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제게 제 차의 콕피트는 너무도 편안하고 행복한 곳입니다.
출근시마다 몸에 딱 맞는 버킷에 앉아서, 수온이 오를때까지 기다리며,
게이지, 부스트컨트롤러 등등 각종 계기에 기록된 수치들을 확인/리셋하고,
오디오를 틀면서 자세를 바로잡고 양 어깨를 조이는 벨트를 조이며..
오늘의 즐거운 출근을 생각하며 지하 주차장에서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평소와 같은 100-150영역대의 적당연비의 적절한 출근 주행..
행여나 앞이 열려 길게 비었을때 한번씩 걸어주는 풀부스트의 가속력..
시원한 블로우오프밸브의 파열음..
다가오는 전방 차량을 보며 타이밍을 재다가
적절한 타이밍에 충격없이 들어가는 힐앤토와 감속..차간유지..
이 차가 나를 지켜줄거라는 신뢰와,
나라면 이 차를 수족처럼 다룰수 있다는 자신감..
제게 있어 평소의 아수라는..
함께 힘을 합쳐 도로를 달려나가는 친구이자 동료..
폐쇄된 공간에서 자신에게 혼자 말할수 있는 저만의 공간..
말할 수 없는 제 행복이자 제게 주어진 축복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본성을 드러내며 움직일때의 이 녀석..
이 녀석이 진짜 만들어진 목적을 위해 움직여야 할 때..
언제부턴지 전.. 너무도 두렵습니다.
정식으로 핸들을 잡고 풀부스트로 크루징을 시작해야할때,
속도가 200km 가 넘어서고 언제부턴지 습관적으로 이를 악물기 시작합니다.
소위 '배틀'이라고 불리는 상황이거나, 친선이거나, '고속크루징'을 하고 나면..
항상 턱에 경련이 오고 이빨이 흔들거립니다..
오늘도 살아남았다.. 라는데 안도하며..
며칠 전, 어쩌다보니 고속크루징을 해야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차에 올라 시동을 걸고 핸들을 잡은채, 차에게 계속 중얼거렸습니다..
'아수라, 나를 지켜다오. 나도 너를 지켜주겠다'
(제 입에서 이런 말이 나오는게 스스로도 놀랐습니다..
보통때.. 그러니까 지금까지 제가 그런 상황에서 아수라에게 하는 말은,
'힘으로 지는 건 용서할수 있지만, 배틀중 퍼지는 건 죽어도 용서못한다'
..라고 차에게 말하곤 했었고, 이 녀석은 제 기대에 부응해주듯,
다행히 지금까지 배틀상황에서 차가 퍼져본적은 한번도 없었습니다만..)
다행히 무사히.. 주행을 마치고,
제가 어느새 옛날보다 잃을게 많아졌나..라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진짜 제가 가장 열심히 달리던 시절에 비해서...
지금은.. 확실히 제 생활이 행복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행복을 되찾은 가정, 사회적 지위, 개발자로 복귀..
그리고 원한다면 여기서 한발 더딛어 높은곳을 바라볼수 있는 기회..
(물론 그 한발의 의미가 어떤것인지 아는 이상 내딛지 않겠지만요)
예전의 저는...
지금 여기서, 고속도로에서 죽어도 아무 미련이 없다고 생각했고,
내 삶에 가치가 없으면 여기서 바로 죽여달라고 신께 기도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그런 마음가짐으로 몇년간 수많은 아수라장을 헤쳐 나왔으나..
지금 여기, 문득 제 스스로가 변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약해 진걸까...?
하지만..
지금의 저는 그때보다 더 강해졌다 생각합니다.
그때는 '정말 두렵지 않아서' 달렸고,
지금은 '두려움을 참으며' 달리고 있으니까요..
그리고.. 그 두려움을 알게되어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두렵다고 이 세계에서 도망갈 생각은 추호도 없습니다만..
문득 야밤에 차에서 뭔가를 가지러 갔다가,
주차장에서 12월 27일, 서울외각순환고속서킷의 개통을 기다리는 차를 보고..
