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일과 끝내고 잠깐 틈이나, 문득 생각난걸 올려봅니다.
누구나 알고 계신부분이지만, 도로가 얼어있는 추운날씨라 조금더 주의를 기울이면 안전에 좋을거 같아, 생각난 김에 올려봅니다. 대충 그리느라 그림이 예쁘질 않네요.^^



스포츠드라이빙, 혹은 일반 드라이빙에서도.. 공도나 트랙의 코너공략시, 슬로인 패스트아웃이 기본원칙이란건 다들 잘 알고 계시리라 믿지만, 다소 격앙된 드라이빙 시엔 마음이 급해져 쉽게 선을 넘기 일쑤고, 때론 진입속도에 욕심을 부려 다이나믹한 액션을 연출할 요량으로 오버하기 쉬운 부분입니다.

전륜구동이건 후륜구동이건.. 펴서 달리기 어려운 깊은 코너를 만나면 과연 브레이킹 시점을 어디쯤에 두는게 효율적일까에 대해 꽤 많은 생각과 실험을 해보셨을거 같습니다. 차의 횡그립이 버텨주는 한계내에서, 코너링시 진입속도가 빠르면, 당연히 탈출속도도 빨라지리라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합니다.

위 그림에서 보면, A 차량의 브레이킹 시점을 A.B로, B차량의 브레이킹 시점을 B.B 로 표시해 놓고, A차량의 액셀시점을 A.A로, B차량의 액셀시점을 B.A 로 표시했습니다. 브레이킹 시점을 뒤로 늦추면 CP(인코너의 정점)에 다다르는 시간이 짧아져 전체 코너링이 빨라질걸로 생각하기 일쑤이지만, 그만큼 재가속타이밍이 늦어지므로 차 후 코너탈출속도는 느려지게 됩니다. 그림에서 A.H 와 B.L은 코너탈출 후, 같은 지점에서 A차량과 B차량중 어떤게 빠른속도에 이를지 비교한거랍니다.

결국, B차량은 코너진입시엔 빨라보이지만, 탈출후 이어지는 직선에서..브레이킹 시점이 빨랐던차에 따라잡히게 됩니다. 브레이킹시점이 깊었던 차량은 재가속 시점이 느려질뿐아니라, 빠른속도에 의해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데도 에너지를 소비하므로 '준비된 조향과 액셀링'이 어려워져 전체속도는 더욱 느려지게 되는것이죠.

매니아들과 그룹 드라이빙을 해보면, 담력이 좋아.. 코너진입은 매우 터프한데 탈출시엔 버벅거리며 이내 따라잡히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이러한 담력드라이빙(?)은 빠른드라이빙이나 효율적인 드라이빙에 도움이 안됩니다. 슬라럼, 짐카나, 드리프트에서도 가속을 위한 슬라이딩이 되지않고 회전관성을 버텨주는 슬라이딩이 되면 속도도 느려지고, 슬립앵글 조절이 어려워지고.. 불안정한 주행이 됩니다.

물론, 충분한 거리를 둔다고 마냥~ 서둘러 브레이킹을 하면 느림보 주행이 되겠지만, 자신의 차와 스펙에 익숙하다면, 스스로 마진을 판단할수 있으리라 봐집니다. 특히 요즘처럼 노면이 둘죽날죽한 시기에는 잠깐씩 달리더라도, 차량 통행이 드문 외곽길의 코너를 클리어 할땐, 슬로인 패스트아웃의 원칙을 꼭 지키는게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 다시한번 요약하면..

1) 코너 진입전 충분한 여유를 두고 브레이킹 한다.
2) 가능한한 정확한 CP를 파악해, 차량자세를 정확히 제어해 재가속을 시작한다.
3) 탈출구의 시야를 확실하게 확보한다.

추운 겨울.. 모두들 안전하고 즐거운 모터라이프 되세요. ^^


깜장독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