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안녕하세요. 전민근입니다.
뭐... 벌써 일체형 쇽업쇼바에 205 45 16 휠타이어, 동판과 압력판이 되어있는 차를 가지고 운행
을 한지 3년이 넘었군요. (동압판은 1년정도 ^^) 지리적인 특성과 개인적인 이유로 거의 매일
운행을 해야하는 저로서는 한겨울 새벽에 눈이라도 왔다하면 시골구석에 제설작업이 바로바로
되질 않는 지라 종종 빙판길 & 눈길을 다니곤 했습니다. (한창 때는 VF125cc 로 충주에서 곤지
암까지 함박눈이 펄펄 오는데도 달려대곤 했습니다. -_-) 물론 월동장비는 전혀 갖춰본 적이
없습니다. -_-;; 이런게 자랑은 아닌데 말이죠..... 험험...작년 겨울까지만 해도 빙판길의 무서
움은 알아도 겁은 나질 않았는데 올해 유난히도 겁이 나서 체인을 살까, 스노우타이어로 바꿀
까 여러 생각을 많이 해봤지만 체인을 달자니 차고를 올려야 되고, 스노우타이어를 달자니
또 돈들어가고, 결론은 ' 에이 쒸~ 작년까지만해도 아무 거리낌 없이 잘 탔잖아. -_-+ ' 이런
마음으로 그냥 타기로 했습니다. 일단 빙판&눈길에 접어들면 하는 버릇.
1 . 브레이크를 밟아본다. (약 > 중 > 강 으로 나누어서 밟아보고 차의 반응을 살핀다.
단, 노면이 평평하고 넓직한 곳에서 시행함.
2 . 핸들을 좌우로 비틀어 뱀쇼를 하듯 주행해본다. (이 역시 약 > 중 > 강으로 나누어서 차의
거동을 살핀다.)
역시 노면이 평평하고 넓직한 곳에서 시행함.
3 . 1 ,2 의 느낌이 확실히 전달되었다면 그 느낌이 끊기지 않는 시점까지 엑셀 & 브레이크 &
핸들 조작을 최대한 부드럽게 해주며 주행한다.
4 . 앞차와의 거리는 충분히 두며 뒷차에게 앞의 상황을 미리 알려주고
대충 위의 순서대로 운전해보면 주행중 차가 돈다거나 앞차를 박아버리는 행동은 면하게 되
더군요...
그리고 제일 좋은건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더군요. ^^ㅎㅎ
겨울은 마른 노면도 접지력이 생기질 않고 염화칼슘가루 때문에 더욱 잘 미끄러워지니 조심하
시고 눈&비 오면 많이 미끄러우니 안전운전 하시길 바랍니다. ^^
뭐... 벌써 일체형 쇽업쇼바에 205 45 16 휠타이어, 동판과 압력판이 되어있는 차를 가지고 운행
을 한지 3년이 넘었군요. (동압판은 1년정도 ^^) 지리적인 특성과 개인적인 이유로 거의 매일
운행을 해야하는 저로서는 한겨울 새벽에 눈이라도 왔다하면 시골구석에 제설작업이 바로바로
되질 않는 지라 종종 빙판길 & 눈길을 다니곤 했습니다. (한창 때는 VF125cc 로 충주에서 곤지
암까지 함박눈이 펄펄 오는데도 달려대곤 했습니다. -_-) 물론 월동장비는 전혀 갖춰본 적이
없습니다. -_-;; 이런게 자랑은 아닌데 말이죠..... 험험...작년 겨울까지만 해도 빙판길의 무서
움은 알아도 겁은 나질 않았는데 올해 유난히도 겁이 나서 체인을 살까, 스노우타이어로 바꿀
까 여러 생각을 많이 해봤지만 체인을 달자니 차고를 올려야 되고, 스노우타이어를 달자니
또 돈들어가고, 결론은 ' 에이 쒸~ 작년까지만해도 아무 거리낌 없이 잘 탔잖아. -_-+ ' 이런
마음으로 그냥 타기로 했습니다. 일단 빙판&눈길에 접어들면 하는 버릇.
1 . 브레이크를 밟아본다. (약 > 중 > 강 으로 나누어서 밟아보고 차의 반응을 살핀다.
단, 노면이 평평하고 넓직한 곳에서 시행함.
2 . 핸들을 좌우로 비틀어 뱀쇼를 하듯 주행해본다. (이 역시 약 > 중 > 강으로 나누어서 차의
거동을 살핀다.)
역시 노면이 평평하고 넓직한 곳에서 시행함.
3 . 1 ,2 의 느낌이 확실히 전달되었다면 그 느낌이 끊기지 않는 시점까지 엑셀 & 브레이크 &
핸들 조작을 최대한 부드럽게 해주며 주행한다.
4 . 앞차와의 거리는 충분히 두며 뒷차에게 앞의 상황을 미리 알려주고
대충 위의 순서대로 운전해보면 주행중 차가 돈다거나 앞차를 박아버리는 행동은 면하게 되
더군요...
그리고 제일 좋은건 ...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더군요. ^^ㅎㅎ
겨울은 마른 노면도 접지력이 생기질 않고 염화칼슘가루 때문에 더욱 잘 미끄러워지니 조심하
시고 눈&비 오면 많이 미끄러우니 안전운전 하시길 바랍니다. ^^
2007.11.20 09:57:02 (*.100.186.136)

