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jpg)
안녕하세요 양상규입니다.
재작년 9월 처음으로 4미리 오버 사양의 베타를 쎄팅했습니다.
4년 6개월여의 숙성과정을 거친 블럭과 보어 86mm 피스톤
gn코팅되어 있는 피스톤링까지 나름대로 만반의 준비과정을
거쳐서 한번의 시도로 성공을 하였고, 그 1호차는 지금도 잘
굴러 다니고 있습니다. 데일리카로요
이번 2호차를 위해서 아끼던 MB W124 를 시집보내고
다시금 4미리 베타를 만들기 위해서 시도를 했습니다.
1호차 때와 다른건 흡기밸브가 오버싸이즈인 빅밸브가 들어갔고
그 때문에 연소실 형상이 바뀌어야 했습니다.
해드밀링을 하지 않더라도 올라간 압축비 때문에 고급유를
주입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인젝터는 순정품중 가장 용량이
큰 NF 2.4 순정 인젝터가 들어가 있습니다.
저는 양산품의 퀄리티를 존중하고 또한 향후 메인터런스 및
데일리카로서 손색없는 튜닝카를 만들기 위해서 각 부품의
단품적 조사와 아울러 향후 정비편의성을 위해서 플러그와
에어크리너를제외한 모든 부품은 순정품을 활용했습니다.
오래시간 동안의 제 튜닝의 모토이기도 했구요
물론 피스톤과 커넥팅로드를 커스텀 제작 및 주문 한다면
고생할 필요가 없었지만 언제나 목마른건 튜닝매니아고
주머니 사정과 가정이 있으신 분들은 가정의 화목을 깨트려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늘 앞서 했기 때문에 차가 좋아서 튜닝을 하다가
튜닝 때문에 차를 팔아야 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조금이나마
감쇠 시키고 싶은 욕구도 작용했습니다.
튜닝을 하면서 시끄러운 배기를 싫어하고 튜닝을 하면서
외관이 요란스러운걸 싫어하는 개인적 취향때문에
엔진은 아이들 상태에서 순정의 그것처럼 조용합니다.
물론 배기음도 조용합니다. 개인적 취향에 따라서 배기나
흡기를 더 다듬는다면 또다른 싸운드를 만드실 수 있겠지요
현재 주행거리는 130KM 입니다. 아이들 상태에서 수시간
워밍업을 한것을 제외하고 입니다. 아직은 성공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지만 1차의 오일교환과 (오일상태를 보고 내부사정을
어느정도 가늠할 수 있습니다 ) 스캔 테스트에서 전혀 문제점은
발견할 수 없었습니다. 이제 각부품의 조립이 자리를 잡는
느낌이고 동,압판의 강력한 반발력을 별로 좋아 하지는 않지만
순정으로는 버틸수가 없어서 튜닝용 동,압판을 장착 했습니다.
1호차가 스트리트에서 그간 무사주행을 했고 이번 2호차의 경우도
스트리트 쎄팅이지만 한 가지 다른점이 있다면 서킷투입을
위한 전초전 쎄팅이란점입니다. 그로 인해서 엔진내구성에
필요한 제반조취를 모두 취했고 특히나 냉각과 윤활에 그 촛점을
맞추어서 오일쿨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수온,유온 모두
안정적입니다. 4시간 동안의 아이들 상황에서도 별다른 문제는
없었습니다. 1차 길들이기가 끝나면 맵핑을 해야겠지만
아직까지는 연료압력을 올리고 용량이 큰 인젝터로 별 무리없이
구동되는 중입니다. 이번에 쎄팅하면서 또 한가지 준비를 한것이
바로 터보와의 매칭입니다. 그를 위해서 이미 터보용 피스톤도
준비를 마친 상태고 피스톤의 교환만으로 바로 터보쎄팅을 위한
베이스엔진의 마무리도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물론 터보쎄팅에 따라서 인젝터의 교환도 이루어져야겠지요
NA 스트리트, 서킷, 터보 이 모든점에서 만족할만한 성능과
내구성이 나와준다면 4미리 베타의 완성이 이루어지는 순간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엔진다이노가 없고 작업공간이 없는 관계로
600시간 내구테스트를 한다던가 하는등의 실험을 할 수없어서
스트리트 주행으로 그 테스트를 진행해야 하는 관계로 다소 시간이
걸리고 어려움이 따르지만 적어도 수년간의 내구테스트를 거쳤을때
비로소 완성차 못지않은 튜닝카의 완성이 돼는게 아닌가 하는
조심스런 판단을 해봅니다. 성급한 결론과 성급한 판매로
고생을 하시는 튜닝매니아들의 한숨이 사라지는 그날까지
나름대로의 쎄팅법을 고수하며 정진해 보겠습니다.
4미리 오버 터보의 등장도 기대해 주시기 바랍니다.
2008.01.25 15:55:57 (*.254.112.153)

