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안녕하세요 인제 올해도 3일 밖에 남지 않았군요
다들 한해 후회없이 사셨죠? 마무리 잘하시고 안전운전 하시고 건강하세요
얼마전 옆집카센터에 갔었는데 제 아시는분 테라칸2.9 수동, 밋션을 내리고 있어서
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장님 왈" 야, 어떻게 플라이휠에 유격이 생겨서 소모품으로 교환을 하지?
가격도 60만원 인가,,,이것 때문에 조금 남았지만 디스크,커버,베어링까지
교환하게 됐는데 공임포함 140만원정도가 잡혀있었습니다
이건 암만봐도 설계제작상의 결함이라 생각드는데 이런걸 리콜 안하는지
솔직히 차 폐차할때 까지 플라이휠 바꾸는 분 계신가요?(경기목적튜닝 제외)
돈 한두푼 하는것도 아니고 고스란히 소비자가 떠안아야 돼는게 안타깝데요
주행중에 변속시 소음과 진동이 느껴져 내려보니 이런 결과가 나왔는데
회원님들 중에 이런 경험하신분 계시는지요
제가 차주분께 테라칸 카페가입해서 정보문의 하면 같이 동병상련 하는분들
의견 모아서 건의 하면 어떻겠냐고 위로 하는게 다 였지만
현대의 이러한 부분에 울분이 생겨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다들 한해 후회없이 사셨죠? 마무리 잘하시고 안전운전 하시고 건강하세요
얼마전 옆집카센터에 갔었는데 제 아시는분 테라칸2.9 수동, 밋션을 내리고 있어서
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장님 왈" 야, 어떻게 플라이휠에 유격이 생겨서 소모품으로 교환을 하지?
가격도 60만원 인가,,,이것 때문에 조금 남았지만 디스크,커버,베어링까지
교환하게 됐는데 공임포함 140만원정도가 잡혀있었습니다
이건 암만봐도 설계제작상의 결함이라 생각드는데 이런걸 리콜 안하는지
솔직히 차 폐차할때 까지 플라이휠 바꾸는 분 계신가요?(경기목적튜닝 제외)
돈 한두푼 하는것도 아니고 고스란히 소비자가 떠안아야 돼는게 안타깝데요
주행중에 변속시 소음과 진동이 느껴져 내려보니 이런 결과가 나왔는데
회원님들 중에 이런 경험하신분 계시는지요
제가 차주분께 테라칸 카페가입해서 정보문의 하면 같이 동병상련 하는분들
의견 모아서 건의 하면 어떻겠냐고 위로 하는게 다 였지만
현대의 이러한 부분에 울분이 생겨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2007.12.28 22:03:47 (*.133.138.117)

플라이휠 소모품 맞습니다..!!
그나마 플라이휠은 나은편이죠
전 브레이크 로터만 1년에 3세트씩 사용한답니다.. ㅠㅠ
서킷도 안 들어 가는데.. 흑..
그나마 플라이휠은 나은편이죠
전 브레이크 로터만 1년에 3세트씩 사용한답니다.. ㅠㅠ
서킷도 안 들어 가는데.. 흑..
2007.12.28 22:21:53 (*.210.238.52)

음.. 플라이휠이 소모품인줄은 몰랐습니다..^^ 그동안 전 한번도 교체한적은 없는데.. (제일 길게 탔던차가 15만km 정도..)
2007.12.28 23:36:06 (*.119.9.27)

1.6 엔진으로도 플라이휠 두번 갈았습니다.. 하하하.. 소모품이죠.. 엔진도 소모품이다 외치시는 분들도 제법 있을껄요?
2007.12.29 03:03:40 (*.43.98.25)
티뷰론 탈때 클러치를 교환했는데, 압력판, 디스크, 플라이휠까지 전부 교환하더군요. 그러고 25만원정도 나오던데.........
2007.12.29 04:13:06 (*.229.165.85)

