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안녕하세요....
7개월탄 HD를 처분하고, 엑셀을 약 3주가량 몰고 다닙니다.
첨엔 파워핸들이 아닌 관계로 출발시 무척이나 힘이 들었는데
지금엔 어느듯 적응이 되어 수월한 경지까지 왔습니다...ㅎㅎ
엑셀...15년전에 생산된 차량 이지만 도장 상태는 더 나은듯하고
차체철판의 두께가 지금나오는 차들보단 훨씬 단단한 것,
그리고 뒷 쇼바 삐걱삐걱~ 외 잡소리 하나 들리지 않는다는 것이 신기할 따름입니다.
오늘 오랜만에 집에서 타고 다니는 삼공이를 몰고 운전을 해봤습니다.
출발시엔 핸들이 가벼워 좋았으나,,
주행시 왠걸 핸들이 너무 쉽게 이리저리 돌아가는 것에 놀랬습니다. ^^;;;
왜 핸들을 이렇게 가볍게 만들었을까요... HD도 그렇고 삼공이도 그렇고...
얼마있지 않음 떠나보낼 차량이지만 옛날 차를 몰면서 지금의 양산차와 비교하여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하네요. 현대자동차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차량을
만드는 것인지, 아님 우리나라 사람들이 현대자동차에 길들여지게 하는 것인지..
현대자동차.. 차를 즐길줄 아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모빌을 만들어 낼수 없을까요??
7개월탄 HD를 처분하고, 엑셀을 약 3주가량 몰고 다닙니다.
첨엔 파워핸들이 아닌 관계로 출발시 무척이나 힘이 들었는데
지금엔 어느듯 적응이 되어 수월한 경지까지 왔습니다...ㅎㅎ
엑셀...15년전에 생산된 차량 이지만 도장 상태는 더 나은듯하고
차체철판의 두께가 지금나오는 차들보단 훨씬 단단한 것,
그리고 뒷 쇼바 삐걱삐걱~ 외 잡소리 하나 들리지 않는다는 것이 신기할 따름입니다.
오늘 오랜만에 집에서 타고 다니는 삼공이를 몰고 운전을 해봤습니다.
출발시엔 핸들이 가벼워 좋았으나,,
주행시 왠걸 핸들이 너무 쉽게 이리저리 돌아가는 것에 놀랬습니다. ^^;;;
왜 핸들을 이렇게 가볍게 만들었을까요... HD도 그렇고 삼공이도 그렇고...
얼마있지 않음 떠나보낼 차량이지만 옛날 차를 몰면서 지금의 양산차와 비교하여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하네요. 현대자동차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차량을
만드는 것인지, 아님 우리나라 사람들이 현대자동차에 길들여지게 하는 것인지..
현대자동차.. 차를 즐길줄 아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모빌을 만들어 낼수 없을까요??
2007.10.25 22:34:19 (*.180.110.252)

현대차도 노력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얼마전까지 현대차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생각이 강했지만.. HD도 타보고 I30도 타보고 하면서 많이 노력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아직 안정적(?) 궤도에는 부족하기 때문에 조금 더 대중적으로 잘 팔릴 수 있는 차를 만들뿐이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개인적인 바램으로 보면 이미지를 확~~ 바꾸기 위해서는 모험적으로 도전하는 것도 좋을 수 있을텐데요.. 그러기엔 너무 큰 회사가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
2007.10.26 01:19:33 (*.183.236.15)

아마도 엑셀에 애착이 가셔서 그렇게 느끼시지 않으셨을까요? ^^
저도 엑셀을 사실상 제 첫차로 오래 탔습니다만, ^^
엑셀이 국산화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시초 모델이라면, HD는 '1단계 안착' 정도로 느껴집니다.^^ 엑셀의 철판 두께/강성은 그다지 훌륭하지 않은데... 두대를 놓고 확인한 적이 없어서.. 정확한 비교는 어렵네요.
물론, ^^ 현대가 좀 더 즐길만한 차를 만들어 내면 더 고맙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저도 엑셀을 사실상 제 첫차로 오래 탔습니다만, ^^
엑셀이 국산화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시초 모델이라면, HD는 '1단계 안착' 정도로 느껴집니다.^^ 엑셀의 철판 두께/강성은 그다지 훌륭하지 않은데... 두대를 놓고 확인한 적이 없어서.. 정확한 비교는 어렵네요.
물론, ^^ 현대가 좀 더 즐길만한 차를 만들어 내면 더 고맙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2007.10.26 09:40:59 (*.134.225.3)
전 지금의 현대차 수준도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사후관리에서 기분상하게 하지만 않아도.
현대차 재구매 의사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으로선 구매하고 싶지 않아요.
전 사업소에 서비스 받으러 가서 무지 디었거든요 :(
한가지 예로 현대승용차 새거 또는 지금의 30만된 프레지오냐.
선택할때 전 프레지오 선택했습니다.
어차피 서비스는 포기했고 현대마크 달린차도 싫었거든요...
단지. 사후관리에서 기분상하게 하지만 않아도.
현대차 재구매 의사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으로선 구매하고 싶지 않아요.
전 사업소에 서비스 받으러 가서 무지 디었거든요 :(
한가지 예로 현대승용차 새거 또는 지금의 30만된 프레지오냐.
선택할때 전 프레지오 선택했습니다.
어차피 서비스는 포기했고 현대마크 달린차도 싫었거든요...
2007.10.26 09:42:56 (*.134.225.3)
그리고 지금도 그선택 후회하지 않습니다.
30만된 프레지오도 달리다 시동꺼지고 언덕 못오르고
이런것은 없어요. 정말 좋아요... :) 대 만 족!
30만된 프레지오도 달리다 시동꺼지고 언덕 못오르고
이런것은 없어요. 정말 좋아요... :) 대 만 족!
2007.10.26 10:10:15 (*.145.162.179)

