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약 2달전 이 게시판에서 회원분들의 의견을 얻어 STi는 잘 타고 있습니다.
그런데 공기압에 관련되어 궁금한게 있는데 검색해봐도 알 수가 없어 또 질문 글을 올립니다.
웹서핑 중 공기압을 측정하려면 차를 리프트로 올려서 타이어에 하중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을 해야한다는 글을 봤는데요.
평상시에는 하중이 가해져 있기에 실제보다 높이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테드에서도 공구했던 타이어독 브랜드의 TPMS를 사용중입니다.
헌데 또 어디선가 TPMS에서 보면 보통 5~6psi 정도 높게 나온다는 글을 봐서 더 혼란스러워 졌습니다.
따로 가지고 있는 공기압게이지하고는 0.5psi정도 오차밖에 없던데 말지요..
그래서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TPMS로 권장 공기압을 맞춘 지금 실제로는 5~10psi정도 낮을 수도 있다는 생각에
고민중입니다.
혹시 정확히 알고 계신 회원분 계신지요?

고등학교때 배운 PV=nRT를 적용해봅시다.
공기주입구가 단단히 잠겨있다고 가정하면 공기 분자 개수가 바뀌지 않으므로 n은 상수이고, R도 상수이고 타이어 압력은 상온에서 측정하는 것이므로 온도 T도 상수입니다. 따라서 P와 V가 반비례관계인 것만 남습니다. 하중이 더 크게 걸리면 V가 바뀌고 그에 따라서 P가 바뀌게 되는 것인데요,
문제는 타이어가 고무풍선같이 무한정 늘어나고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철심에 의해 그 형태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부피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 따라서 생각하시는 만큼 그렇게 압력이 왔다갔다하지 않습니다.
자주가는 단골샾에서 띄워서 재보고 내려서 재본결과
똑같더군요;;
그리고 굳이 공기압 잴때 조심할점은 리프트에 띄우고 말고가 아니라,
더운여름날 신나게 달려서 바로 공기압을 측정해서 넣느냐, 차와 타이어를 좀 식히고 넣느냐가 중요할듯합니다.
더운날 신나게 달려서 바로 공기압 재면 확실히 높게나옵니다;
공기압은 그냥 체크하셔도 됩니다.
리프트에 올리나 그냥 재나 공기압은 동일하게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