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http://bloggernews.media.daum.net/news/416895http://bloggernews.media.daum.net/news/416895
그동안 없어진듯 잠잠했던 급발진 사고가 또 일어났네요.
현대 기아 대우가 아닌 삼성차라는게 특이하네요..
일본차는 급발진 사고가 잘 안일어나는데...
진짜 급발진 일어나는 차타는것도 뽑긴가봐요.
아직까진 뭐 운전자 과실이라고 밖에 판명이 안나니 원...
그동안 없어진듯 잠잠했던 급발진 사고가 또 일어났네요.
현대 기아 대우가 아닌 삼성차라는게 특이하네요..
일본차는 급발진 사고가 잘 안일어나는데...
진짜 급발진 일어나는 차타는것도 뽑긴가봐요.
아직까진 뭐 운전자 과실이라고 밖에 판명이 안나니 원...
2007.10.22 21:46:56 (*.150.199.100)

급발진이 이해가 되려면 P나 N레인지에서만 시동이 걸리는데 이럴 때 브레이크를 안밟고 시동건다면 일말의 가능성도 있습니다만 전 운전자 과실이 더 크다고 보는 쪽입니다. 같은 차인데 미국에 수출하는 국산차는 안나고 국내에서는 많이 일어난다면 더욱 그렇겠죠..대부분 브레이크를 밟고 시동건다는게 엑셀 페달 밟고 건다던지..순간 놀라서 브레이크를 밟았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론 엑셀 페달을 밟았던지..말이죠.
2007.10.22 22:10:22 (*.32.135.222)

차량용 블랙박스를 설치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요즘 시중에 제품이 나오는것같던데
정말 운전자 잘못인지 차량의 결함인지 확실히 결론을 내릴 수 있겠지요.
정말 운전자 잘못인지 차량의 결함인지 확실히 결론을 내릴 수 있겠지요.
2007.10.22 22:31:51 (*.177.80.131)
에... 궁금한게 있습니다... sm5는 브레이크 안밟고 시동이 걸리나요...??
아... 내용은 아까 얼핏보니 주행중에 급발진으로 보이던데... 요즘 나오는
오토차도 브레이크 안밟고 시동이 걸리나해서요... P,N레인지에서 브레이크까지
밟고 시동이 걸리게 만든다면. 그래도 급발진인 생긴다면...
아... 내용은 아까 얼핏보니 주행중에 급발진으로 보이던데... 요즘 나오는
오토차도 브레이크 안밟고 시동이 걸리나해서요... P,N레인지에서 브레이크까지
밟고 시동이 걸리게 만든다면. 그래도 급발진인 생긴다면...
2007.10.22 22:34:12 (*.51.75.140)

sm5는 모르겠는데, sm7은 P나 N레인지에서 브레이크 패달 안 밟아도 시동 걸립니다.
같은 차니깐 아마, sm5도 안 밟아도 걸릴꺼 같습니다.
브레이크 패달 안 밟아도 시동걸리는거보고 첨엔 좀 황당하더군요..
같은 차니깐 아마, sm5도 안 밟아도 걸릴꺼 같습니다.
브레이크 패달 안 밟아도 시동걸리는거보고 첨엔 좀 황당하더군요..
2007.10.23 00:47:19 (*.68.16.174)

메이커에 따라 다르겠지만 현대의 경우 자동변속기 차량은 P나 N에서 시동은 걸리는데 브레이크를 밟아야만 기어레버가 움직이도록 쉬프트락이 되어있었던 것 같네요. 수동의 경우엔 클러치를 밟아야 시동이 걸리구요.
2007.10.23 01:01:29 (*.107.101.26)

SM5는 P에서 시동은 걸리지만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D로 기어가 들어가지 않습니다. N은 모르겠고 P는 확실합니다.
2007.10.23 02:07:45 (*.91.215.125)
N으로 놓고 키 돌리면 시동 안걸립니다.
일제차의 특성상인지 무조건 P에 놓고 키를 돌려야 시동 걸립니다.
그에비해 현대차나 기아차는 시동이 안걸리고 키고 빼진 상태에서 브레이크 밟으면 P에서 N으로 이동이 가능하죠.
이중주차하라는 배려???정도...
일제차의 특성상인지 무조건 P에 놓고 키를 돌려야 시동 걸립니다.
그에비해 현대차나 기아차는 시동이 안걸리고 키고 빼진 상태에서 브레이크 밟으면 P에서 N으로 이동이 가능하죠.
이중주차하라는 배려???정도...
2007.10.23 09:30:23 (*.192.187.141)

