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차체 부식 방지용으로 언더코팅 등등을 하지만
아무래도 가장 적극적인 방법은 아연괴?를 차체에 붙이는 것 같은데요
혹시 이런 작업 해보신 분 있나요?
한번 해볼까 상상! 중인데요.
1. 아연괴를 어디서 구하나.. 고려아연에 물어보면 소량을 구할 수 있을 것인가.
2. 아연괴를 차에 붙인다면.. 어디에 두어야 하나
3. 차에 아연괴를 싣고 다니는 것이 과연 안전할까
요 세 가지가 걸리네요..
리튬처럼 폭발적인 반응을 보이진 않을테니
그냥 작업해도 괜찮지 않을까요?

저는 보드블록 높이의 턱 내려오다가 앞바퀴 바로 뒤쪽 하체가 찍혀서
순정 코팅부분이 벗겨진 부분을.. 아연도금(?)락카로 칠했습니다...
친구가 몰다가 그렇게 되었는데.. 그친구가 조선소관련 일을하다보니... 배, 장비같은... 바다 부식방지용으로 사용하는
아연락카라고 주는거 뿌렸습니다... 효과가 있는지는 모르나 믿져야 본전으로 뿌려놓았습니다...
그런데 아연괴는 어떤건지 궁금하네요....

산화라는 것이, 말 그대로 산소와 반응하는 것이니까 전자를 "받는" 것이 될 것 같은데요(맞나요? 기억이 가물), 아연이 워낙 이 전자를 받는 성질이 강해, 철과 아연을 붙여 놓으면 아연이 전자를 다 받아먹고 철은 못 받아먹어서 녹이 방지되는 것 같네요. 그래서 아연 도금 강판을 쓰는 것일 테고요.
.
그러나 아연괴는 말 그대로 덩어리니까... 접촉 면적 등에서 손해를 보지 않을까 싶네요. (철이 이상적인 도체라면 전자야 도선 하나로도 아연괴 쪽으로 잘 흐르겠지만, 실제론 저항이 다 있으니까요) 아연괴보단 아연을 포함한 페인트가 도움이 될 것 같네요.

일단 제가 생각하기엔, 선박이야 전해질인 바닷물에 들어가 있으니 아연괴를 이용한 음극화 보호가 상당히 효과적일 것 같고요.
자동차라도.. 배터리 접지 하는 것처럼 차체 몇 몇 곳에 접지를 해서 아연괴를 달아주면 아연이 먼저 산화되면서 차체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해보진 않아서...;;; 혹시나 해보신 분이 계신가 해서 질문을 올렸습니다
물론 이미 도장이 되어 있는 차체에는 붙여봐야 전자가 이동할 통로가 없으니.. 볼트 등을 써야 할 것 같긴 하고요.

http://en.wikipedia.org/wiki/Galvanic_anode
이거군요. -_- 말씀하신 대로 전해질이 없어서 안되겠습니다.
"For this to work there must be an electron pathway between the anode and the metal to be protected (e.g., a wire or direct contact) and an ion pathway between the anode and the metal to be protected (e.g., water or moist soil) to form a closed circuit; thus simply bolting a piece of active metal such as zinc to a less active metal, such as mild steel, in air will not furnish any protection."

아.. 순익님, 결정적인 문구인데요..;;
근데 그렇게 되면 아연도금강판이라는게 별다른 의미가 없는 것 아닌가요?
강판이 상처를 입어 철판이 노출되어도 아연이 있기 때문에 부식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혼자 심각하게 생각하는 중입니다;;;
링크를 읽어보니.. 제가 생각하는게 효과가 거의 없겠네요..
제가 괜히 분란만 일으켰네요 ㅎㅎㅎ ㅜ.ㅜ

전해질은 갈바닉 쎌을 만들 때에 필요한 부분이고 음극화 보호(cathodic protection)에서는 양극과 음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만 되어 있으면 문제 없습니다.
위에 박성진님께서 잘 설명해 주셨다싶이 음극화 보호는 모재보다 전자 친화도가 낮은(산화되기 쉬운) 금속을 연결하여 모재를 보호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아연괴를 달아놓는게 강판의 부식 방지에 효과가 없진 않겠지만, 전기적 특성이 딱히 좋지 못한 자동차용 강판의 특성으로 볼 때 아연괴 주면에만 국소적으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수십년간 차를 소유하시려는 목표를 갖고 계신게 아닌 이상 부분 부분 도색을 벗겨내고 아연 덩어리를 붙이실 필요까지 있으려나 싶습니다.
아연괴를 차체에 붙여두는 것만으로 녹스는게 방지되나요? 자세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처음 듣는 이야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