single도 안고 dual mass타입이라면 국산이라도 가격이 상당하긴 할것 같네요.....수입차량은 dual mass타입들은 100만원대를 훌쩍 넘기기도 합니다....ㅡ,.ㅡ;
2007.12.29 13:09:43 (*.115.96.83)
그때 사진기가 없어 못 올렸는데,,,아쉽군요
보통 "떡판이라고 하는분이 많이계시죠 본래 하나의 둥근쇠붙이에 가운데 센터
베어링이 들어갑니다만
요즘은 플라이휠속에 작은 부품과 조합되었더군요
여기서 유격이 생기면 문제가 발생되는데
디스크 손상유무와 관계없이 밋션내려야 합니다
플라이휠은 스타트모터의 기어와맞물리면서 시동시 역활만 하는걸로 아는데
이것도 역시 소모품이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보통 "떡판이라고 하는분이 많이계시죠 본래 하나의 둥근쇠붙이에 가운데 센터
베어링이 들어갑니다만
요즘은 플라이휠속에 작은 부품과 조합되었더군요
여기서 유격이 생기면 문제가 발생되는데
디스크 손상유무와 관계없이 밋션내려야 합니다
플라이휠은 스타트모터의 기어와맞물리면서 시동시 역활만 하는걸로 아는데
이것도 역시 소모품이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2007.12.29 13:13:34 (*.163.188.204)

싼타페 수동의 경우 수동변속기 부분이 말썽이 많습니다
플라이 휠의 열변형이라고 합니다
정확한 원인도 모르고 있고 수리차 사업소 가서 목소리 큰사람은 무상교환,공임만 부담 등등..
플라이 휠의 열변형이라고 합니다
정확한 원인도 모르고 있고 수리차 사업소 가서 목소리 큰사람은 무상교환,공임만 부담 등등..
2007.12.29 13:46:16 (*.221.129.49)

"플라이휠은 스타트모터의 기어와맞물리면서 시동시 역활만 하는걸로 아는데 "
헉...시훈님 그 역활은 플라이휠이 하는 가장 작은 역활이라고 생각합니다.
플라이휠은 시동성유지, 회전관성 유지, 진동 댐퍼 능력, 동력전달 능력등등
엔진 출력 특성/리스폰스/진동특성에 큰 영향을 주는 부품입니다.
헉...시훈님 그 역활은 플라이휠이 하는 가장 작은 역활이라고 생각합니다.
플라이휠은 시동성유지, 회전관성 유지, 진동 댐퍼 능력, 동력전달 능력등등
엔진 출력 특성/리스폰스/진동특성에 큰 영향을 주는 부품입니다.
2007.12.29 14:44:59 (*.255.85.214)

