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렉서스 차값 폭리..세무조사 착수
[머니투데이 최명용기자][미국에 비해 최고 1억원 비싸게 판매..연말까지 세무조사]
한국토요타자동차가 국내 시장에서 차가격을 부풀려 폭리를 취하고 있다. 급기야 세무당국이 탈세 등 세무조사까지 나섰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세청과 관세청은 연말까지 한국토요타를 비롯, 수입차업체에 대해 대대적인 세무조사에 들어갔다.
수입차업체들은 수입원가를 낮게 신고하고 소비자에겐 높은 가격으로 차를 판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실제로 최근 일부 병행수입업체들은 수입원가를 속여 기재하는 수법으로 세금을 탈루하다 세무당국에 적발되기도 했다.
공식딜러들도 세금 포탈의 가능성이 있다는게 세무당국의 시각이다.
한국토요타의 경우 럭셔리 브랜드인 렉서스의 국내 가격을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지나치게 높게 책정하고 있다.
지난달 초 출시한 LS600hl의 경우 국내 판매 가격은 1억9700만원(부가세 포함)이다.
그러나 미국에서 판매되는 LS600hl의 기본 값은 10만4000달러이고, 풀 옵션을 더해도 12만6000달러에 불과하다. 풀옵션이 1억1500만원 선이다. 일본에서 판매되는 모델도 풀옵션이 1520만엔이다. 원화로 환산하면 1억1900만원이다.
국내 가격보다 8000만원 가량 저렴한 가격이다. 관세, 부가세 등 각종 세금을 감안하더라도 1억5000만원 정도가 적당하다는게 업계의 분석이다.
간판 모델인 LS460L은 1억6300만원에 팔린다. 미국 6684만원, 일본 6554만원보다 1억원 이상 비싸다. 국내에서 렉서스 1대 구입가격으로 미국에선 3대까지 살수 있는 셈이다.
렉서스 ES350의 미국 판매가격은 3134만원이지만 한국에선 6960만원에 팔리고, 렉서스 GS460도 8130만원으로 미국판매가보다 1.67배 비싸다.
최근 수입차업체들은 앞다투어 가격인하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BMW는 지난 5월 뉴528i를 내놓으면서 구형 525i에 비해 1900만원 가격을 내렸다. 배기량이 더 높아진 차를 더 싼값에 내놓았다.
GM코리아도 캐딜락 신모델과 사브 신모델을 내놓으면서 가격을 15~21%까지 가격을 낮추기로 했다. 벤츠코리아, 한국닛산등도 마찬가지다.
한편 22일 부터 SK네트웍스는 수입차 병행 수입을 개시했다. 공식 딜러에 비해 큰폭으로 가격을 낮춘 고급 수입차를 국내시장에 판매키로 했다. 수입차 시장의 가격 인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 관세청, 수입자동차 稅탈루 연말까지 집중단속
☞ 렉서스 하이브리드 LS600hL 출시 "비싸네"
최명용기자 xpert@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머니투데이 최명용기자][미국에 비해 최고 1억원 비싸게 판매..연말까지 세무조사]
한국토요타자동차가 국내 시장에서 차가격을 부풀려 폭리를 취하고 있다. 급기야 세무당국이 탈세 등 세무조사까지 나섰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세청과 관세청은 연말까지 한국토요타를 비롯, 수입차업체에 대해 대대적인 세무조사에 들어갔다.
수입차업체들은 수입원가를 낮게 신고하고 소비자에겐 높은 가격으로 차를 판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실제로 최근 일부 병행수입업체들은 수입원가를 속여 기재하는 수법으로 세금을 탈루하다 세무당국에 적발되기도 했다.
공식딜러들도 세금 포탈의 가능성이 있다는게 세무당국의 시각이다.
한국토요타의 경우 럭셔리 브랜드인 렉서스의 국내 가격을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지나치게 높게 책정하고 있다.
지난달 초 출시한 LS600hl의 경우 국내 판매 가격은 1억9700만원(부가세 포함)이다.
그러나 미국에서 판매되는 LS600hl의 기본 값은 10만4000달러이고, 풀 옵션을 더해도 12만6000달러에 불과하다. 풀옵션이 1억1500만원 선이다. 일본에서 판매되는 모델도 풀옵션이 1520만엔이다. 원화로 환산하면 1억1900만원이다.
국내 가격보다 8000만원 가량 저렴한 가격이다. 관세, 부가세 등 각종 세금을 감안하더라도 1억5000만원 정도가 적당하다는게 업계의 분석이다.
간판 모델인 LS460L은 1억6300만원에 팔린다. 미국 6684만원, 일본 6554만원보다 1억원 이상 비싸다. 국내에서 렉서스 1대 구입가격으로 미국에선 3대까지 살수 있는 셈이다.
렉서스 ES350의 미국 판매가격은 3134만원이지만 한국에선 6960만원에 팔리고, 렉서스 GS460도 8130만원으로 미국판매가보다 1.67배 비싸다.
최근 수입차업체들은 앞다투어 가격인하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BMW는 지난 5월 뉴528i를 내놓으면서 구형 525i에 비해 1900만원 가격을 내렸다. 배기량이 더 높아진 차를 더 싼값에 내놓았다.
GM코리아도 캐딜락 신모델과 사브 신모델을 내놓으면서 가격을 15~21%까지 가격을 낮추기로 했다. 벤츠코리아, 한국닛산등도 마찬가지다.
한편 22일 부터 SK네트웍스는 수입차 병행 수입을 개시했다. 공식 딜러에 비해 큰폭으로 가격을 낮춘 고급 수입차를 국내시장에 판매키로 했다. 수입차 시장의 가격 인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관련기사]
☞ 관세청, 수입자동차 稅탈루 연말까지 집중단속
☞ 렉서스 하이브리드 LS600hL 출시 "비싸네"
최명용기자 xpert@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2007.11.22 12:16:51 (*.212.250.6)