1.6 감마는 아직 데이터가 전혀 없던데..베타는 이렇게 숙성되어 가는군요.^^ 감마도 나중에 숙성될(?) 날이 있기를 바라면서.. 응원해드립니다.
2008.01.25 16:13:08 (*.133.99.7)

어제 본 양상규님의 투스카니가 순정처럼 조용한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앞으로의 활약상도 보여주시기 바라며 향후 FF 수동차로 투스카니를 생각하기에 많은 기대가 되네요.^^
2008.01.25 16:59:44 (*.193.141.132)

양상규님 매니아 가슴에 또 불을 지피시는군요^-^; 투카 구매욕구 상승OTL 두번째 4mm 베타엔진을 양상규님의 데이터로 계승 발전을 지속한다는거 상당히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베타엔진의 새로운 획을 그으시는군요.
사실 보어가 커져서 넓어진 만큼, 밸브 사이즈도 이번에 작업하시지 않을까? 잠깐 생각했었는데 oh 현실로 됐네요. 물론 무지한 제가 그런생각을 했을리는 만무하고 그 지식의 기본은 '엔진튜닝입문서'에 있었지요 아직 다보지 못하였고, 이해하기에 힘들지만 잘보고 있습니다. 4mm 다음편도 기대할께요^^
사실 보어가 커져서 넓어진 만큼, 밸브 사이즈도 이번에 작업하시지 않을까? 잠깐 생각했었는데 oh 현실로 됐네요. 물론 무지한 제가 그런생각을 했을리는 만무하고 그 지식의 기본은 '엔진튜닝입문서'에 있었지요 아직 다보지 못하였고, 이해하기에 힘들지만 잘보고 있습니다. 4mm 다음편도 기대할께요^^
2008.01.25 17:27:57 (*.241.196.36)

아직 초보인 제 느낌에도 양상규님의 글을 접하면 진정한 튜닝이 뭔가를 가슴으로 느끼게 됩니다. 항상 뿌듯한 마음이구요.
엑스디안 회원이기에 김승환군을 통해서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베타엔진 튜닝 계획을 듣고 기회가 된다면 제차에도 꼭 한번 그 엔진을 올려보고 싶은 심정입니다. 계획대로 잘 진행되시길 바랍니다.^^
엑스디안 회원이기에 김승환군을 통해서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베타엔진 튜닝 계획을 듣고 기회가 된다면 제차에도 꼭 한번 그 엔진을 올려보고 싶은 심정입니다. 계획대로 잘 진행되시길 바랍니다.^^
2008.01.25 18:01:02 (*.123.157.2)

철저한 준비와 인내를 통해 얻은 성공 축하드립니다...
2년간 뷰롱이를 더간직하기로 맘먹고, 이번에 싹~~점검할려고 준비중입니다...ㅋㅋ
다시한번 축카드려요...
2년간 뷰롱이를 더간직하기로 맘먹고, 이번에 싹~~점검할려고 준비중입니다...ㅋㅋ
다시한번 축카드려요...
2008.01.25 19:26:13 (*.179.231.24)

혼다의 B,K엔진이 부럽지 않으실거 같습니다.. 정말 그 열정이 대단하시네요.
후기도 기대하겠습니다.^^ 행운을 빕니다.~
후기도 기대하겠습니다.^^ 행운을 빕니다.~
2008.01.26 00:58:46 (*.254.2.36)

글 읽는 내내..가슴이 두근두근 거립니다..^^
존경과 응원의 박스 보내드립니다.^^ 앞으로도 소식 많이 전해 주십시오.
존경과 응원의 박스 보내드립니다.^^ 앞으로도 소식 많이 전해 주십시오.
2008.01.26 05:27:33 (*.235.40.248)

