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엔진오일 설명을 보면
100% synthetic라고 써있는 제품이 있고
Fully synthetic 이라고 써있는 제품이 있는데 같은 뜻인가요?
다른 뜻 같은데 어떤 것이 더 고급제품인가요?
가끔 VHVI를 Fully synthetic로 표기한 것도 있더군요.. 솔직히 VHVI는 Semi synthetic보다도 못한데 말이죠..하여간 구입하실때 반드시 무슨 성분의 합성유인가를 확인하시면 좋을듯.

정효성님의 말씀처럼 무조건 100%합성유인지를 보는것이아니라 베이스가 되는 기유가 무엇인지 알고 사시는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semi syn이든 full syn이든 100% syn이든 다 마케팅 용어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반합성유라 라벨링을 하면 성능이 그리 좋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죠. 예를 들면 VHVI 기유와 Group I, 혹은 Group II를 혼합한다든가 아니면 PAO와 GI, GII 기유를 섞는 등의 조합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위에 정효성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VHVI 기유 (or Group III 기유) 100%가 반합성유라 라벨링이 된 제품보다 성능이 나쁘다는 건 사실 단정할 수 없고 PAO 계열의 제품들이 무조건 Group III 기유로 제조된 제품보다 좋다고도 할 수 없답니다. 제품의 성능 정도는 OEM 승인이나 성능등급 (API, 혹은 ACEA)을 참고하신 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는 것이거든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정확히 드리자면... Semi Syn 보다는 기유가 무슨 조합이든 fully syn, 혹은 100% syn이 십중팔구 더 좋은 제품입니다.
베이스가 되는 기유에 따라 성능등급이 확 바뀌지는 않으니 (PAO나 Group III 기유의 성능이 그닥 차이가 안나는 관계로) 참고하시고...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문의 주세요 ^^;

김선님 혹시 기유별 특징을 좀 설명해주실수있는지요. 찾아보고 주워들은 지식이있지만 정확하게 알고싶어서요 ^^;
이전에 잠깐 케스트롤 신텍(VHVI로 알고있습니다)쓰다가 AMSOIL(PAO계열로 알고있습니다) 넘어갔었습니다(prefferd customer account가 있어서 오히려 모빌원 EP보다 싸게 살수있습니다^^) 택사스가 더운지라 점도를 5w-20에서 5w-30 올렸구요(메이커 권장 범위 안입니다). 제 주된 관심사는 내구성입니다. AMSOIL에서 제공하는 성능 차트는 다 읽어보았습니다.(수치적인것 말고 실사용시의 차이를 알고싶습니다.)

박순원님, 간단히 기유 메이커들의 홈페이에 들어가 보시면 아주 상세하게 제품별 특징이 나와있을 겁니다. PAO 계열 제품은 구글에 가셔서 Exxon Mobil, PAO 6 뭐 대충 이렇게 치고 검색하시면 엑슨 케미컬 홈페이지로 갈 수 있을 것 같구요. Group III 관련 내용은 www.yubase.com에 가신 후 제품정보를 클릭하면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기유별 내구성을 말씀하시는 거면 PAO나 GIII나 거의 동등합니다. 윤활유완제품에 좋은 기유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많겠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한 건... 결국 좋은 기유는 점도지수가 높아 마모 혹은 기타 등등의 이유로 인해 점도지수향상제의 성능이 저하되더라도 오일 성능이 유지된다는 것입니다. 점도지수는 PAO나 Group III의 경우 유사한 관계로...(120에서 140 사이) 내구성 측면에서 어떤 기유가 좋다고 얘기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AMSOIL이 PAO base로 제품을 배합하여 판매할 수도 있겠지만 어차피 배합식 원가절감 차원에서 그리 많은 양을 사용할 것 같지 않습니다.(아마 거의 없을 것 같은데 한표 던집니다.) AMSOIL도 SK의 Yubase, S-Oil의 Ultrabase를 사다 쓰는 아주 작은 윤활유 메이커일 뿐입니다. 제품 품질이 메이저들에 비해 나쁠 것도 없겠지만 좋을리도 없겠죠 ^^;

그렇다면 사실상 메이져의 최상등급 제품들의 성능차이나 보호능력면의 차이는 미미하다는 말씀이신지요?? (굳이 돈을 1.5배에서 2배를 더 지불해서 다른제품으로 갈필요는 없다는것인지요??) http://www.fullthrottlesynthetics.com/comparison.html 여기서 제공하는걸 자료를 보면 타브랜드대비 1.2배정도 우수한듯한데....(정가기준으로 QT당 4불 가량 차이납니다). 차라리 그돈을 월마트에서도 쉽게구할수있는 메이져 synthtic제품을 사고 차액을 다른데 투자하는게 남는걸까요??(ㅜㅜ)

차량이 어떤 스펙을 요구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European 자동차가 아닌 이상 simple API / ILSAC 규격만 만족시키는 제품을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고급 기유를 base stock으로 사용하는 윤활유 완제품의 성능은 십중팔구 사용되는 첨가제들에 의해 갈리는데... 이 첨가제(모든 첨가제를 한놈이라고 가정하고)라고 하는 놈이 오묘해서... 어떤 특정 성능을 올리면 반드시 trade-off가 발생하게 마련입니다. 예를 들어 wear protection 성능이 나아지면 연비절감 효과가 줄어든다던가 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든요. 박순원님이 윤활유를 구매함에 있어 내마모성에 대한 항목이 가장 비중이 높다면 simple API / ILSAC 규격의 제품을 구매하지 마시고 유럽 OEM 승인이 더덕 더덕 붙어 있는 유럽형 엔진오일을 구매해 쓰세요. 미국에 거주 하신다면 종류는 무수히 많을 것 같은데요? ^^; 참고로 유럽 자동차 OEM들은 오일 내구성을 가장 중시해 점도를 낮춰도(5W-30, 0W-30) 혹은 150도씨에서 측정하는 고온고전단 점도를 높게 가져갑니다. (ACEA C3규격은 무조건 HTHS점도가 3.5 이상임) 하지만 북미, 일산, 한국산 차들은... 연비를 가장 중요시여겨... 일정 이상의 protection이 된다는 것을 전제로 최대한의 연비절감 효과를 가지기 위해 윤활유 완제품 배합식들을 설계하거든요. 이 점 참조하시어 윤활유를 구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ㅎㅎ... 암스오일 홈페이지를 보니 큰 소리 뻥뻥 쳐놨네요. ^^; 로얄퍼플이든 암스오일이든 발보린이든 쉘이든(펜스오일, 퀘이커) 모빌이든 BP든 윤활유 업계는 상당히 좁아 정기적으로 컨퍼런스에서 key man들을 만날 수 있고... 고넘이 고넘입니다 ㅠ.ㅠ... 그냥 품질이 보장된 합리적인 윤활유를 선택/구매하셔서 사용하세요 ^^; (코노코는 경쟁사 기유를 많이 사용하니 가능하면 제가 언급한 앞에 메이커에서 구매해주세요 ㅎㅎ)

통례적으로 미국과 국내에서는 100% Synthetic은 HC(수소개질화)공법으로 만들어진 제III 기유 즉 VHVI나 XHVI는 100% Synthetic으로 표현되며,
유럽기준으로는 Full Synthetic혹은 Fully Synthetic은 제IV기유 이상으로 만든 제품에만 표시됩니다.
같은 뜻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