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제가 내년 3~4월쯤 프랑스로 가려 합니다.
유학이라 대략 5~6년 정도 있다가 오려 하는데요.
간김에 어머니차와 제차 두대를 사올까 하는데..
차량 한대는 1.0~2.5 사이의 디젤차량이 될 듯 하구요. (골프 gtd 비엠 320d 아니면 푸조 308등 어머니께서 편하고 안전하게 타실만한 차량으로..)
나머지 한대는 좀 무리해서 임프레자 중고를 가져오려 합니다.
검색을 해 보니 차량 두대를 들여오려면 5년의 중간기간이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요
지금 나이는 27세구요.
중간에 잠시 들어올때 차량 한대를 가지고 오고 나머지는 후일 중고로 구입해서 들여오려 하는데 가능할까요?
그리고 한국에 들여오면 그레이로 들여온 것 과 같은꼴인데.. 서비스는 어떨지 궁금합니다. 국내는 무조건 풀옵이라 가격도 가격이고 저야 뭐 딱 안전장비만 있으면 되거든요 에어백에 abs에.. 굳이 선루프니 그런건 필요가..^^;
그리고 메뉴창을 한글로 변경하려면 따로 서비스센터에 가서 업데이트를 받으면 될런지.. 궁금합니다. 프랑스에서 구입하다보니 부모님께서 영어는 하시는데 불어는 잘 모르셔서요;
1. 두대의 차량을 시간차를 들여서 수입이 가능한지(개인적인 수입)
2. 들여와서의 서비스는 어떨지(2~3년 사이의 주행거리 짧은 신차래도 월드워런티 같은게 적용 되는지요
3. 네비등의 메뉴를 한글화가 가능한지.. 그렇지 않다면 차라리 정보표시창이 없는 차량을 구입후 네비를 따로 장착하는 것이 나은지요
4. 유럽산 디젤차는 한국 검사 통과가 가능할 것 같은데 임프같은 차는 가솔린터보차인지라 통과시 검사가 될런지요. 구입한다면 2013~14년식이 될 듯 합니다. 더 이후연식도 될 것 같구요.
그런가요? 그쪽에서는 어떤차들이 있는지 잘 몰라서요^^ 아무래도 제가 타려면 알아서 관리하면서 탈텐데 어머니 타실 차량은 한국에서 서비스 받기 쉬운차가 좋을 듯 해서요.
수입차는 처음인데.. 혹시 위의 차량들을 몇년후 중고 구입해도 무리가 없을까요?
수입차들도 보증기간 끝나면서부터 자잘한 문제들이 많다고 들어서요..
bmw는 자체 중고매장을 운영하고 하는데 그쪽을 통해 구입해도 보증들을 해주나요?

1. 이사짐 반입으로 계속 가져오실 수 있습니다. (5년이란 소리는 처음 듣습니다... 저는 2년반 동안에 이사짐으로 두대 가져왔습니다)
2. 월드워런티가 되는 차량이면 가능합니다.
3. 국내에서 내비게이션 이식이 가능합니다.
4. 이사짐이기 때문에 차량 소음이나 배기가스 같은 검사 따위는 없습니다.. 단지 신규검사 뿐입니다..
저도 유럽에 1년 정도 체류했던 적이 있어서 차량 구매를 진지하게 알아봤는데...
한국 판매가격이 훨씬 싸더군요(같은 옵션 기준으로 했을때)
지금은 한-EU FTA 체결로 국내 구입이 더더 저렴하리라 봅니다.
란치아나 알파로메오 같은 차종은 국내에서 구입이 어려우니 메리트가 있겠습니다만...

1. 수입이야 가능하겠지만 윗분들 말씀대로 유로화가 비싸서 한국이 더 저렴하고 서비스 기간이 더 긴 경우도 있습니다.
2. 저는 독일이라 프랑스와는 다르겠지만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전제하에 게런티는 2년 또는 3년 입니다. 한국차의 경우엔 현대 5년, 기아 7년인데 이곳에선 무척 파격적인 조건이라 비교 시승기에서 항상 이부분에서 크게 점수를 따고 들어갑니다. 따라서 워런티는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수리비가 많이 비싸겠죠?
독일에서 차를 구입하면서 느낀건데요....대체적으로 차는 미국이 제일 싸지만 유럽브랜드 중저가 모델들은 한국에서 구입하는것도 유럽에서 구입하는것에 비해 그리 손해는 아닙니다 (골프는 한국이 더 쌉니다 ㅜㅜ). 프랑스에서 5년간은 저렴한 중고 구입하셔서 대충 타시구요, 돈을 좀 모아서 돌아오신후에 한국에서 신차로 구입하시는게 나을것 같습니다.

방금 후배가....미국에서 08년식 09년 등록 s2000을 이삿짐으로 들여왔는데....세관에서 내야할 세금이 천만원이라는 카톡이 왔네요. ㅋ
골프 GTD, 320d, 푸조 308 이런 차량들은 국내에서 사는게 더 쌉니다. (중고면 더욱 더)
직수입의 메리트가 전혀 없는 차종들이죠.
그냥 유학 생활 하시고 들어오실때 임프레자만 한대 들여오시면 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