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로터 떨림현상에 대한 이해로 괜찮은 내용인거 같아서 퍼왔습니다^^
다음은 STOPTECH의 기술상담역인 Carroll Smith가 발표한 글입니다.
-로터의 떨림에 대한 잘못된 진단-
수십년간 로터의 휘어짐 현상은 모터 레이싱에서는 일상사가 되었다. 드라이버가 과격한 브레이킹시에 로터가 떨린다고 호소하면 경험이 없는 미캐닉은 우선 로터를 살펴본 뒤 크렉을 확인하고서는 이 것이 원인일 것이라고 단정을 하게된다. 좀더 세심한 사람은 로터의 두께를 측정해보고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게 되면 자기의 진단을 확신하게 된다.
하이퍼포먼스 차량에서도 마찬가지의 증상과 진단 결과를 듣게 된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디스크 표면을 연마한 후 재 장착하여도 금새 동일한 증세를 호소하는 소리를 듣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규 출고 차량의 순정 로터에서도 이런 문제가 적지 않게 발생하여 미국에서는 "Lemon법" 이란 것이 제정되어 모두 리콜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상태로 수십년간 지속되었지만 이 진단과 처방은 잘못된 것이다.
40십년 동안 자격있는 전문작업자로 하여금 허브와 휠 플랜지가 이상이 없는 차량에 정상적인 휠 볼트로 해트 마운트를 올바른 순서와 방법으로, 즉 규정된 동일한 토크로 체결하지만 나는 아직까지 로터가 휘어진 것을 본적이 단 한번도 없다. 그대신 금이 간 로터는 본적이 많으며 패드의 분진인 고르지 않게 로터의 표면에 때로는 눈으로도 보이게 때로는 안보이게 퇴적 점착되어 있는 것은 수없이 보아 왔다.
레이싱카든 스트리트카이든 로터의 휨을 호소하는 케이스를 조사해보면 사실 모두가 패드의 마찰재의 분진이 로터의 표면에 불규칙하게 점착된 것이 원인이었다. 이 불규칙한 점착물은 로터의 두께 차이 및 런아웃의 원인이 되는데 이는 과격한 사용으로 로터 표면 온도가 크게 상승된 상태에서 패드 소재의 분진이 스팟 용접된 것과 마찬가지로 로터 표면에 퇴적되어 굳어진 것이다.
패드와 로터의 마찰면 온도가 패드의 내열온도 한계를 벗어나게되면 급속하게 패드의 접착제와 마찰제가 마모되어 분진이 흩어지게 된다. 이 분진들이 불규칙하게 로터표면에 퇴적된 상태에서 온도가 더 올라가게 되면 스팟 용접을 한 것과 같이 굳어져 달라붙게된다. 그 후 다시 온도가 650 – 700도 가까이 올라가면 퇴적 점착된 분진이 다시 녹아서 새로운 분진과 결합되어 또 다른 모양을 형성하면서 점점더 불규칙한 표면을 만들면서 떨림 증상을 불러오게 된다.
대부분의 패드는 내열온도 표시가 있으며 예를들어 EBC 패드의 경우 블랙은 400도 그린은 550도 레드는 650도이며 옐로우와 블루는 900 도이다. 어느 브랜드 제품이든 등급에 따라서 각기 내열온도가 다르므로 자기의 운전스타일이나 운전환경에 적합한 패드의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만약 내열온도가 높은 패드로 교체하지 않고 과격하게 브레이킹을 계속하면 사용 기간에 관계없이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급제동시 브레이크 표면 온도는 속도의 제곱 그리고 차량에 총중량에 비례하여 높아지므로 차체가 무거운 승합차량 같은 경우는 패드의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이 경우 패드를 올바른 제품으로 교체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로터를 교체하거나 표면 재연마하더라도 곧바로 동일한 증상이 재발하는 것은 당연하다.
예방책은 오직 한가지 새로운 패드와 로터를 장착할 경우 적절한 길들이기를 할 것과 각자 자기의 운전스타일이나 환경에 적합한 패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초기에 증상을 감지한 경우에는 나름대로 치유할 방법도 있다.
출처 튜닝앤 코리아
다음은 STOPTECH의 기술상담역인 Carroll Smith가 발표한 글입니다.
-로터의 떨림에 대한 잘못된 진단-