설마 이 이후에도 수입원가를 낮게 신고한 부분만 시정되어 국가에 내는세금만 늘어나고 소비자가격은 그대로..라는 시츄에이션은 아니겠죠? ㅎㅎ 렉서스가 요즘 판매량이 늘어나 가격할인도 전혀 없고 싸게살려면 중고차나 알아봐라...식의 기세등등 이더군요. 좀 그 오만함이 이번 기회로 꺾였으면 좋겠네요.
2007.11.22 13:56:14 (*.91.214.41)
지금까지 신나게 수입차 판매 1위하고 팔아놓고 지금와서 세무조사??
웃기네요...조사해서 불법인게 드러나믄 지금까지 렉서스 산사람들 한테 그만큼 차액을 돌려주는것고 아니고..
그냥 형식적인 세무조사따윈 뭐...
1-2달지나면 결과는 아무도 모르고 그냥 흐지부지 되겠죠..
웃기네요...조사해서 불법인게 드러나믄 지금까지 렉서스 산사람들 한테 그만큼 차액을 돌려주는것고 아니고..
그냥 형식적인 세무조사따윈 뭐...
1-2달지나면 결과는 아무도 모르고 그냥 흐지부지 되겠죠..
2007.11.22 14:34:02 (*.74.140.156)

1억팔천이나 주고 렉서를 사는 사람분들도 좀....그렇네요...제갠적인 생각으로요...
어떤식이던 소비자가 정당한 가격으로 구매할수 있는 환경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어떤식이던 소비자가 정당한 가격으로 구매할수 있는 환경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2007.11.22 16:28:48 (*.20.192.61)

동감합니다. 비싸면 잘팔리는 시장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렉서스 뿐만 아니라 다른 수입차종 모두 "제값" 받고 차를 팔면 좋겠습니다.
2007.11.22 16:33:15 (*.113.188.4)

고가일수록 좋은 제품이다.. 라는 소비심리가 참 문제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용성보다는 남들보다 나아 보이려는 과시욕으로 제품을 구입하니 제품의 본질을 따져보기 보다는 제공된 가격만으로 그 제품의 가치를 따지고 그 가치로 자기를 과시하려다 보니 이런 어이없는 고가 정책... 같은 가격 왜곡이 난다고 생각합니다.
2007.11.22 17:00:23 (*.47.130.115)

