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http://blog.paran.com/compaqmania/21907930제 블로그에서 퍼와서 말투가 좀... 그렇습니다. 양해 부탁드리구요.
Q&A의 이준영님께서 올리신 글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여주시는듯 해서...
소개하는 셈 치고 올립니다.
(참고로, 이 사용기를 모 카메라 사이트에 올렸더니... 며칠만에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대박치고... 얼마있지않아서 자동차용품 판매 사이트들에도 이 제품이 올라오더군요. --;;;)
아래부터 내용입니다.
====================================================================================
자동차 관리를 꼼꼼하게 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타이어 공기압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잘 알 것이다.
내 차 안에, 내가 탄 채로... 유일하게 도로와 접촉하는 부분인 타이어.
그 타이어의 공기압 관리가 잘못 된 채로 운행하다가, 승차감이 나빠진다거나, 차량 쏠림이 있다거나, 타이어의 편마모가 생긴다거나...
심지어는 펑크로 인하여 매우 큰 사고 또한 유발할 수가 있다.
그래서...
수시로 공기압을 체크하고 조정하는 편이다.
그런데...
실상 일반 카센타에서 공기 집어넣어주는 그 장치도, 정확한 공기압을 맞추지는 못할 뿐더러, 오차가 생각보다 꽤나 크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따로 공기압 게이지를 마련해서 체크를 하기도 하는데...
나는 모 사의 아날로그 게이지를 하나 장만해서 아주 잘 쓰고 있다.
측정값이 정확하냐고???
Hella에서 나온 게이지와, 벤츠 순정품으로 나온 게이지... 등등 수 개의 게이지와 같이 비교 실험을 해 보았다.
결론은... 내 게이지도 꽤나 정확하다는거...
공기압 보충(또는 빼기)은 엥간한 카센타에 가서 말만 잘 하면 공짜로 해 주신다.
고속도로를 주행하다가도, 휴게소의 정비소에 가면 무상으로 체크할 수 있다.
그러나... 적쟎이 눈치가 보이는게 사실이다...
해서... 마련했던게 이것이다...

일반 자전거 타이어에 공기 넣는 것과 비슷하게 생겼다. --;;;
인디르나(내가 대표시삽으로 있는 자동차 동호회)의 모 회원(부산의 유명한 모 팀의 멤버이기도 하다.)의 적극 추천으로 모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입했다.
(추천해주며 함께 보내준 그 사진... 아직도 잊을 수가 없다. ^^; 직접 마트에 가서 이 제품을 들고는 씨익~ 웃던... ^^;)
자전거 타이어에 공기 넣는 것과 비슷하게 생겼다 해서 절대 무시할게 못된다.
이녀석... 생각보다 굉장히 바람이 잘 들어간다.
힘도 생각보다 적게 들면서...
게다가...

그렇다... 순정(? ^^;)으로 공기압 게이지도 달려있다.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하는 PSI 단위로... (아... 제발... PSI가 아니라 lb/in^2 아니냐고는 하지 말아달라!)
내가 가지고 있는 아날로그 게이지와 비교를 해 봤다.
뜻밖에도... 꽤나 근접한 수치를 보여준다.
(하지만 최종 측정은 아날로그 게이지로 항상 했다.)
그렇지만...
자동차 옆에 서서 허리를 굽혔다 폈다 하며...
상상해보라. 정말... 땀난다... --;;;
(특히나 여름철엔 정말... ㅡ..ㅡ;;;;;;;)
그러던 중, 뜻하지 않게 득템을 하게 되었다.
사실은...
모 쇼핑몰의 할인 쿠폰이 생겼는데... 그 쿠폰이란 녀석이, 일정 기간동안만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 기간이 다 되도록, 혹시나 뭐 필요한게 있으면 이걸로 사리라~ 했는데...
긴축 재정상... 살 만한 것이 없었다. --;
그래서... 쿠폰 날짜 다 되던 마지막날... 아쉬운 마음에 이것저것 자동차 용품들을 뒤지던 중...
정겨운 비벤덤 아저씨가 보이더군...
허허... 미쉐린이??? 웬???