어째서 대부분의 급발진 사고는 노인과 여성..초보운전자등, 우리가 일반적으로 운전을 잘 못한다 내지는 기계류에 좀 약하다..라는 생각이 드는 운전자들에게만 일어날까요?
그들의 인터뷰를 보아도 당황해서인지 어쩐지는 몰라도 그 순간 혹은 전후로 어떤 동작을 취했고 어떤 순서로 일이 일어났는지를 명확히 설명하는 경우는 별로 없고..횡설수설 하는 경우도 많았구요..
한번쯤은 전문 레이서나 운전 좀 한다는 자동차전문 기자... 같은 사람들에게도 일어날만한 통계학적 비율이 되지않았나요?
개인적으로는 98번의 운전자 과실중에 2번 정도의 기계적 결함이 숨어있을듯..
주변에서도 올바르지못한 운전자세,순서(?)와 너무 서두르는 경향 , 그리고 적절치 못한 신발등으로 위험한 경우를 많이 보기 때문에...
차량 설계 자체가 악셀과 브레이크가 같이 밟히게끔 설계된 에쿠스 같은 경우도 있고 -_-;;
그들의 인터뷰를 보아도 당황해서인지 어쩐지는 몰라도 그 순간 혹은 전후로 어떤 동작을 취했고 어떤 순서로 일이 일어났는지를 명확히 설명하는 경우는 별로 없고..횡설수설 하는 경우도 많았구요..
한번쯤은 전문 레이서나 운전 좀 한다는 자동차전문 기자... 같은 사람들에게도 일어날만한 통계학적 비율이 되지않았나요?
개인적으로는 98번의 운전자 과실중에 2번 정도의 기계적 결함이 숨어있을듯..
주변에서도 올바르지못한 운전자세,순서(?)와 너무 서두르는 경향 , 그리고 적절치 못한 신발등으로 위험한 경우를 많이 보기 때문에...
차량 설계 자체가 악셀과 브레이크가 같이 밟히게끔 설계된 에쿠스 같은 경우도 있고 -_-;;
2007.10.23 10:45:12 (*.46.122.32)

김주영님께서 정곡을 찌르셨네요..
"급발진사고"는 정확한 명칭으로 "급발진 추정 사고"로 불리웁니다..
아직 증명된 것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추정"을 꼭 넣지요..
물론, 그것이 사실이라면 정확한 원인을 찾기가 매우 골치아픈 일인 것도 있지만,
급발진 추정 사고 건수의 절반 이상이 노약자 및 여성운전자에 의한 것이라는 점 때문에 급발진 추정 사고를 기계적 결함이 아닌, 소비자 탓으로 돌리고 있는 것이지요..
하지만, 제가 아는 어느 전문가분께서는 기계적 결함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는 아니지만 어느정도 신뢰할만한 근거를 갖고 계시더군요.. 이를 소비자 단체나 모 TV 프로그램 등에 제공했다가 현X자동차 임직원들한테 협박까지 당하셨구요..ㅎㅎ
"급발진사고"는 정확한 명칭으로 "급발진 추정 사고"로 불리웁니다..
아직 증명된 것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추정"을 꼭 넣지요..
물론, 그것이 사실이라면 정확한 원인을 찾기가 매우 골치아픈 일인 것도 있지만,
급발진 추정 사고 건수의 절반 이상이 노약자 및 여성운전자에 의한 것이라는 점 때문에 급발진 추정 사고를 기계적 결함이 아닌, 소비자 탓으로 돌리고 있는 것이지요..
하지만, 제가 아는 어느 전문가분께서는 기계적 결함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는 아니지만 어느정도 신뢰할만한 근거를 갖고 계시더군요.. 이를 소비자 단체나 모 TV 프로그램 등에 제공했다가 현X자동차 임직원들한테 협박까지 당하셨구요..ㅎㅎ
2007.10.23 12:27:23 (*.192.187.141)

한가지 제가 더 궁금한것은 전기계통 으로 급발진이 일어났다고 가정해도...어떻게 브레이크까지 작동을 안할까요?
브레이크를 밟았는데도 차가 튀어 나갔다....
솔직히 일상세단용 승용차중에 어떤 차건 브레이크 ,엑셀 같이 밟으면 앞으로 가는 차가 없죠.... 굴러가려는 힘보단 잡아주는 힘이 훨씬 크니까..
무슨 제로백 3초짜리 차들이라 눈깜짝할새에 엄청난 가속도를 얻는 차들도 아니고...
브레이크등이 들어와 있는데도 차가 막 달려나가더라.... 이 말이 결정적인 운전자조작실수의 증거라고 봅니다.. 브레이크를 굉장히 약하게 밟고 있었다는 증거이고 이 말은 또한 브레이크와 엑셀을 같이 밟고 있었기에 브레이크 페달에 제대로된 답력이 가해지지 않았을꺼라는 추정이 충분히 가능하니까요..
브레이크를 밟았는데도 차가 튀어 나갔다....
솔직히 일상세단용 승용차중에 어떤 차건 브레이크 ,엑셀 같이 밟으면 앞으로 가는 차가 없죠.... 굴러가려는 힘보단 잡아주는 힘이 훨씬 크니까..
무슨 제로백 3초짜리 차들이라 눈깜짝할새에 엄청난 가속도를 얻는 차들도 아니고...
브레이크등이 들어와 있는데도 차가 막 달려나가더라.... 이 말이 결정적인 운전자조작실수의 증거라고 봅니다.. 브레이크를 굉장히 약하게 밟고 있었다는 증거이고 이 말은 또한 브레이크와 엑셀을 같이 밟고 있었기에 브레이크 페달에 제대로된 답력이 가해지지 않았을꺼라는 추정이 충분히 가능하니까요..
2007.10.23 12:29:06 (*.134.225.3)
저는 급발진으로 부숴진 현대 모 차량 본적있는데. 짧은거리 가속한거 치고는 불가사의하다고 느껴질정도로 부숴져있어서 운전자실수뿐 아니라 뭔가 있는건 아닌가 싶습니다.
2007.10.23 13:22:07 (*.152.36.116)