실은, 교과서에도 나오는 말이지만, "돈을 많이 썼다."라는 것 자체가 대단한 홍보력을 가지는 상황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에, 돈이 남아도시는 분들이 '어떻게 돈 써야 잘 썼다고 소문이 날까?'로 고민하는 시츄라면, 근거없이 말도안되게 비싼물건을 구입하는 것도 프라이드 상승에 꽤 큰 심리가치를 챙겨줍니다.
다만, 렉서스의 경우 해당 물건의 원래 가격이라는 것이 있고 다른 나라에서의 판매가가 엄연히 기성하는데도 지나친 명품 마케팅을 펼친건 정말 잘못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것도 아니고 자동차 기성품을 가지고 말입니다.. - -)
다만, 렉서스의 경우 해당 물건의 원래 가격이라는 것이 있고 다른 나라에서의 판매가가 엄연히 기성하는데도 지나친 명품 마케팅을 펼친건 정말 잘못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것도 아니고 자동차 기성품을 가지고 말입니다.. - -)
2007.11.23 10:19:56 (*.228.196.29)

세무조사해서 과징금을 부여받아도, 소비자에게 고가로 팔아 챙긴 이익으로 남는 장사가 되는 것이 문제죠... 외국처럼 차량을 산 소비자에게 차액을 환급하는 추가후속조취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얼마전에 어머니 차량으로 GS350을 심각하게 고민했었는데 가격 부분에서 너무나도 납득이 안되서(물론 차량 부분에서도 그런 부분이 있었습니다만..) 구매를 포기했었는데 안사길 잘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얼마전에 어머니 차량으로 GS350을 심각하게 고민했었는데 가격 부분에서 너무나도 납득이 안되서(물론 차량 부분에서도 그런 부분이 있었습니다만..) 구매를 포기했었는데 안사길 잘했다는 생각이 드네요..
2007.11.23 10:28:05 (*.52.85.125)
렉서스가 무척 좋은차긴 하네요. 마진을 그리 많이 보고도 많이 팔수 있다는것은 상품성이 높으니 가능한 이야기죠. 허접대기를 가지고 귀족 마케팅만으론 절대 많이 팔수 없죠.
2007.11.23 10:57:10 (*.134.225.3)
빈센트앤코 처럼 원가 10만원 짜리를 수백 수천 만원에 팔아도 껌뻑 넘어가는 사람들이 더 문제죠. 물론 렉서스랑 비교하기엔 좀 차이가 있지만.
2007.11.23 11:24:14 (*.127.196.140)
도요타가 차를 잘 만들긴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판매되는가격으론 미국은 물론 일본 자국내에서도 보이콧 될것은 안봐도 뻔하죠... 안팔릴거예요 (렉서스의 상품성은 딱 거기까지 일뿐 입니다 차를 만드는데 들어간 연구비 및 차를 만드는데 드는 비용 등등... 도요타 스스로도 BMW, 벤츠와 동격으로 생각 하지 않습니다 그걸 넘으려면 그들보다 비용을 더 선행투자해서 차를 만들어야되는데... 절대 그럴 도요타가 아니기 때문에...)
웃기는건 벤츠,BMW 정식수입업체들이 폭리를 취하니까 그동안 합리적가격을 유지하던 도요타가 망둥어도 뛴다고 (상품성이 어쩌도 말도안되는 논리로...) 늦게 폭리에 참여해서 결국 세무조사를 받게 되었다는것이지요
웃기는건 벤츠,BMW 정식수입업체들이 폭리를 취하니까 그동안 합리적가격을 유지하던 도요타가 망둥어도 뛴다고 (상품성이 어쩌도 말도안되는 논리로...) 늦게 폭리에 참여해서 결국 세무조사를 받게 되었다는것이지요
2007.11.23 11:26:45 (*.127.196.140)
결국 심하게 뒷북 두드리고 (그동안 폭리한 업체들은 가격을 내리고있는 분위기에서...) 얻어낸건... 오래 가지도 못할 폭리에... 이미지만 구긴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