스스로의 그림자를 본 기분이라.. 문득 센티해져 글 남깁니다..
출근시마다 몸에 딱 맞는 버킷에 앉아서, 수온이 오를때까지 기다리며,
게이지, 부스트컨트롤러 등등 각종 계기에 기록된 수치들을 확인/리셋하고,
오디오를 틀면서 자세를 바로잡고 양 어깨를 조이는 벨트를 조이며..
오늘의 즐거운 출근을 생각하며 지하 주차장에서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평소와 같은 100-150영역대의 적당연비의 적절한 출근 주행..
행여나 앞이 열려 길게 비었을때 한번씩 걸어주는 풀부스트의 가속력..
시원한 블로우오프밸브의 파열음..
다가오는 전방 차량을 보며 타이밍을 재다가
적절한 타이밍에 충격없이 들어가는 힐앤토와 감속..차간유지..
이 차가 나를 지켜줄거라는 신뢰와,
나라면 이 차를 수족처럼 다룰수 있다는 자신감..
제게 있어 평소의 아수라는..
함께 힘을 합쳐 도로를 달려나가는 친구이자 동료..
폐쇄된 공간에서 자신에게 혼자 말할수 있는 저만의 공간..
말할 수 없는 제 행복이자 제게 주어진 축복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본성을 드러내며 움직일때의 이 녀석..
이 녀석이 진짜 만들어진 목적을 위해 움직여야 할 때..
언제부턴지 전.. 너무도 두렵습니다.
정식으로 핸들을 잡고 풀부스트로 크루징을 시작해야할때,
속도가 200km 가 넘어서고 언제부턴지 습관적으로 이를 악물기 시작합니다.
소위 '배틀'이라고 불리는 상황이거나, 친선이거나, '고속크루징'을 하고 나면..
항상 턱에 경련이 오고 이빨이 흔들거립니다..
오늘도 살아남았다.. 라는데 안도하며..
며칠 전, 어쩌다보니 고속크루징을 해야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차에 올라 시동을 걸고 핸들을 잡은채, 차에게 계속 중얼거렸습니다..
'아수라, 나를 지켜다오. 나도 너를 지켜주겠다'
(제 입에서 이런 말이 나오는게 스스로도 놀랐습니다..
보통때.. 그러니까 지금까지 제가 그런 상황에서 아수라에게 하는 말은,
'힘으로 지는 건 용서할수 있지만, 배틀중 퍼지는 건 죽어도 용서못한다'
..라고 차에게 말하곤 했었고, 이 녀석은 제 기대에 부응해주듯,
다행히 지금까지 배틀상황에서 차가 퍼져본적은 한번도 없었습니다만..)
다행히 무사히.. 주행을 마치고,
제가 어느새 옛날보다 잃을게 많아졌나..라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진짜 제가 가장 열심히 달리던 시절에 비해서...
지금은.. 확실히 제 생활이 행복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행복을 되찾은 가정, 사회적 지위, 개발자로 복귀..
그리고 원한다면 여기서 한발 더딛어 높은곳을 바라볼수 있는 기회..
(물론 그 한발의 의미가 어떤것인지 아는 이상 내딛지 않겠지만요)
예전의 저는...
지금 여기서, 고속도로에서 죽어도 아무 미련이 없다고 생각했고,
내 삶에 가치가 없으면 여기서 바로 죽여달라고 신께 기도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그런 마음가짐으로 몇년간 수많은 아수라장을 헤쳐 나왔으나..
지금 여기, 문득 제 스스로가 변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약해 진걸까...?
하지만..
지금의 저는 그때보다 더 강해졌다 생각합니다.
그때는 '정말 두렵지 않아서' 달렸고,
지금은 '두려움을 참으며' 달리고 있으니까요..
그리고.. 그 두려움을 알게되어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물론 두렵다고 이 세계에서 도망갈 생각은 추호도 없습니다만..
문득 야밤에 차에서 뭔가를 가지러 갔다가,
주차장에서 12월 27일, 서울외각순환고속서킷의 개통을 기다리는 차를 보고..
스스로의 그림자를 본 기분이라.. 문득 센티해져 글 남깁니다..
2007.12.04 08:56:43 (*.87.60.117)