성능체감은 상규님이 하셨으니 두 말 잔소리일테고..
언제 어디서든 수급이 용이한 내수 파트로
이루어 졌다는게 상당한 메리트네요 ~
언제 어디서든 수급이 용이한 내수 파트로
이루어 졌다는게 상당한 메리트네요 ~
2008.01.26 07:52:57 (*.216.41.172)

우와 엄청 기대됩니다.. d=(^^)
순정과 같은 외관과 사운드 + 고성능이라는 두마리 토끼 항상 잡고 싶었던 건데..
거기다 양산(성함과 비슷한 ㅋㅋ)부품으로 유지가 가능하다니 금상첨화네요..
순정과 같은 외관과 사운드 + 고성능이라는 두마리 토끼 항상 잡고 싶었던 건데..
거기다 양산(성함과 비슷한 ㅋㅋ)부품으로 유지가 가능하다니 금상첨화네요..
2008.01.26 09:21:19 (*.101.241.188)

정말 하나하나 대단한 열정과 정성으로 만들어졌음이 글만봐도 전해져오네요.
테드엔 멋지신분들이 참 많은데...
양상규님도 참 멋지신분 같습니다. ^-^
테드엔 멋지신분들이 참 많은데...
양상규님도 참 멋지신분 같습니다. ^-^
2008.01.26 10:48:51 (*.220.59.56)
블럭 사진이 감히 바이크 블럭 만큼이나 좁은게 포스가 좔좔 흐릅니다.. 참 멋있군요..
얼마 전 까지도 불가능하다던 2200cc에 근접한 베타는 어떤 느낌일지?
정말 궁금합니다. 컨로드와 피스톤은 구체적으로 어떤제품으로 하셨는지요?
얼마 전 까지도 불가능하다던 2200cc에 근접한 베타는 어떤 느낌일지?
정말 궁금합니다. 컨로드와 피스톤은 구체적으로 어떤제품으로 하셨는지요?
2008.01.26 21:42:27 (*.62.84.78)

gn 코팅링 ??.. 경유차 에들어가는거 아닌가요...?... 열적인 면과 고회전면에선 링의 내구성이 약한걸로 아는데.. 흠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 충격파장 같은것엔 강하지요 굿이 gn 링으로 가신이유는?? 로스가 gn 코팅이라서 ??? 흠 궁금하군요 ^^ 피스톤 열가에 마추어 링이 셋팅돼어지는데... 경험하지 못했기에 ...굿이 gn 링을 가신이유가 궁금하네요 ^^
2008.01.27 07:03:10 (*.251.76.82)

성빈님 gn 코팅링을 쓴 이유는 최근의 gn 링들은 기존의 링들보다
상당히 넓습니다. 다시 말하면 예전의 링에 비해서 열발산의 문제를
어느정도 해결했다는 얘기지요 동일 스트록 내에서 보어의 확대는
압축비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어느정도 노킹의 소지를 안고 있지요
머 이런저런 이유로 쓰게 됐습니다. 그리고 라이너가 디젤용이거든요
총 4개의 엔진부품을 조합가공해서 만든 엔진이라서 그리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사용한 피스톤이 스컷트부가 상당히 짧습니다.
말씀하신 고회전 부분도 6500 rpm 에서도 토크의 하락이 거의 없죠
총상적인 na 엔진의 최대토크 수치가 6500 영역에서도 유지됩니다.
머 세세히 들어가면 좀 설명이 길어져서 ^^;;
상당히 넓습니다. 다시 말하면 예전의 링에 비해서 열발산의 문제를
어느정도 해결했다는 얘기지요 동일 스트록 내에서 보어의 확대는
압축비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어느정도 노킹의 소지를 안고 있지요
머 이런저런 이유로 쓰게 됐습니다. 그리고 라이너가 디젤용이거든요
총 4개의 엔진부품을 조합가공해서 만든 엔진이라서 그리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사용한 피스톤이 스컷트부가 상당히 짧습니다.
말씀하신 고회전 부분도 6500 rpm 에서도 토크의 하락이 거의 없죠
총상적인 na 엔진의 최대토크 수치가 6500 영역에서도 유지됩니다.
머 세세히 들어가면 좀 설명이 길어져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