스포츠타이어의 한계가 절실하니 체인보다는 스노우타이어나 4계절용타이어인데... 차고에 브레이크로터사이즈 업그레이드 했다면 답이 안나오지요..... 조심히 안전운행.... 저야 딸린 식구가 많아서 이번 겨울에 순정타이어 교환해야죠.....이젠 마모한계선이라.... 약간의 빗길코너링시 밀리네요.....프론트/리어.... 그리고 오래되서 컴파운드경화도 심하니..... 위험합니다....올여름까지는 딱좋으나......올겨울은 힘들것 같네요
2007.11.20 10:52:08 (*.80.142.18)

안전이 최고입니다...ㅎㅎ
전 꽈트로인데...못탈것같다는...ㅜ.ㅜ
너무낮아요~~!!ㅎㅎㅎ
눈이끼어서 얼어버릴것 같아요~~ㅎㅎㅎ
전 꽈트로인데...못탈것같다는...ㅜ.ㅜ
너무낮아요~~!!ㅎㅎㅎ
눈이끼어서 얼어버릴것 같아요~~ㅎㅎㅎ
2007.11.20 12:02:56 (*.80.101.10)

울산은 눈이 거의 안오다보니 서울에 있을 때 눈길을 그립습니다. ㅋㅋ
2~3년전인가 울산에도 눈이 많이와서 엄청난 교통 대란이 있었지만 전 오히려 신났었다고 하면 돌 맞을려나요.. ^.^/
2~3년전인가 울산에도 눈이 많이와서 엄청난 교통 대란이 있었지만 전 오히려 신났었다고 하면 돌 맞을려나요.. ^.^/
2007.11.20 13:18:35 (*.108.7.52)

그나마 전륜구동은 눈길 주행에서 상당한(?) 혜택을 보고 있죠. ^^; 후륜 구동들은 겨울철을 제대로 지낼 경우 생기는 그 섬뜩한 순간 경험 덕분에 매일 아침 기상예보를 주시하면서 (출항하는 배처럼 말이죠. -.-) 차고에서 차를 꺼낼지 말지를 결정하는 비애를 겪습니다. 물론 후륜 구동으로도 운좋게 아무 일 없이 겨울을 무사히 보낼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심각할 수 있음을 아마 아시는 분들은 아실겁니다. ^^ 아 .. 그리고 한가지 팁을 더 드리면, 보통 로워링을 하신 분들의 경우 체인이나 스파이크스파이더 이런 것들도 장착이 안되어 곤란한데요, 스프레이 체인이 임시적이긴 하지만 위기 탈출에 큰 도움이 되더군요. 저렴하게 응급으로 사용하기엔 아주 딱이죠. 당연 최고의 예방책은 대중교통입니다만 ...
2007.11.20 13:32:36 (*.230.253.111)

FR차는 강설예보있는날은 깨끗히 포기하는게 정신건강에 여러모로 좋을 것 같습니다. 몇년간 FR들만 가지고 있어서 호되게 당한지라..FF를 한대 장만했지만...여전히 눈길이라면 몰고나갈 엄두가 안납니다. 결국 올해도 눈오면 자연스럽게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게 될 것 같습니다. (버스 뒷자리에 앉아 지긋이 뱅글뱅글 헤매고 있는 FR들을 보면 잔잔한(-,.-)미소를 띠우게 되지 않을까 싶네요..)
2007.11.20 13:34:16 (*.192.187.141)

후륜구동 오너분들은 트렁크에 빈 물통(큰거)를 한두개 넣어가지고 다니시다가 눈이 오면 통안에 물이나 눈을 가득 채워서 트렁크를 무겁게 하시거나.. 옆자리 친구를 잠시 트렁크에 감금(?) 하시면 언덕 올라갈때 조금 도움이 됩니다. (단, 언덕 올라가서는 바로 풀어줘야 된다는거;;; 계속 가심안됨 -ㅇ-; )
2007.11.20 13:53:05 (*.229.98.192)