급발진은 운전경력 20년된 아자씨들에게도 일어나더군요.
블랙박스를 달면 좋겠지만 메이커측은 그 물건의 신빙성을 먼저 제기하기 마련이겠고, 스틱을 쓰자니 귀찮고 문제군요
블랙박스를 달면 좋겠지만 메이커측은 그 물건의 신빙성을 먼저 제기하기 마련이겠고, 스틱을 쓰자니 귀찮고 문제군요
2007.10.23 13:54:03 (*.148.225.139)

일전에 아버지가 운전하시는 제차의 급발진사고글을 올린사람입니다...
아버지의 경우는 시동거는 시점에서 급발진한것이 아니라 D레인지상태에서 도로에 진입하며
악셀레이터를 밟는 순간 튀어나갔습니다 제차는 2001년도에 구입하여 현재까지 큰말썽없이 타던차량이며 운전자 과실에 대한 부분을 말하시는 분도 계신데 제차량은 50여미터 이상을 달려가며 결국 화단과 충돌했는데 풋브레이크와 사이드를 있는힘껏 다잡으셨다고 합니다.. 그사실을 착각하지 않았다는 증거로 전륜구동인 제차량은 사이드가 걸려있는 귓바퀴가 끌려가서 타이어의 한면의 트래드가 없어져서 결국 뒷바퀴를 교환했습니다...
정말 티비에서 보던일인데 제차가 이런일이 생길줄은 몰랐습니다...
헌데 어떠한 예방책도 사고가 일어났을때의 대비책이 아무것도 없다는것에 불안합니다
아버지의 경우는 시동거는 시점에서 급발진한것이 아니라 D레인지상태에서 도로에 진입하며
악셀레이터를 밟는 순간 튀어나갔습니다 제차는 2001년도에 구입하여 현재까지 큰말썽없이 타던차량이며 운전자 과실에 대한 부분을 말하시는 분도 계신데 제차량은 50여미터 이상을 달려가며 결국 화단과 충돌했는데 풋브레이크와 사이드를 있는힘껏 다잡으셨다고 합니다.. 그사실을 착각하지 않았다는 증거로 전륜구동인 제차량은 사이드가 걸려있는 귓바퀴가 끌려가서 타이어의 한면의 트래드가 없어져서 결국 뒷바퀴를 교환했습니다...
정말 티비에서 보던일인데 제차가 이런일이 생길줄은 몰랐습니다...
헌데 어떠한 예방책도 사고가 일어났을때의 대비책이 아무것도 없다는것에 불안합니다
2007.10.23 19:26:14 (*.34.231.127)

승용차의 엔진힘이 아무리 세졌다한들 브레이크를 힘껏 밟는데도 차가 달려나갈수 있다는건 ... 브레이크가 망가져있거나 불량이지 않는이상 그런 현상은 불가능합니다.
어쩌면 결함에 의해서 엔진이 계속 회전할수는 있겠으나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는 서게됩니다. 이때 당황해서 브레이크를 안밟거나 살짝 밟어서 사고가 날수도 있겠습니다만..
어처구니없는 실수를 하고는 책임전가를 급발진에 돌리는 사람들도 꽤 있을법 합니다.
트랜스결함+엔진결함+브레이크결함이 한날 한시에 정말 우연히 생기지 않는이상 운전자의 조작미숙이라는것을 벗어날수는 없을듯 합니다.
어쩌면 결함에 의해서 엔진이 계속 회전할수는 있겠으나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는 서게됩니다. 이때 당황해서 브레이크를 안밟거나 살짝 밟어서 사고가 날수도 있겠습니다만..
어처구니없는 실수를 하고는 책임전가를 급발진에 돌리는 사람들도 꽤 있을법 합니다.
트랜스결함+엔진결함+브레이크결함이 한날 한시에 정말 우연히 생기지 않는이상 운전자의 조작미숙이라는것을 벗어날수는 없을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