전에 타던차는 수동이었는데 클러치 교환할때 기사님이 말씀하시길...
다음에 클러치 교환할때는 플라이휠도 갈아줘야겠다고 하시더군요...
소모품이 맞는 듯 싶습니다.
다음에 클러치 교환할때는 플라이휠도 갈아줘야겠다고 하시더군요...
소모품이 맞는 듯 싶습니다.
2007.12.29 15:08:20 (*.189.133.20)
듀얼매스 플라이휠의 적용으로 래틀링 노이즈나 클러치 연결시 충격은 감소하였지만 이렇게 수명이 짧다는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클러치 디스크와 압력판보다 플라이휠의 수명이 짧다는 건 재질이나 설계가 정상적인 상황은 아닐겁니다...
저는 플라이휠은 차량에 있어서 완전소모품이 아닌 "준소모품"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클러치 디스크와 압력판보다 플라이휠의 수명이 짧다는 건 재질이나 설계가 정상적인 상황은 아닐겁니다...
저는 플라이휠은 차량에 있어서 완전소모품이 아닌 "준소모품"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2007.12.29 17:55:42 (*.206.244.181)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통상적으로 플라이휠의 수명은 운전습관과 주행형태가 가장 큰
수명의 요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물론 테라칸의 경우
비쌀 수 밖에 없는 구조적 요인이 있긴 합니다만 대개의 경우
국산 자체개발로 로열티 지급이 없는 부품의 경우는 가격이 저렴하지요
물론 방식의 차이로 인한 코스트 상승도 있습니다만...,
단적인 예로 과거 뉴그랜져 패드의 경우 미쯔비시 패드와
후에 만도에서 나온 패드의 경우도 가격차이가 극명하게 납니다.
두 가지로 요약이 돼는군요 방식에 다른 코스트상승과 개발컨셉
즉 다시 말하면 순수 국내기술이냐 수입이냐의 차이라고 보시면
맞을듯 합니다. 하지만 테라칸이라고 해서 수명이 그 정도로 극명하게
짧은건 절대 아닙니다. 다분히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한몫을 했다고
보야지긴 하지만 이 역시 실물을 직접 본게 아니므로 장담할순
없지요 또 하나 의심가는게 있다면 제품자체의 불량이라고 볼수도
있겠는데요 이는 소비자 입장에서 참으로 증명하기 곤란한 경우가
되겠죠 아쉬운게 종종 책임소재를 놓고 공방을 벌이는 경우가
있는데 의료계의 법의학처럼 자동차쪽에도 그런 제도가 있으면 하는
바램도 갖아봅니다. 물론 동종업계이고 팔은 안으로 굽는다는
만고불변의 법칙을 생각하면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 수 있는지
여부가 불투명 하긴 합니다만...,
의료분쟁이 됐던 자동차 하자에 의한 분쟁이 됐던간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러한 결함을 증명하고 보상받는게
참으로 어렵다는 현실이고 보면 큰 출혈을 감내해야 하는
오너 입장에서는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결론을 맺자면 플라이휠도 차종에 따라서 약간 상이하지만
소모품일 수 있고 폐차까지 그냥 갈수도 있고 하다는거죠
이는 방식의 차이와 사용돼는 클러치와 디스크 그리고
운전습관등에 기인한 종합적 결과물이므로 해당 차량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분석하기 전에는 단순한 결과상황 서술에 의존해서
판단 하기는 좀 어렵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통상적으로 플라이휠의 수명은 운전습관과 주행형태가 가장 큰
수명의 요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물론 테라칸의 경우
비쌀 수 밖에 없는 구조적 요인이 있긴 합니다만 대개의 경우
국산 자체개발로 로열티 지급이 없는 부품의 경우는 가격이 저렴하지요
물론 방식의 차이로 인한 코스트 상승도 있습니다만...,
단적인 예로 과거 뉴그랜져 패드의 경우 미쯔비시 패드와
후에 만도에서 나온 패드의 경우도 가격차이가 극명하게 납니다.
두 가지로 요약이 돼는군요 방식에 다른 코스트상승과 개발컨셉
즉 다시 말하면 순수 국내기술이냐 수입이냐의 차이라고 보시면
맞을듯 합니다. 하지만 테라칸이라고 해서 수명이 그 정도로 극명하게
짧은건 절대 아닙니다. 다분히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한몫을 했다고
보야지긴 하지만 이 역시 실물을 직접 본게 아니므로 장담할순
없지요 또 하나 의심가는게 있다면 제품자체의 불량이라고 볼수도
있겠는데요 이는 소비자 입장에서 참으로 증명하기 곤란한 경우가
되겠죠 아쉬운게 종종 책임소재를 놓고 공방을 벌이는 경우가
있는데 의료계의 법의학처럼 자동차쪽에도 그런 제도가 있으면 하는
바램도 갖아봅니다. 물론 동종업계이고 팔은 안으로 굽는다는
만고불변의 법칙을 생각하면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 수 있는지
여부가 불투명 하긴 합니다만...,
의료분쟁이 됐던 자동차 하자에 의한 분쟁이 됐던간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그러한 결함을 증명하고 보상받는게
참으로 어렵다는 현실이고 보면 큰 출혈을 감내해야 하는
오너 입장에서는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결론을 맺자면 플라이휠도 차종에 따라서 약간 상이하지만
소모품일 수 있고 폐차까지 그냥 갈수도 있고 하다는거죠
이는 방식의 차이와 사용돼는 클러치와 디스크 그리고
운전습관등에 기인한 종합적 결과물이므로 해당 차량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분석하기 전에는 단순한 결과상황 서술에 의존해서
판단 하기는 좀 어렵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2007.12.29 22:18:41 (*.107.14.111)

투스카니 중 아이신사 수동6속 차량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기어안빠짐(1~6단, 2.0/2.7 공통)의 원인이 플라이휠 유격으로 추정되는데요..
5속 보다 힘을 많이 받게 설정된 기어비 등 설계 문제로 사료되지만,
차종도 소수인데다, 트림은 더더욱 rare item 이라 현대의 반응이 없는 상태입니다.
곽승님의 산타페 경우와 동일하게
'정확한 원인도 모르고 있고 수리차 사업소 가서 목소리 큰사람은 무상교환,공임만 부담 등등..'
이 현실이지요 ㅡ_ㅡ;
5속 보다 힘을 많이 받게 설정된 기어비 등 설계 문제로 사료되지만,
차종도 소수인데다, 트림은 더더욱 rare item 이라 현대의 반응이 없는 상태입니다.
곽승님의 산타페 경우와 동일하게
'정확한 원인도 모르고 있고 수리차 사업소 가서 목소리 큰사람은 무상교환,공임만 부담 등등..'
이 현실이지요 ㅡ_ㅡ;
수입차 국산차 할거없이 신형차들은 플라이휠도 소모품입니다. ^^
더더욱이나 요즘 신차들처럼 고출력/고토크 대응 수동차들은 더더욱 그렇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