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어제 GT2를 운전했던 4시간반동안의 시간중에서 대략 3시간반 이상은 극심한 정체속에서 운전하는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클러치의 무게감은 요즘의 그 어떤차와 비교해도 무겁고, 제가 가진 차중에서 클러치가 가장 무거운 B5 RS4의 그것보다 약 20%이상 더 무겁습니다.
일반적인 투스카니 순정 클러치의 무게감과 비교하면 5배정도의 탄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평소에 수동을 자주 운전하는 편이라 수동변속기의 시가지 주행의 불편함을 느끼진 못하는 편입니다.
흔히들 길이 막히는 곳에서 수동변속기를 운전하면 몸이 뻐근하고 왼쪽 발이 시리다고하는데, 다시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제 신체적인 조건은 175cm 64kg이고, 평소에 일주일에 두번 테니스를 치고 가벼운 몸무게로 순발력과 단거리 달리기는 아직도 100m 13초 플랫에 주파가 가능하지만 반대로 토크를 나타내는 물건 짊어지고 계단 오르기나 등산 이런류에는 그다지 강하지 않습니다.
등에다 웨이트를 지고 앉았다 일어났다하는 운동에도 취약한 즉 스피드는 좋지만 토크는 다분히 부족한 하체의 구조이지요.
GT2처럼 무거운 클러치를 밟을 때는 패달을 밟는 방법과 내리누를 때의 발의 각도에 따라 무릎인대에 미세한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고 아니기도 한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정말 클러치를 누를 때 제대로 된 방법으로 발이 바닥에서 수직인 상태로 누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어제 새삼 느꼈습니다.
클러치를 밟고 떼는 것과 발목을 사용해서 클러치를 떼며 반클러치 이후에 클러치를 완전히 놓는 것 그리고 정지전 기어를 뺄 떼는 클러치를 밟지 않는 3가지 요소는 시가지 운행에서 수동변속기 차량을 운전할 때 체력을 아끼게하는 주요한 포인트들입니다.
30대에 클러치를 오래 밟으면 다리에 힘이 풀리고 몸에 무리가 오는 정도라면 분명 건강에 문제가 있거나 아니면 클러치 패달을 다루는 방법에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저같이 강철 다리를 지니지도 않았고, 어찌보면 평범한 30대 후반의 젊은하체로도 어찌보면 최악의 클러치라고 볼 수 있는 GT2를 정체구간에서 3시간반이나 운전하고도 멀쩡한 것을 보면 수동변속기와 클러치가 운전자의 피로도를 극대화시키는 절대 요소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어제 기진맥진 했던 것은 사실 속도를 높여서 운전할 때 오는 극도의 긴장감과 타이어의 배수성이 좋지 않은 것을 때로 고속으로 지나갈 때 차가 표류하는 경험을 한 3번 정도 하면서 RR의 무서움과 극도로 민감한 조작을 해야하는데서 온 것이지 시가지 주행에서 온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빗길에서는 GT2가 3단에서도 후륜이 쉽게 헛돌기 때문에 4단에 들어간 상태에서 길이 완전히 반듯해도 풀가속을 하는 것 자체가 무서운 그런 상황이 운전자의 기를 모두 뽑아가버리는 그런 극단적인 상황인 것 같습니다.
수동변속기가 시가지에 쥐약이라는 주변의 푸념에 수동변속기를 멀리하는 사례가 없어졌으면 합니다.
수동변속기는 오히려 시가지 운전시 극도로 몸의 움직임이 줄어듬으로 인해 졸음이 오면서 혈액순환 속도가 줄고 나른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적당한 하체와 상체의 움직임으로 장시간 운전후 차에서 내리면 오히려 더 가뿐하기 때문에 분명히 건강에 더 좋은 차라고 확신합니다.
997을 마지막으로 GT2와 GT3에 수동이 얹혀질 가능성은 매우 희박해졌기 때문에 분명 대세는 수동변속기가 아니지만 그래도 수동변속기의 재미와 바꿀 수 있는 자동변속기는 없다는 믿음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testkwon-
gt3rs 의 클러치를 밟아보고 이건 줘도 못타겠다 싶었는데, gt2는 정말 무겁긴 한가 봅니다.~~
997이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마지막 gt시리즈라니 너무 아쉽네요.~~
저도 수동기어를 몰지만 정체시 그다지 피로함을 느끼지 못합니다. 저런 이유가 있었네요.
아무튼 컵타이어로 빗길 안전운전하신거 정말 다행입니다.

