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오늘 오후 집중호우가 내리던 오후 올로드콰트로를 타고 성수대교를 건나 강변북로 방향으로 우측으로 돌다가 좌측으로 감아나가는 램프를 지나면 동부간선도로를 탈 수 있습니다.
성수대교 북단에서 강변으로 나가는 램프의 진입하는 우측코너는 역뱅크라 빠른속도로 들어가면 밸런스 잡기가 어려운 코너이기도 합니다.
보통 안전하게 진입하는 속도가 마른노면 기준으로 80km/h부근인데, 역뱅크라 차의 롤이 생각보다 크게 느껴집니다.
곧이어 좌측 램프 역시 80km/h를 꽉채워서 진입해서 코너에서 가속을 과감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워낙 폭이 좁아 언더스티어가 생기면 골치 아픈 그런 코스입니다.
다만 노면이 정말 매끄럽고, 전방이 완전히 보이는 상황이라 전방에 차가 전혀 없는 상황을 보면서 공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오늘같이 비가 많이 내리게 되면 평소에 80km/h로 진입하는 속도를 유지하기가 어렵습니다. 올로드콰트로 기준으로 좌측 램프 73km/h정도 진입해서 가속패달에 발만 대고 돌다보면 4바퀴가 접지의 한계에 걸쳐서 미세하게 노면에서 미끄러짐을 느끼게 되는데, 코너탈출 직전 75km/h 상황에서 급격한 오버스티어 발생했습니다.
ESP는 켜져있는 상황이었고, 상황은 제동없이 카운터스티어 90도만큼 우측으로 돌렸다가 재빠르게 스티어링을 원위치하는 것으로 후륜이 그립을 잡으면서 털리는 현상 전혀 없이 매끄럽게 복귀되었습니다.
뒷좌석 카시트에 딸아이와 수다를 떨고 있던 상황이었고, 대화를 자연스럽게 유지할 수 있었을 정도로 딸아이도 전혀 어떤 상황인지를 눈치챌 수 없이 너무 순식간에 일어난 상황이 깨끗하게 마무리된 것이지요.
제가 스티어링을 되돌리는 바로 그 순간에 ESP의 경고등이 깜빡이는 것을 보았는데, 이때 TCS를 작동시켜 엔진 파워를 죽이고 독립제동을 거는 상황이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제가 느끼기에 독립제동이 실제로 개입되진 않은 것으로 보였습니다.
보통 독립제동이 들어오면 ABS작동하는 작동음은 물론 차의 속도가 눈에 띄게 줍니다.
따라서 ESP의 도움없이 상황이 종료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스티어링 휠을 되돌리는 동작이 늦었을 경우 리버스를 먹었을 가능성이 있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일어난 현상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콰트로의 빗길코너에서 가속패달 On상황에서는 의외로 오버스티어가 발생할 수 있다.
- 회전할 때 전륜의 후륜에 비해 빠른 회전수의 1/3정도의 파워가 후륜으로 옮겨가기 때문에 코너에서 가속패달을 밟아 늘어나는 힘의 일부가 후륜에 구동력을 증가시키는 원리로 토크가 좋은 콰트로일 수록 이런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큽니다.
2. ESP는 70km/h이상의 빗길에서 만나는 급격한 오버스티어에 곧바로 반응하지 않는다.
- 제가 접했던 상황처럼 좌코너 오버스티어 상황은 스티어링 입력이 좌측, 하지만 차의 회전력은 우측으로 도는 상황입니다.
이때 ESP는 전륜 조수석바퀴에 제동을 걸어 차를 지붕위에서 보았을 때 시계반대 방향으로 진행되는 회전력을 상쇄시키기 위해 시계방향의 회전 모멘텀을 일으키는 동작을 합니다.
- 즉 우측으로 카운터를 주는 양이 너무 많았거나 아니면 원위치하는 타이밍이 조금만 늦었어도 조수석 앞바퀴에 제동이 걸려버려 발생하는 급격한 회전력에 우측 가드레일을 쳐박았을 수도 있는 상황이 전개될 수 있습니다.
3. ESP가 켜져있는 상태에서 중속 이상의 속도에서 만나는 오버스티어때는 카운터를 짧게 치고 되돌리는 동작이 아주 재빨라야 한다.
- 이 동작이 늦으면 차는 리버스를 먹고 급격히 카운터 방향으로 차가 튀어나갈 수 있습니다.
- ESP의 독립제동은 스티어링 앵글센서 즉 스티어링을 꺽은 양과 실제로 차가 회전하는 양(Yaw센서에 의해 감지되는)과의 차이에 의해 작동합니다. 즉 스티어링을 꺽은 방향대로 제대로 진행을 하지 않는 상황을 스핀으로 간주하는 것이지요.
- 독립제동이 작동하는 것을 감안했을 때 ESP가 켜져있는 상황에서 닥치는 오버스티어는 스티어링을 잠시 풀어주는 동작이나 작은 각도의 카운터가 적절합니다.
그동안 수많은 차를 시승하면서 중고속에서 다양한 조건의 오버스티어를 경험했고 대처해봤기 때문에 그리고 ESP의 정확한 작동로직을 비롯해 현상이 발생해서 대처하는 동작이후에 일어날 상황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오늘과 같은 상황에서 정말 몸이 기억하는데로 매뉴얼대로 대처할 수 있었다고 봅니다.