어제 꿈속에서 광삼님의 이름이 생각났다면 거짓말처럼 느껴지시려나요?
아무리 빨라도 두렵지않은 세상도 있습니다. 언제 드라이빙스쿨 한번 오시죠?
아무리 빨라도 두렵지않은 세상도 있습니다. 언제 드라이빙스쿨 한번 오시죠?
2007.12.04 10:34:47 (*.127.196.140)
외곽순환고속서킷... ㅎㅎㅎ 길 정말좋죠
저도 주차장에 차를 세울땐 오늘도 살아남았다는 생각을 하곤하는데... ^^
저도 나이탓인것 같아요
저도 주차장에 차를 세울땐 오늘도 살아남았다는 생각을 하곤하는데... ^^
저도 나이탓인것 같아요
2007.12.04 10:36:50 (*.36.230.139)

저는 이제 제 자신이 즐기는 것으로 충분한 부류가 되었다는 것을 알아버린지라 이를 악물던 시절은 아련하죠
공도에선 적절히 즐기고 한계주행은 써킷정도로 만족하는 것이 현명한 것 같습니다. 내 자신도 준비되어 있고 주변 차량도 준비되어 있는 달릴 곳은 거기밖에 없더군요.
잊을만하면 들려오는 자동차 동호회의 부고가 최근 어디에서 또 한건 들려와서 최근에 더더욱 힘 빼고 다닙니다. 이제는 둘째도 인스톨된지라 ㅎㅎㅎ
공도에선 적절히 즐기고 한계주행은 써킷정도로 만족하는 것이 현명한 것 같습니다. 내 자신도 준비되어 있고 주변 차량도 준비되어 있는 달릴 곳은 거기밖에 없더군요.
잊을만하면 들려오는 자동차 동호회의 부고가 최근 어디에서 또 한건 들려와서 최근에 더더욱 힘 빼고 다닙니다. 이제는 둘째도 인스톨된지라 ㅎㅎㅎ
2007.12.04 10:39:23 (*.154.51.22)

저도 완간 미드나이트 10 편이 떠오르네요
올라갈데까지 가신 분들이 찍고 턴 하시는 시점이 아니신지 -
양상규 님 말씀에 동의도 하구요 -
올라갈데까지 가신 분들이 찍고 턴 하시는 시점이 아니신지 -
양상규 님 말씀에 동의도 하구요 -
2007.12.04 12:10:24 (*.120.254.250)

저도 달릴때는 턱이 뻐근할 정도로 이를 악물기 시작한지 꽤 된듯 한데요...
아무래도 좀더 집중하고 한번이라도 더 계산하다 보니 저도 모르게 그렇게 되는듯 합니다...
덕분인지 사고의 빈도는 엄청나게 줄었습니다...
아무래도 좀더 집중하고 한번이라도 더 계산하다 보니 저도 모르게 그렇게 되는듯 합니다...
덕분인지 사고의 빈도는 엄청나게 줄었습니다...
2007.12.04 13:11:44 (*.38.118.20)

무리하지말고..즐길수있는선을 찾아야하지않을까요? 무론..당시엔 그런생각을 잘못하게 되는것이 사실이지만...
언제인가 저의 선배형님이 하신말이 생각나는군요...
엔진달린것은 모든지 위험하다
그것을 잘컨트롤 할수있을거란 자만을 하지말라고...엔진의 힘은 아무리작아도 자신의 힘보다 강하기에...
물론 그선배형님도 스피드를 즐기시지만...언제나 조심하자는...
좋은건 오래오래 즐겨야하니가요^^
언제인가 저의 선배형님이 하신말이 생각나는군요...
엔진달린것은 모든지 위험하다
그것을 잘컨트롤 할수있을거란 자만을 하지말라고...엔진의 힘은 아무리작아도 자신의 힘보다 강하기에...
물론 그선배형님도 스피드를 즐기시지만...언제나 조심하자는...
좋은건 오래오래 즐겨야하니가요^^
2007.12.04 14:06:05 (*.151.109.232)
첫번째 엘리사를 사고로 보낸후 부터는 사고이전만큼 한계주행을
못하겠더군요...
저 코너를 돌아나가는 순간 앞에 차량이 서행을 하고 있진 않을까...
혹여나 선행차량이 내 차의 속도를 인식하지 못하고 들어오신 않을까..
저번에는 하늘이 도우셔서 차만 보냈지만..혹시나...
집사람도 생각나고..할일들도 생각나고...
두번째 엘리사의 세팅이 끝나고 간혹 발생하는 배틀상황이나..지인들과의
달리기 중에도 출력이 낮아도 브레이크 한번 덜 밟고 무조건 이기고 보자!!!
라는...마인드에서 이제는 뒤쳐지지 않을 만큼만 뒤따라 가자로 운전습관이
저도 모르게 쪼그라 들었습니다..
하지만..점점 시간이 지나면서..역시나 지는건 기분이 참..착잡하더군요..^^;
이상하게도 항상 써킷을 들어가서 G랄을 하던..차를 날려먹던 맘껏 주행해보자
라는 생각이 실천이 안되네요...
못하겠더군요...
저 코너를 돌아나가는 순간 앞에 차량이 서행을 하고 있진 않을까...
혹여나 선행차량이 내 차의 속도를 인식하지 못하고 들어오신 않을까..
저번에는 하늘이 도우셔서 차만 보냈지만..혹시나...
집사람도 생각나고..할일들도 생각나고...
두번째 엘리사의 세팅이 끝나고 간혹 발생하는 배틀상황이나..지인들과의
달리기 중에도 출력이 낮아도 브레이크 한번 덜 밟고 무조건 이기고 보자!!!
라는...마인드에서 이제는 뒤쳐지지 않을 만큼만 뒤따라 가자로 운전습관이
저도 모르게 쪼그라 들었습니다..
하지만..점점 시간이 지나면서..역시나 지는건 기분이 참..착잡하더군요..^^;
이상하게도 항상 써킷을 들어가서 G랄을 하던..차를 날려먹던 맘껏 주행해보자
라는 생각이 실천이 안되네요...
2007.12.04 14:20:55 (*.145.162.179)