노말 폴쉐MT의 클러치는 생각보다 진짜 가볍던데 쎈놈들은 다른가 보네요..
약간 딴얘기지만 요즘은 수동변속기를 경험하지않은 세대들도 점점 많아지고 있는데.. 가끔 동승해 보면 멀찍이 앉아서 성의없는 핸들링과 페달링..^^ 으로 AT차를 모는 모습은 개인적으로 안타깝기까지 합니다.. 고출력AT라면 더욱 아슬아슬하게 느껴지기도 하구요..
(AT차량이라도 일정수준이상의 출력이라면 오토면허만으로는 주행을 제한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정체구간에서 피로를 느끼기 보단 자꾸 끼어드는 차들이 얄밉습니다.
얼마전 gt3 클러치 밟아보고 놀랐는데 gt2는 상상이 안가네요.
그에 비하면 카이맨은 세단이라 해도 될 것 같습니다.
크루즈 클러치 밟아보니 스폰지더군요. ^^;;

수동 운전 3년차인데. 아직도 클러치감이 좀 어색합니다. ^^
정체구간보다는 오르막 구간에서 피로감이 더 오는것 같습니다. rpm 봐가면서 가속 페달과 클러치 열심히
왔다 갔다 해야 하니까요. 하하.

저도 수동을 놓아본적이 없어서 시내 막히는 구간에서도 사실 잘 불편한지 모르겠습니다... ^^ 신체 조건은 저와 비슷하신... ^^ 180에 64킬로입니다. 스피드는 좋아도 절대 힘(?)은 약한 체질입니다. 근데 지금 100m를 뛰면 17초 내에나 들어올지 모르겠네요...ㅎㅎ (한때는 13초대 였는데요..ㅎ.)

저도 여태껏 차 몰면서 수동만 고집해왔습니다.
아직 정체구간이나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수동이 힘들다고는 느껴지보지 못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오히려 고속도로 정속주행할때 악셀레이터를 밟고있는 오른발의 피로도를 느낍니다.
꾹 밟지도 않은것이 은근히 들고있어야 하니 발등이 피곤하더군요...
그래서 차라리 꾹꾹 밟으며 달리는게 장거리를 달려도 피로도 누적이 없더군요..
얼마전 순정 오토크루즈를 이식했더니.. 고속도로 정속주행이 너무나 편해졌네요...ㅎㅎㅎㅎ

저도 면허 이래 수동만 운전해 왔고 수동이 아닌 차를 생각해 본적도 없습니다.. 제 사견이지만 평생 수동을 운전한 사람이 평생 오토만 운전한 사람보다 치매발병이 적을 것 같습니다. 저도 테니스 매니아라 테니스 치신다니 반갑습니다. 단식도 좋아하는데 잠실 근처에 오시면 연락 주세요. 테니스 대접해 드릴께요.

제 M3 클러치도 묵직한 편이고 제 하체도 그닥 튼튼한 편이 아니지만 정체구간에서 힘들다고 느낀 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정 피곤할 땐 그냥 회전수만 잘 맞춰서 노클러치 변속으로 다니기도 합니다. ㅎ

전 아직 정체길에서 왼발이 오른발보다 더 힘들다고 느껴본 적이 없습니다.
단순히 생각해 보면 가다서다를 반복할 때 왼발은 클러치를 한 번 밟는데 오른발은 악셀과 브레이크를 번갈아 밟으니 오른발이 더 힘든게 당연한게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그나저나 한 7년전서부터는 수동차량을 몰아도 조금만 운전을 오래하면 어김없이 졸음이 몰아치는데 막히는 길에서 졸면서도 조작은 다 하고 있더군요. -_-;;;
정지전 기어를 뺄 때 클러치를 밟지 않아도 되나요? 저는 당연히 클러치를 밟아야 하는 줄 알고 있었는데...
아직 모르는 부분이 너무 많습니다...^^;;

997 GT3 를 만난지 약 3주정도 되는 포르쉐 초보 입니다.
처음 차량 인수 후 그동안 만나왔던 차량들과는 조금은 다른 클러치 느낌에 적지않게 당황했습니다.
특히 약간의 오르막이라도 만나게되면, 약간의 식은 땀이 ^^;
운전석에 앉았었던 친한 친구 녀석도, GT3는 클러치도 잠겨지냐며 저에게 물었던 일이 있네요.
물론 3주라는 짧은 시간, 그리고 주말의 3번 운행이 전부이지만, 주행하는 횟수가 늘어 갈수록 클러치의 무게감 또한 또 다른 감성으로 다가옵니다.

저도 클러치 때문에 운전이 힘들다는 얘기는 공감이 하기 힘듭니다. 좀 더 신경이 흐물흐물해지는 시승기를 기대했는데...뒤에 더 있겠죠?

완전 공감입니다 ^^
무지 막히는 시내구간에서도 왼쪽 다리의 불편함은 모르겠습니다.
오히려 차가 서면 수시로 중립놓고 두다리 다 내려놓아 버리니 편하던데요 ^^
나름 수동기어를 선호하는 저로서도 수동변속기를 어떻게 다루는냐에 따라 발의 피로도는 달라지는거 같습니다..
좋은 글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