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수동차량을 소유한 오너입니다
이제 수동차 경력이 일년조금넘었는데요
전부터 궁금한거 한가지 여쭙겠습니다
변속하는 방법에 관한것인데
클러치 밟고 잠시후 기어레버를 다음단계로 조작하는과정중
궁금한게
클러치밟고 잠시 딜레이를준뒤 빠르게 기어레버를 조작하는게 좋은건지
아니면
기어레버를 원하는 기어단수에 살포시 갖다대고 있는방법중
(기어레버를 원하는 기어단수에 살포시 갖다놓고있음 지가 알아서 쏙 ~~빨려들어가더군요 )
어느게 미션에 더 좋은지 궁금합니다
전에 테드글중에 살포시 갖다놓고 있는게 미션에 더 좋다는 글은
본적이 있습니다만
용인모레이싱팀 사장님께서 예전에 제게
기어는 빠르고 정확하게 넣는게 가장좋다라고 하셔서
약간 헷갈립니다
회원님들은 어느방법으로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Hot Video Clips 란에 마스터님께서 올리신 더블클러칭 영상이 있으니 보시고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보기엔 정말 쉽고 간단한데 해보면 잘 안됩니다;;)
제 경험상 차마다 조금씩 틀리더라구요. 옛날차중 특히 기아차계열(구형프라이드 세피아 캐피탈)은 빨리 엑셀떼고 동시에 빨리 클리치밟고 빨리 변속한뒤 빨리 클러치 떼는게 젤 좋더라구요. 근데 지금 타고 있는 쉐보레 스파크는 변속시점에 엑셀레이터를 약간 여유있게 놓고 클러치는 빨리 밟고 변속도 빨리한뒤 클러치는 약간 스무스하게 떼는게 좋았습니다. 정답은 없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클러치 안밟고 변속하는 방법도 있긴 합니다만 승용차는 굳이 안하는게 좋다고 생각됩니다.

퀵쉬프트(숏 병행)작업하여 탑니다.
더블클러치와 힐&토우도 거의 쓰지 않습니다.
사실 잘 하지 못해서 오히려 망가질까봐~ ^^

항상 머리로는 다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데, 실제로 몸이 잘 안 따라가는게 문제겠지요. ㅋ
사람마다 변속시점과 그 스타일이 모두 다 차이가 납니다. 정답이라는게 있을 수도 때론 없을 수도 있지요.
전 부드럽게 변속하는 방법을 고민해 보시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사람마다 반클러치 쓰는 빈도와 정도가 다릅니다. 어떤 사람들은 울컥거려도 그냥 빨리 클러치를 떼라고 합니다만, 전 오히려 필요하다면 써야한다고 강조하는 편입니다. 고성능 차량일 수록 부드럽게 다뤄줄 필요가 있고, 수동운전에 있어서도 부드러운 변속에서 부터 빠르고 정확한 시프팅, 더블클러치, 힐앤토/토앤토 따위의 기술들이 다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 ^^v
아무튼 결론은,
운전의 기본자세, 마음가짐, 그리고 여유를 갖춘 체 '동승자가 절.대.로. 내가 변속하는 시점을 못 느끼도록 할테다!' 하는 목표를 세워 부드럽게 조작하다보면 자연히 발전하게 되며, 덧붙여 여름이라 덥다고 쓰-레-빠-같은 거 신고 깝축거리면서 '기어는 빠르고 정확하게 넣는게 가장좋다' 하고 되뇌이며 변속 빨리한다고 호덜갑 떨지만 않으면 됩니다. ㅎㅎㅎ

차마다 다릅니다. rpm이 늦게 올라가고 늦게 떨어지는 스타일은 변속도 여유있게 클러치도 천천히, rpm이 재빠르게 오르내리는 차는 변속도 빠르게 클러치도 절도있게요. 차의 특성에 안맞추고 변속하면 울컥거리게 됩니다. 제 차 2대가 심히 다른 스타일의 차(bmw vs MB)라서 탈때마다 다르게 운전하고 있습니다.
기어변속은 빠르고 정확하는게 좋습니다..저단 변속시 rpm과 속도에 맞춰서 변속하시거나 더블 클러치 레브매칭을 하시면
미션에도 무리없고 차체도 울컥거림 없이 변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