수십년간 로터의 휘어짐 현상은 모터 레이싱에서는 일상사가 되었다. 드라이버가 과격한 브레이킹시에 로터가 떨린다고 호소하면 경험이 없는 미캐닉은 우선 로터를 살펴본 뒤 크렉을 확인하고서는 이 것이 원인일 것이라고 단정을 하게된다. 좀더 세심한 사람은 로터의 두께를 측정해보고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게 되면 자기의 진단을 확신하게 된다.
하이퍼포먼스 차량에서도 마찬가지의 증상과 진단 결과를 듣게 된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디스크 표면을 연마한 후 재 장착하여도 금새 동일한 증세를 호소하는 소리를 듣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규 출고 차량의 순정 로터에서도 이런 문제가 적지 않게 발생하여 미국에서는 "Lemon법" 이란 것이 제정되어 모두 리콜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상태로 수십년간 지속되었지만 이 진단과 처방은 잘못된 것이다.
40십년 동안 자격있는 전문작업자로 하여금 허브와 휠 플랜지가 이상이 없는 차량에 정상적인 휠 볼트로 해트 마운트를 올바른 순서와 방법으로, 즉 규정된 동일한 토크로 체결하지만 나는 아직까지 로터가 휘어진 것을 본적이 단 한번도 없다. 그대신 금이 간 로터는 본적이 많으며 패드의 분진인 고르지 않게 로터의 표면에 때로는 눈으로도 보이게 때로는 안보이게 퇴적 점착되어 있는 것은 수없이 보아 왔다.
레이싱카든 스트리트카이든 로터의 휨을 호소하는 케이스를 조사해보면 사실 모두가 패드의 마찰재의 분진이 로터의 표면에 불규칙하게 점착된 것이 원인이었다. 이 불규칙한 점착물은 로터의 두께 차이 및 런아웃의 원인이 되는데 이는 과격한 사용으로 로터 표면 온도가 크게 상승된 상태에서 패드 소재의 분진이 스팟 용접된 것과 마찬가지로 로터 표면에 퇴적되어 굳어진 것이다.
패드와 로터의 마찰면 온도가 패드의 내열온도 한계를 벗어나게되면 급속하게 패드의 접착제와 마찰제가 마모되어 분진이 흩어지게 된다. 이 분진들이 불규칙하게 로터표면에 퇴적된 상태에서 온도가 더 올라가게 되면 스팟 용접을 한 것과 같이 굳어져 달라붙게된다. 그 후 다시 온도가 650 – 700도 가까이 올라가면 퇴적 점착된 분진이 다시 녹아서 새로운 분진과 결합되어 또 다른 모양을 형성하면서 점점더 불규칙한 표면을 만들면서 떨림 증상을 불러오게 된다.
대부분의 패드는 내열온도 표시가 있으며 예를들어 EBC 패드의 경우 블랙은 400도 그린은 550도 레드는 650도이며 옐로우와 블루는 900 도이다. 어느 브랜드 제품이든 등급에 따라서 각기 내열온도가 다르므로 자기의 운전스타일이나 운전환경에 적합한 패드의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만약 내열온도가 높은 패드로 교체하지 않고 과격하게 브레이킹을 계속하면 사용 기간에 관계없이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 급제동시 브레이크 표면 온도는 속도의 제곱 그리고 차량에 총중량에 비례하여 높아지므로 차체가 무거운 승합차량 같은 경우는 패드의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 이 경우 패드를 올바른 제품으로 교체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로터를 교체하거나 표면 재연마하더라도 곧바로 동일한 증상이 재발하는 것은 당연하다.
예방책은 오직 한가지 새로운 패드와 로터를 장착할 경우 적절한 길들이기를 할 것과 각자 자기의 운전스타일이나 환경에 적합한 패드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초기에 증상을 감지한 경우에는 나름대로 치유할 방법도 있다.
출처 튜닝앤 코리아
2008.02.05 09:34:41 (*.94.1.37)
제가 개인적으로 로터가 떨면 하는 방법들이 사실 로터를 갈아내기보단 로터분진을 갈아내는 역할은 한것이군요..... 로터의 변형으로 떨림이 느껴진다면.... 그때부터 고속도로나 유료도로등을 다닐때 약간 갈아낸다는 느낌으로 천천히 그리고 균일한 압력으로 브레이크를 오래 밟아줬었는데요..(제동거리도 당연히 엄청 늘어나구요..) 저러한 이유때문에 도움이 된것같기도 하네요..
2008.02.05 11:42:58 (*.126.228.246)