이가 흔들리도록 꽉 문다니.. 도로는 즐거운 곳일 수 있는데 무슨 콜롯세움 처럼 생각하시는 듯.. 사계를 즐기고 물리학을 즐기고 .. 각 차들의 디자인과 엔지니어들의 솜씨와 .. 도로를 설계한 엔지니어들의 생각과 경관.. 자연.. 바람.. 엔진음을 모두 즐길 수 있는 곳인데 왜 스스로 죽기 아니면 살기로 매일 혈투를 벌어야하는 사람처럼 여기면서 도로를 스스로를 괴롭히는 곳으로 여기시는지요.
2007.12.04 15:08:06 (*.140.138.83)

다시 생각해도 역시 좀 그렇죠? 콜롯세움도 아닌데..
내년 초쯤 문제의 300km 어택만 끝내고 나면..
목숨을 내걸고 달리는 고속배틀쪽은 손 떼고,
즐기는 정상인(??)으로 돌아가버릴까 생각도 드네요..
내년 초쯤 문제의 300km 어택만 끝내고 나면..
목숨을 내걸고 달리는 고속배틀쪽은 손 떼고,
즐기는 정상인(??)으로 돌아가버릴까 생각도 드네요..
2007.12.04 15:15:18 (*.148.159.138)

모든 사람마다 취향이 다르고 만족감을 느끼는 기준이 다르고 목표가 다르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다양성 또한 테드의 장점이 아닐런지요...
너그러이 봐주시길... ^^
다양성 또한 테드의 장점이 아닐런지요...
너그러이 봐주시길... ^^
2007.12.04 16:16:39 (*.145.162.179)

본인이 스스로 괴롭다 여기시니 거기서 해방되시라고 권하는 것 뿐입니다. 본인이 즐긴다면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한) 300km 도전이든.. 24시간 연속주행이든.. 모두 해도 좋을 뿐 아니라 권하고 싶은 일들이죠.. 저는 95년 12월 31일 지는 해를 서해 제부도에서 보고 1월1일 새해의 일출을 동해의 정동진에서 보았던 드라이브가 무척 기억에 남네요. 남들이 보면 미친 짓이겠지만요. ^^ 강원도 갈 거라고 순정 휠에 스노우타이어 끼워서 나름 무장(?) 하고 열심히 달리던 게 즐거웠던 시절이죠..
2007.12.04 16:30:32 (*.11.60.2)

어찌보면.. 이런 고민이 갑자기 심해진게..
근래, 아는 분이 고속도로에서 유명을 달리한 이후부터인거도 같습니다
언젠가 죽게될거다..라는게 실감이 나기 시작한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적당히 달리는건 즐겁네요 ^^
근래, 아는 분이 고속도로에서 유명을 달리한 이후부터인거도 같습니다
언젠가 죽게될거다..라는게 실감이 나기 시작한건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적당히 달리는건 즐겁네요 ^^
2007.12.04 17:45:04 (*.251.131.71)
"더 높은 산을 더 어려운 루트로..." 산을 타던 친구가 겨우 4,000 미터 급에서
고산병에 시달리며 하는 이야기가....
"이렇게 되고 보니 낮은 산도 재미있었는데..."
라는 이야기에서 많은 생각을 합니다^^
300키로도 빠른 속도지만 125R의 자이안트 코너에서 120키로만 되어도 짜릿하죠^^
내년에 태백이나 같이 가요^^
고산병에 시달리며 하는 이야기가....
"이렇게 되고 보니 낮은 산도 재미있었는데..."
라는 이야기에서 많은 생각을 합니다^^
300키로도 빠른 속도지만 125R의 자이안트 코너에서 120키로만 되어도 짜릿하죠^^
내년에 태백이나 같이 가요^^
2007.12.04 19:33:12 (*.19.219.53)

이제는 고속이건 와인딩이건 차를 탈때마다 무섭기도 하고 두렵기도 하고..
살짜쿵 경건해질때도 있고여..ㅋ
욜로리 관광안전모드 수다떨며 음악감상하며 맘 편하게 먹고 운전하는게 점점 좋아짐다...(^^*)
살짜쿵 경건해질때도 있고여..ㅋ
욜로리 관광안전모드 수다떨며 음악감상하며 맘 편하게 먹고 운전하는게 점점 좋아짐다...(^^*)
너무 경직되어 가신다고 생각합니다..
생각의 전환은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