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순정 터보 차량에 부스트 게이지를 달려고 합니다.
구입하고자 하는 게이지팟에 게이지를 3개나 달수 있게 되어있어서
추가로 2개의 게이지를 더 달고 싶습니다.
어떤 게이지를 추가로 설치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그 이유는 뭔가요?
현재 차량에는
속도, RPM, 그리고 연료 게이지만 달려있구요. 냉각수 온도가 차거나 뜨거울때 LED 점등으로 표시만 해줍니다.
예전 제 차량에는 순정으로
오일 온도, 볼트게이지가 달려있었습니다.
뭐 차의 한계까지 주행하는 경우도 없거니와 할 수도 없어서
오일온도가 올라가는걸 본적도 없고......
도대체 볼트 게이지는 왜 달려있는 걸까요?
그 차들 두대다 배터리 죽어서 갈았는데 제 기억으로 볼트 게이지가 별 도움도 안되는거 같던데요.
예전 차에 순간연비, 평균연비를 보여주는 액정이 있어서 좋았었는데.
이런건 DIY 하기 어렵겠죠?
암튼 질문은 게이지팟에 게이지 자리가 2개가 남습니다.
어떤 게이지를 추가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그 이유는?
현재는 그냥 부스트 게이지달고 남는 두칸엔 가족사진이나 넣을까란 생각도 하고있습니다. ㅎㅎㅎㅎ

저라면 수온하고 유압 게이지를 달것 같습니다.
일단수온은 터보차량이라면 신경이 쓰이실거구요..유압은 엔진오일 교체시기를 판단하기도 좋습니다.

순정터보이니 배기온은 크게 신경 안써도 되고 두개를 고른다면 유온하고 유압이 낫겠죠. 차종이 뭔지 모르겠지만 OBD2가 지원된다면 다이어 게이지로 수온, 유온, 부스트, 볼트 등이 다 표시되므로 유압만 추가로 달면 됩니다. 그리고 이왕이면 차종을 적어주시는 게 도움이 됩니다. 가끔 질문 올리시는 분들 보면 차종언급이 없는 경우가 있는데 말이죠.

유압 그다음 유온순으로 추천드립니다.
유압이 가장 중요한 엔진오일의 컨디션을 체크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유압은 꽤 쓸모가 있을 듯 합니다. - 엔진오일 교환주기 및 비정상시 체크 용도.
유온의 경우는 좀 달리신다면 필요하지만 안 달리시다면... 흠... 수온도 마찬가지고요...
그리고 시동 이후부터의 볼트게이지는 알터에서의 전압도 있으므로 둘다 나가기 전에는 확실히 뭔가 나타나긴 어렵죠...
오디오 하시는 분들의 경우는 체크해야 할 필요가 있어서 하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