눈길운전은 고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느린속도에 경험할 수 있어, 참 유익합니다. 액셀의 토크조절을 섬세하게 연습하는데도 도움이 되고요.. ㅋ 바쁜 마음만 잘~ 컨트롤하면 눈이오면 외려 맘이 설레는 운전을 즐길 수 있다고 봅니다.
보통 한겨울 동안 눈이 쌓여 운행하기 어려운 날은 통틀어 일주일이 안되므로, 평상시 타이어에 스프레이체인 하나정도만 비치하면 될거 같아요. 22년 간 한번도 그래본적 없지만..ㅎㅎ
보통 한겨울 동안 눈이 쌓여 운행하기 어려운 날은 통틀어 일주일이 안되므로, 평상시 타이어에 스프레이체인 하나정도만 비치하면 될거 같아요. 22년 간 한번도 그래본적 없지만..ㅎㅎ
2007.11.20 13:53:30 (*.134.225.3)
국산FR...MR 이라고 해야할까... 오늘아침 지붕없는 지하주차장 입구에서 헤매다 간신히 탈출했습니다; 앞은 가만 있고 뒤만 이리저리...
2007.11.20 14:51:46 (*.106.68.2)
어제밤 아파트 입구 언덕 올라가는데... 앞에 걸어가는 학생들 보고 속도 죽였다가 모래 뿌리고 겨우 올라갔습니다. FR은 정말 눈길에 약합니다.
2007.11.20 15:44:18 (*.102.98.38)

달리는 차는 눈에 매우 취약하죠.
머쉰들은 겨울에 잠을 잔다는....
겨울 싫어요. 특히나 눈이라도 오면 출/퇴근 걱정을 해야 하니,,.,OTL
머쉰들은 겨울에 잠을 잔다는....
겨울 싫어요. 특히나 눈이라도 오면 출/퇴근 걱정을 해야 하니,,.,OTL
2007.11.20 15:47:43 (*.100.186.136)

FR차량 뒤쪽에 사람 한명으로는 부족합니다.... 최소 엔진무게와 변속기무게 정도는 되어야 합니다.... 전에 한번은 김여사가 운전하는 비엠525가 지하주차장에 못나가서 덩달아 제차도 못나가는 사태가 발생!!! 트렁크에 3명+ 뒷좌석 3명이 올라타니 오르막 여유있게 올라가던데요......ㅋㅋ........사실 지나가는 중학생들에게 부탁했지요.....공짜로 비엠태워줄께.... 그리고 김여사에게 협조한 학생들 학교까지 데러다 주고 가라고 했던 기억이 있네요
2007.11.20 19:32:26 (*.34.101.144)
작년 12월 대폭설때 밤중에 서울 홍대에서 안산으로 돌아가던것이 생각나네요-_- 밤 12시에 홍대에서 출발하새 새벽 5시에 안산에 도착했죠-_-
길은 꽉 막혔지, SPT는 눈길에는 쥐약이지(정말 순정타이어가 너무도 그리웠습니다-_-), 내리막에서 앞차가 스핀하면서 길가에 처박히는걸 바로앞에서 목격하면서, 저도 브레이크 밟았다가 휘청하다가 간신히 바로잡고; 코너에서 계속 사이드 당기면서 가다가 눈속에 파묻혀서 빼느라 고생하고;;
기억하고싶지않네요-_-
길은 꽉 막혔지, SPT는 눈길에는 쥐약이지(정말 순정타이어가 너무도 그리웠습니다-_-), 내리막에서 앞차가 스핀하면서 길가에 처박히는걸 바로앞에서 목격하면서, 저도 브레이크 밟았다가 휘청하다가 간신히 바로잡고; 코너에서 계속 사이드 당기면서 가다가 눈속에 파묻혀서 빼느라 고생하고;;
기억하고싶지않네요-_-
2007.11.20 21:08:27 (*.152.136.217)
마모한계선 까지 닳은 타이어로 오늘 아침에 엄청 고생했네요....;; 학교 가는길에 아주 짧은 언덕이 있는데, 올라가는 타이밍에 누가 건너가서 섰다가 못가더군요.... 열심히 타이어 갈아내다가.... 결국 모래뿌리고 스프레이체인 뿌려서 겨우 올라갔죠..... 그리고 바로 창고에 넣어두었던 스노타이어 끼웠습니다;
2007.11.21 22:26:08 (*.242.3.195)
전 근무하는 곳이 산이다 보니 경사가 좀 심합니다..지난 겨울 눈이 많이 올때에 다른 직원의 차량들은 모두 회사까지 올라 오지 못해 후진하여 평지에 주차하고 걸어올라올때에 스노우타이어로 갈아 끼우고 다녔던 저는 거의 회사에 걸어올라오는 직원들을 약올리며 출근했던 기억이 납니다.. 눈이 많이 온 날엔 항상 제차만 주차장에 덩그러니 있던 기억이 있네요.. 후진차로..ㅋ 웃긴것이 4륜이었던 무쏘들도 올라오지 못했는데 꼬진 전륜 엘란트라가 올라오니 신모델들을 몰고 다니던 직원들을 바라보며 약올리는 기분이 쏠쏠하게 잼있더군요..
허나 좋지 않은건 눈이 녹으면 제차로 직원들을 테우고 산아래를 내려가야 했었다는.....
허나 좋지 않은건 눈이 녹으면 제차로 직원들을 테우고 산아래를 내려가야 했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