 수입사와 비슷한 레벨의 서비스를 하기까지 그리 오랜시간이 걸리지 않을거라는
생각입니다.
이미 SK측 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상황들에 대한 여러가지 시뮬레이션을 충분히 하고 덤비는
느낌입니다. 물론 부품수급에 대한부분도 충분한 조직을 보유(상사를 운영)하고 있고 돈을 벌수 있고 국내 경쟁에서는 충분한 승산이 있다고 판단하고 뛰어든거지요..어쩌면 그이상의 로드맵(?)을 가지고 있을수도 있겠지요?? 대기업에서 수입차 사업하면서 부품수급에 쩔쩔맨다면 넌센스지요...그리고 부품재고 금액이 몇백억 잠기는건 규모에 비해서는 비스켓 정도의 금액이지요..
이런 메가 멀티 딜러가 비단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아이템은 아니며 충분히 다른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접목시켜 운영한다면 국내수입차 시장에서 상당한 순기능으로 작용하리라 생각됩니다. 아마 대부분의 수입차 오너및 예비오너들은 반기는 표정이더군요...
남는게 없다던 메이저 수입차 딜러들도 신모델 부터는 가격을 하향 조정하고 있는 상황으로 미루어 이현상 만으로도 순기능이라 생각하면 비약일까요??
암튼 저는 순기능쪽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그 이유야 위에 최섭님및 다른 호원분들께서 많은 이야기를 해주셨고 저또한 최섭님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한가지만 더 언급하자면 이미 딜러 경헙도 있고 중고차 매매 사업도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기업에서 서비 스조직과 그간의 경험이 거대조직의 SYSTEM과 자본과 맞닥 드린다면
현 메이저 수입사와 비슷한 레벨의 서비스를 하기까지 그리 오랜시간이 걸리지 않을거라는
생각입니다.
이미 SK측 에서는 이러한 일련의 상황들에 대한 여러가지 시뮬레이션을 충분히 하고 덤비는
느낌입니다. 물론 부품수급에 대한부분도 충분한 조직을 보유(상사를 운영)하고 있고 돈을 벌수 있고 국내 경쟁에서는 충분한 승산이 있다고 판단하고 뛰어든거지요..어쩌면 그이상의 로드맵(?)을 가지고 있을수도 있겠지요?? 대기업에서 수입차 사업하면서 부품수급에 쩔쩔맨다면 넌센스지요...그리고 부품재고 금액이 몇백억 잠기는건 규모에 비해서는 비스켓 정도의 금액이지요..
이런 메가 멀티 딜러가 비단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아이템은 아니며 충분히 다른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접목시켜 운영한다면 국내수입차 시장에서 상당한 순기능으로 작용하리라 생각됩니다. 아마 대부분의 수입차 오너및 예비오너들은 반기는 표정이더군요...
남는게 없다던 메이저 수입차 딜러들도 신모델 부터는 가격을 하향 조정하고 있는 상황으로 미루어 이현상 만으로도 순기능이라 생각하면 비약일까요??
2007.10.15 15:58:22 (*.145.162.179)

몇 백억이 비스켓일 수는 없습니다. 투자되는 돈의 10% 이상은 수익 발생시켜야 사업계속 진행될텐데 제가 보기엔 지금 이미 뽑아놓은 사람들 인건비는 감당할 수 있으련지.. 위태위태해 보이는군요. SK 그룹이 돈이 없다는 뜻이 아닙니다. 5년 이상은 해줘야 순기능이 소비자한테 간다고 봅니다.
어느 브랜드에 대해서는 딜러지만 벤츠, BMW, AUDI, 렉서스에 대해서는 그레이임포터인 SK가 사실 기존에 딜러권을 갖고 있던 브랜드들에 대해서도 복합매장을 구성하는 것도 약간은 RISK가 있다고 봅니다. 그런데 여기에 더해 그레이와 정식딜러를 섞어서 그냥 SK니까 믿고 사라는 것이 얼마나 통할지... 모르죠. 그게 극복이 가능하다면 정말 SK의 기업이미지가 파워풀한 것이라고 봐야겠죠.
어느 브랜드에 대해서는 딜러지만 벤츠, BMW, AUDI, 렉서스에 대해서는 그레이임포터인 SK가 사실 기존에 딜러권을 갖고 있던 브랜드들에 대해서도 복합매장을 구성하는 것도 약간은 RISK가 있다고 봅니다. 그런데 여기에 더해 그레이와 정식딜러를 섞어서 그냥 SK니까 믿고 사라는 것이 얼마나 통할지... 모르죠. 그게 극복이 가능하다면 정말 SK의 기업이미지가 파워풀한 것이라고 봐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