레이싱카를 제외한 일반 차량에서 분진이 로터에 앉을수있는차가 몇대나 될런지...
생각이 듭니다....적절하지못한 패드의선택에의한 로터 과열로인한 로터휨이
더 현실적인듯하네요..
생각이 듭니다....적절하지못한 패드의선택에의한 로터 과열로인한 로터휨이
더 현실적인듯하네요..
2008.02.05 11:45:15 (*.193.141.132)

얼마전 Q/A란 질문에 양상규님께 조언받은 내용 인데요^^*
"로터와 패드의 마찰력은 가장 큰 변수입니다. 패드의 소재에 따라서 로터가 바뀌어야 하는게 정답인것 같은데요 브레이크 다이노 에서도 가장 중요한건 마찰력을 구분짓는 변수로 패드를 생각하죠"
사실 시스템을 먼저 생각하고 브레이크 구성을 생각하니 2포트니 4포트니 사이즈가 큰 로터니 좋은건 알겠는데 기준이 안 생기더라구요. 캘리퍼는 큰 사이즈에 밸런스가 흐뜨러지지 않는 경량이면 좋다 정도로만 이해를 했는데 패드의 내열온도의 기준이 생기니까 실직적인 제동력에 대한 기준이 생기고, 브레이크 시스템을 이해하는데는 도움이 많이되는거 같습니다.
"로터와 패드의 마찰력은 가장 큰 변수입니다. 패드의 소재에 따라서 로터가 바뀌어야 하는게 정답인것 같은데요 브레이크 다이노 에서도 가장 중요한건 마찰력을 구분짓는 변수로 패드를 생각하죠"
사실 시스템을 먼저 생각하고 브레이크 구성을 생각하니 2포트니 4포트니 사이즈가 큰 로터니 좋은건 알겠는데 기준이 안 생기더라구요. 캘리퍼는 큰 사이즈에 밸런스가 흐뜨러지지 않는 경량이면 좋다 정도로만 이해를 했는데 패드의 내열온도의 기준이 생기니까 실직적인 제동력에 대한 기준이 생기고, 브레이크 시스템을 이해하는데는 도움이 많이되는거 같습니다.
2008.02.05 11:56:05 (*.223.213.37)

패드, 로터를 어떤 조합으로 쓰든지 간에 길들이기가 참으로 중요한 듯 싶습니다. 최소한 일년에 패드 4,5벌 로터 3,4벌씩은 써댔는데 길들이기를 하고 탈때와 그렇지 않을때의 필링, 사용기간은 엄청난 차이가 있었습니다. 뭐 순정 로터에 공격성이 강한 메탈 패드를 낑구면 답이 안나오긴 했네요^^
2008.02.05 12:34:06 (*.251.76.82)