옳다 잘못되었다.. 라는 말을 할 수는 없겠죠. 유럽엔 유럽에 맞는 차들이 만들어진 것이고.. 미국엔 미국차의 정서가 있고.. 한국엔 현대가 한국적인 차를 만들어 온 게 아닐까요? 2리터에 3리터급 차체에 4기통 오토4단에 모니터에 자동에어컨, 열선시트까지 풀옵션으로 3만불. 한국소비자들의 선호도와 현대자동차의 차만들기 방향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처럼 서로 길들이고 길들여져가며 온 것이라 생각됩니다. 개발자들도 이렇게 만들면 잘 팔려. 하고 소비자들도 역시 현대야. 해주고.. 많이 팔려서 돈버는 차 만들기에는 일가견이 있는 것 같습니다만 고급차 혹은 스포츠성이 있는 차 만들기에 대해서는 갈 길이 참 많이 남았죠. 갈 마음도 별로 없는 것 같지만.
2007.10.26 10:17:13 (*.145.162.179)

제네시스 역시 나와봐야 알겠지만 정말 고급차 한번 잘 만들어보자.. 라는 취지였길 기대해봅니다. 오히려 예전의 기아차에서는 그런 기술자들의 외골수? 이런 것이 느껴지곤 했는데 또는 대우차에서는 엉뚱한 고성능? 이런 것도 가끔 있어서 즐겁게 해줬는데 현대는 너무 약아서 전혀 이런 기대가 안됩니다.
제발 '우리도 렉서스 혼다의 진입만큼은 방어해야겠다.' 혹은 '이제는 에쿠스 그렌져에서 빠져나가 수입차로 가는 소비자들의 주머니가 아쉽다.' 에서 출발해서 딱 팔리기 좋게 사탕발림만 잘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후륜구동 플랫폼을 놔버린지가 수십년인데 몇 년 개발한 것 같지도 않건만 이렇게 금방 벤츠보다 공력이 좋다는 둥.. 동급 최강을 목표로 한다는 둥 하는 소문을 피워대는 걸 보면 쯔쯔소리가 나오니.. 돈 안된다고 헌신짝 처럼 버려버릴 때엔 언제고 이제 또 다시 꺼내서 찾는 걸 보면 소신도 없고 그저 일희일비하는 사람들 같아서.. 쩝.. 한숨도 나오고 그러네요.
제발 '우리도 렉서스 혼다의 진입만큼은 방어해야겠다.' 혹은 '이제는 에쿠스 그렌져에서 빠져나가 수입차로 가는 소비자들의 주머니가 아쉽다.' 에서 출발해서 딱 팔리기 좋게 사탕발림만 잘 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후륜구동 플랫폼을 놔버린지가 수십년인데 몇 년 개발한 것 같지도 않건만 이렇게 금방 벤츠보다 공력이 좋다는 둥.. 동급 최강을 목표로 한다는 둥 하는 소문을 피워대는 걸 보면 쯔쯔소리가 나오니.. 돈 안된다고 헌신짝 처럼 버려버릴 때엔 언제고 이제 또 다시 꺼내서 찾는 걸 보면 소신도 없고 그저 일희일비하는 사람들 같아서.. 쩝.. 한숨도 나오고 그러네요.
2007.10.26 12:01:11 (*.242.223.126)

뭐... 생각있는 사람들이라면 점점 나아지겠죠. 그래도 투스카니 같은 차 직접 개발해 내놓는 건 국내 메이커 중에는 현대밖에 없잖습니까.
2007.10.26 22:01:51 (*.150.199.100)

그래도 국산차중에서는 현대차만한 메이커 없다는 생각은 불변입니다. 대우차는 멀쩡한 엔진에서 녹물이 나오고 수많은 리콜에 얼마전까지는 서스펜션 마운트가 썩어나가는 황당한 문제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기아차 역시 크레도스의 고질적인 브레이크 디스크 문제, 크레도스/세피아의 황당한 크러쉬패드 들뜸 문제 등 황당한 문제들이 많았죠. 현대차도 편차가 있긴 하지만 그래도 지금껏 타본 차들 중에서는 그런 하자 발생 비율 자체가 적었습니다.
기아차의 기술자적인 외곬수라고는 하지만 그것이 어떤면에서는 더욱 부정적이었고 앞뒤 가리지 않는 외곩수때문에 기아가 망했다고 볼 수 있죠..오히려 독자모델에 대한 개발의지나 실행능력은 현대가 더 앞섰다고 봅니다. 그랬기에 유일하게 인수되지 않는 국산차 메이커로 남아있을 수 있는 거겠죠. 물론 그 이후 독점적인 지위를 요즘은 이용하는 것 같아 씁쓸하긴 하지많요
기아차의 기술자적인 외곬수라고는 하지만 그것이 어떤면에서는 더욱 부정적이었고 앞뒤 가리지 않는 외곩수때문에 기아가 망했다고 볼 수 있죠..오히려 독자모델에 대한 개발의지나 실행능력은 현대가 더 앞섰다고 봅니다. 그랬기에 유일하게 인수되지 않는 국산차 메이커로 남아있을 수 있는 거겠죠. 물론 그 이후 독점적인 지위를 요즘은 이용하는 것 같아 씁쓸하긴 하지많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