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3의 하부사진. 촘촘한 언더커버들








이것이 히터익스체인져라고 합니다 .배기관을 수직으로 돌아나가는 공기구조입니다.


공기정화필터, 에어컨필터, 폴른필터라고 부르는 녀석이며 두개가 들어갑니다.


비스커스 방식의 부분입니다. Viscous clutch라고 부릅니다.


전륜디퍼렌셜입니다. 굉장히 작고 가볍습니다.


공랭식 포르쉐는 어찌보면 시대와 맞지 않는 차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 구조는 현대의 차량들과 너무나 다릅니다.
그 차별성이 개성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일반 오너들에게는 관리의 어려움으로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특히 일반 미케닉들은 차를 보는 순간 공황상태가 되기 일수입니다.
오너가 하나하나 모든 지시를 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그 매력은 모든 것들을 보상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도 몇가지 궁금증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다시금 말씀드리지만 제가 정리하는 내용들은 해답이 아닙니다.
한 오너로서 그 동안 느끼고, 공부하고, 경험한 것 들을 토대로 느낌만을 전달해 드리고자 함임을 알아 주십시오.

1. 공랭식 차들은 엔진오일이 안새는 차가 없다.

정답은 틀린 얘기입니다.
많은 차들이 가령으로 인해서 개스킷이 노화되고 고압축비의 압력으로 누유를 보이는 경우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일정기간 메인터넌스 주기를 따른 다면 누유는 없습니다.
엔진오일량이 많고 다양한 부분으로 오일이 순환하는 동시에 수많은 개스킷 들로 인해서 샐 공간이 많다는 것입니다.
또한 개스킷의 문제로 오일이 새는 현상이 있다고 해도 간단한 작업으로 누유를 막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엔진을 내려야 작업이 가능한 개스킷이나 오일실이 다수 존재합니다. 고로 어느 정도의 누유는 엔진작업시 몰아서 해줘야 합니다.
하지만 언더 커버가 전체 하체를 덮고 있기 때문에 오일 누유가 바닥에 비치는 경우도 적고, 오일 누유가 조금 있다고 하더라도 성능의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구조적 단점으로 또하나 꼽을 수 있는 것은 밸브커버가 내열성 플라스틱이라는 점 때문에 연식이 지날수록 열변형이 조금 생기면서 누유가 가능합니다.
대부분의 서적들에서는 아래와 같은 표현을 남깁니다.
When it comes to leaks, don't get over-enthusiastic in the search for a bone-dry engine. A little oil sweat is no problem to live with. It's only when the oil is dripping that rectification may become necessory.
Oil leaks by themselves do not  cause the engine to run badly.


2. 신형에 비해 출력이 떨어진다?

당연히 떨어집니다.
993 까레라는 272마력, 후기형은 285마력입니다.
하지만 RS모델은 300마력, 터보는 408마력, GT2는 430마력입니다.
신형 997들이 까레라부터 355마력을 발휘하는 것에 비해서는 굉장히 보잘 것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출력의 부족함을 경험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기어비들이 좋고, 출력을 고스란히 노면에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993 터보의 경우는 절대 출력의 부족을 느끼지 않습니다.
E55 AMG나 기타 996, 997과도 별반 달리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더 빠르다고 느낄 때도 많으니까요.
993 터보의 0-100은 4.3-4.5초 사이로 훌륭합니다.


3. 물이 없는데 히터가 어떻게 작동하죠?

공랭식 포르쉐의 공조구조는 굉장히 독특합니다.
수냉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엔진의 버려지는 열을 다른 방식으로 이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뜨거운 물이 실내를 돌면서 히터코어라는 발산장치로 히팅을 하죠.
하지만 공랭식 포르쉐는 배기의 시스템의 열을 이용해서 실내를 덥힙니다.
히터 익스체인져라는 구조물에 의하는데 배기관의 일부를 챔버로 구성시키고 그곳의 공기를 실내로 보내는 방식을 이용합니다.
사실 구조적으로는 더 복잡할 것같지만 굉장히 심플하고 효율적입니다.
실내전면부로 향하는 곳에는 두 개의 히터모터가 존재하여 실외의 공기와 히터 익스체인져의 공기를 당겨주며, 엔진윗부분에 존재하는 또다른 팬모터로 하여금 뒷부분에서부터 멀리까지 공기를 밀어줍니다.
장점이라면 히터 코어가 터져 실내를 모조리 들어내야할 불편이 없다는 점입니다.
단점이라면 배기 시스템의 실리콘 밴드들이나 구조가 상할 경우, 배기 스틸의 노화가 있을 경우 fume이 실내로 들어올 수 있다는 점입니다.


4. 공랭포르쉐는 다 2륜인가요?

공랭식 포르쉐중에 964 모델들은 까레라와 터보모델 모두 RR방식을 채용하였습니다. 물론 까레라4는 사륜입니다.
993부터는 터보모델과 4, 4S모델이 4륜을 채택하였으며 아직까지 이러한 라인이 연결되고 있습니다.
포르쉐의  사륜은 어찌보면 사륜이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력의 아주 미세한 힘만을 전륜으로 보내기 때문이며 보조적이 장치로의 역할을 합니다.
물론 그 역할을 무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주행상황에서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차의 뒷부분에서 앞으로 힘이 전달되는 방식은 비스커스 방식으로 실리콘의 점도변화에 의한 전달을 이용합니다.
전륜부의 드라이브 샤프트 두께를 보면 잘 이해하게 됩니다.
손가락 두께밖에 안될 정도로 얇습니다.


5. 엔진음과 배기음이 특이하다!

공랭식 포르쉐의 매력으로 꼽히는 것이 특이한 배기음입니다.
개인간의 편차에 따라 희오가 달라집니다만 사실 그렇게 좋은 소리가 아니라 할  수도 있습니다.
한마디로 개성적이죠.
한번 들어보면 이게 공랭의 소리구나 하면서 기억하게 될 정도니까요.
이유인 즉은 수냉식 재킷이 없기 때문입니다. 즉 마치 바이크엔진과 같다고 할까요?
폭발음이 고르게 전달되고, 다수의 냉각핀들이 소리를 조장한다고 합니다.
거기에 고압축비의 엔진과 수평대향엔진 특성까지 섞어 개성을 만들어 낸다고 합니다.
사실 터보모델보다는 까레라들이 훨씬 공랭식 소리 답습니다.
당연히 배기음의 저항이 터빈에 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 이유로 유럽과 북미 오너들은 누구나 바이패스 등의 시스템과 에프터마킷 배기에 관심이 많습니다.

다음 글에는 드라이섬프방식에 대한 설명을 할까합니다.

to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