튜닝앤코리아에서 발췌 하셨군요 남규탁 사장님은 박식한
분이시죠 한 때 제가 근무했던 곳입니다.
부단히 공부하시고 노력하시는 분이시죠 좋은글 감사합니다.
분이시죠 한 때 제가 근무했던 곳입니다.
부단히 공부하시고 노력하시는 분이시죠 좋은글 감사합니다.
2008.02.05 13:10:39 (*.110.156.82)
그렇다면 이미 핸들 떨림이 시작된 상태에서 패드만 바꾸어도 된다는 말인가요? 아니면 로터도 분진이 융창되지 않은 새로운 로터로 갈아야 한다는 말인가요?
2008.02.05 13:50:38 (*.193.141.132)

김태경님 김영민님 조규봉님 저속에서도 약한진동이 오는경우에 로터가 휘어있는 경우이고, 저속은 괜찮은데 고속에서 좌우로 핸들이 떠는증상이면 로터와 패드의 성능이 열에대해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거같습니다. 일반적인 주행조건이라면 디스크만 연마하고 패드만 업그래이드해도 괜찮지만 조규봉님 프라이드 터보 같은경우에는 패드의 선택도 중요하지만 로터의 방열성도 고려해야될거 같습니다.
2008.02.05 14:02:03 (*.110.156.82)
그렇군요. 차가 열만 받으면 로터가 휘는 거 같은데 냉간시에는 또 전혀 문제가 없어서 저도 좀 헤깔리고 있었습니다. 얼른 냉각덕트를 달아야 할듯....
2008.02.05 18:05:40 (*.161.149.70)

제 경우에도 순정 브레이크 패드로 과격한 와인딩을 하거나 하면 로터 떨림 현상이 생기곤 했습니다. 용도에 맞는 브레이크 패드만 잘 선택해서 사용해도 로터 떨림은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008.02.05 18:27:31 (*.229.116.62)

좋은자료입니다.
그런데.. 결국은 로터의 휨이건, 분진유착이건..저더가 심해지면, 둘 다~ 로터와 패드를 교환해야 하는거네요.^^
그런데.. 결국은 로터의 휨이건, 분진유착이건..저더가 심해지면, 둘 다~ 로터와 패드를 교환해야 하는거네요.^^
2008.02.05 20:45:11 (*.193.141.132)

저더현상은 쏘랜토 뿐만아니라 대부분의 차들이 격고있는 현상인거 같구요. 원인으로 패드가 불량이라기 보다는 내구성을 지향하는 순정패드의 내열한계가 낮은거 같습니다. 그리고, 또다른 이유는 잘못된 브레이크 사용도 있겠네요^^;
2008.02.05 22:54:16 (*.251.76.82)

정민님 말씀처럼 저더의 가장 많은 원인은 패드의 배합성분에
기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국내기업의 로터 생산수준은
구제 메이저급 회사에서 쌍수들고 환영할 정도의 수준에
도달해 있습니다만 실상 로토에서 문제라면 소재의 문제일것입니다.
아직까지는 인맥,연줄드으로 얽혀서 그다지 퀄리티 안나오는
소재를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하는 가공업체들의 애환도
있구요 순정패드던 튜닝패드던 국내제품의 퀄리티는 아직은 좀
떨어지는게 사실입니다. 순정로터의 저더현상 원인규명을 해본
바로는 패드에 의한 현상이 압도적이었습니다.
기인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국내기업의 로터 생산수준은
구제 메이저급 회사에서 쌍수들고 환영할 정도의 수준에
도달해 있습니다만 실상 로토에서 문제라면 소재의 문제일것입니다.
아직까지는 인맥,연줄드으로 얽혀서 그다지 퀄리티 안나오는
소재를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하는 가공업체들의 애환도
있구요 순정패드던 튜닝패드던 국내제품의 퀄리티는 아직은 좀
떨어지는게 사실입니다. 순정로터의 저더현상 원인규명을 해본
바로는 패드에 의한 현상이 압도적이었습니다.
집의 차도 삼진의 보급형(?)을 쓰고 있는데.. 교체를 생각해 보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