ESP가 세대를 거듭하면서 진화를 하면서 달라지는 점은 바로 독립제동이 들어올 때 매우 부드럽고 때론 눈치채지 못하게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올로드콰트로의 ESP의 경우 최신 ESP에 비해 한세대 전의 것이라 그런 섬세한 독립제동이 발휘되진 않습니다.
그리고 또하나의 요인은 Yaw센서는 스티어링 앵글센서처럼 칼로 무자르듯 아주 섬세하게 측정되는 센서가 아니다보니 ESP를 관장하는 ECU가 정확히 상황이 스핀인지를 판단할 최소한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지하주차장에서 후륜으로 비에 젖은 주차장에서 액셀링으로 후륜을 날리고 ESP가 잡아주는 상황과 비교하면 일단 80km/h이상의 속도에서 벌어지는 오버스티어는 슬로우모션과 같은 지하주차장 상황과 비교해 훨씬 순식간입니다.
예전에 콰트로에 ESP까지 있으면 사기라는 말이 있었는데, 실제로 콰트로에 ESP가 있어도 의외로 쉽게 오버스티어를 경험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두 장비 모두 맹신은 금물입니다.
-testkwon-
차를 구매할 때 esp에 많은 중점을 두고 샀으나
차량별 esp시험영상을 보니 아직 완성되었다는 느낌은 아니더군요
동일한속도에 동일한 핸들링으로 테스트를 할때
개입이 빠른 현대차는 쉽게 제자리를 찾았지만
개입이 늦은 bmw는 코스 이탈을 하는걸 보니
상황에 따라 오너의 스티어링 조작정도가 궁합이 맞아야겠더군요
그래도 제실력에는 없는것보다 있는게 도움이 됨은 변함없는 사실이더군요

오버스티어 시는 카운터... 3번 항이 와닿습니다. 전 언더스티어로 사고를 내보아, 오버스티어는 아직 겪어보지 않았습니다만, 실제 저런 상황이 발생할 경우는 시도해볼 만 하겠네요. (지금 타는 Volvo S60R도 사륜에 ESP 등이 다 있어 마스터님과 같은 상황을 겪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마스터님의 경우 코너찰출 직전, 즉 좌회전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오버스티어가 발생한 것이죠? 이 때 우측으로 급히 스티어링휠을 꺾은 후 다시 돌리신 것이 카운터스티어군요. (아마 저같으면 당황에서 그냥 스티어링을 우측으로 최대한 꺾고 브레이크를 밟을 것 같아요. 큰일나겠죠...)
사실 공터에서 연습해보고 싶어요. 실제 커브길이 아닌, 커브 모양의 그림을 그려넣고 커브도는 연습을 해보는 것이죠. 이 경우 오버/언더 스티어가 발생해도 (차가 전복하지 않는한) 별 문제는 없으니 말이죠.

전 오버스티어로 차를 한 번 말아먹은 경험이 있어 오버스티어가 두렵기만 하네요.
오버스티어의 카운터 스티어링은 많은 경험에 의해 몸이 기억해야 하는 부분이란 생각이 듭니다.~
저도 4matic에서 60~80 정도의 속력에서 위급상황이 벌어져 급 차선 변경시 ESP의 작동으로 인해 오히려 리버스나 오버스티어를 경험해본 적이 있어서 요새는 웬만하면 카운터 치지 않고 그냥 진행방향에서 간결하게 조작+감속만 합니다 ㅠㅠ
생각과 반대로 나갈때 정말 무서워요...
원래 ESP류는 보조장비일 뿐이죠...
그리고 초기 ESP차들 또는 연식 오래된 차는 ESP의 어설픈 개입으로 오히려 피보는 일이 생기기도 하구요...
답은 살살 다니는 수밖에요.
전 독립제동을 못느끼신게 아닐까 했는데... 글을 읽다보니 전세대 ESP의 특성이 그러했군요.^^
올로드콰트로는 CAN 방식이 아닌가요? 요즘은 ECU 와 TCU 를 합쳐놓은 차들이 많아져서 이마저도 의미가 없어지고 있지만...
영주님의 글을 읽다보면 ...음... 한번 올로드콰트로 한번 꼭 시승해보고 싶네요^^
이상 경북 상주에 서식하고 있는 E34, C63 오너였습니다. ㅋㅋㅋ
예전 군에서 레토나 혼자 몰고 다닐때 있었던 일 입니다.
아주 추운 겨울이라 조심했어야 했는데 자주 다니던 오른쪽으로 많이 기울어진 편도 4차선 직진 도로에 누가 물을 잔뜩 뿌려 놨는지 중앙 2개 차로가 두꺼운 얼음에 덮혀 있었습니다.
저는 2차로로 70km 정도로 진행 중 이어서 브레이크 안잡고 그냥 통과 하자 맘 먹고 얼음 위를 올라 탔는데... 후륜이 접지력을 잃고 오른쪽으로 심하게 미끄러지며 돌더군요. 그래서 한게 스티어링을 오른쪽으로 한바퀴 카운터 치면서 엑셀을 더 밟고 드리프트로 쭈우욱~~ 얼음판 넓었어요 ㅜㅜ 얼음판 끝날때 쯤 자세 직선으로 바로 잡고 스티어링 풀어 아스팔트를 밟았는데... 실패 했더라면 -_-;;;
한번 쭈욱 읽어서는 쉽게 이해하기 어렵네요... ㅠㅠ
암튼 그 찰나의 순간을 세세하게 분석하시는 걸 보면... 엄청난 내공이 느껴지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