시거잭 전원을 이용해서 타이어에 공기를 넣을 수 있는 펌프다.
뒷면을 보니... 역시 마데산이다. ㅡ.ㅡ;;;

그래도, 매뉴얼도 꽤나 꼼꼼하게 있어주신다. ^^;

그리고... 미쉐린 태그까지 붙어있는 촉감좋은 파우치까지!!!

실상은 이렇다.
표면에... 약간의 스크래치가 있은 채 배송이 되었다.
그러나... 그냥... 참고 쓰기로 했다. --;;;

뒷면에는 각종 노즐을 꼽아줄 두 있는 곳도 마련되어 있고...
전선 수납도 이렇게 해 둘 수 있어 깔끔하다.

각종 선들을 모두 빼어보면 이렇다.
웹상에서 설명되었던 시거잭 코드 길이가 짧아서 무척 걱정을 했는데, 막상 꺼내어 보니...
엥간한 승용차는 아무런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할 듯 하다.
SUV들은, 뒷쪽에 Power Outlet이 있으니 또한 무리가 없을 듯 하다.

전원이 들어오면 저 액정에 숫자가 들어온다.

+/-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공기압을 설정해 줄 수 있다.
R버튼을 누르면 각종 공기압 단위가 토글된다. (호오~!)
공기압을 설정하고 아래 버튼을 누르면 공기가 주입된다.
꽤나 요란한 소리를 내며... ㅡ.ㅡ;;;;;;;
공기가 다 주입되고 나서, 내 아날로그 게이지와 비교를 해 보았다.
놀!랍!게!도! 매우 정확한 수치를 보여 주었다...
이제, 자전거 타이어 바람넣는 모양의 그 녀석은... 아쉽지만 집 안으로 들어왔다.
덩치도 훨씬 작은 저 녀석이 이제 내 차의 트렁크 한 구석에 자리잡고 있다. ^^;
얼마 안 되는 돈으로 이정도 물건을 얻었으니...
충분히 '득템'이 아닐까? ^^;
Q&A의 이준영님께서 올리신 글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여주시는듯 해서...
소개하는 셈 치고 올립니다.
(참고로, 이 사용기를 모 카메라 사이트에 올렸더니... 며칠만에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대박치고... 얼마있지않아서 자동차용품 판매 사이트들에도 이 제품이 올라오더군요. --;;;)
아래부터 내용입니다.
====================================================================================
자동차 관리를 꼼꼼하게 하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타이어 공기압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잘 알 것이다.
내 차 안에, 내가 탄 채로... 유일하게 도로와 접촉하는 부분인 타이어.
그 타이어의 공기압 관리가 잘못 된 채로 운행하다가, 승차감이 나빠진다거나, 차량 쏠림이 있다거나, 타이어의 편마모가 생긴다거나...
심지어는 펑크로 인하여 매우 큰 사고 또한 유발할 수가 있다.
그래서...
수시로 공기압을 체크하고 조정하는 편이다.
그런데...
실상 일반 카센타에서 공기 집어넣어주는 그 장치도, 정확한 공기압을 맞추지는 못할 뿐더러, 오차가 생각보다 꽤나 크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따로 공기압 게이지를 마련해서 체크를 하기도 하는데...
나는 모 사의 아날로그 게이지를 하나 장만해서 아주 잘 쓰고 있다.
측정값이 정확하냐고???
Hella에서 나온 게이지와, 벤츠 순정품으로 나온 게이지... 등등 수 개의 게이지와 같이 비교 실험을 해 보았다.
결론은... 내 게이지도 꽤나 정확하다는거...
공기압 보충(또는 빼기)은 엥간한 카센타에 가서 말만 잘 하면 공짜로 해 주신다.
고속도로를 주행하다가도, 휴게소의 정비소에 가면 무상으로 체크할 수 있다.
그러나... 적쟎이 눈치가 보이는게 사실이다...
해서... 마련했던게 이것이다...

일반 자전거 타이어에 공기 넣는 것과 비슷하게 생겼다. --;;;
인디르나(내가 대표시삽으로 있는 자동차 동호회)의 모 회원(부산의 유명한 모 팀의 멤버이기도 하다.)의 적극 추천으로 모 대형 할인매장에서 구입했다.
(추천해주며 함께 보내준 그 사진... 아직도 잊을 수가 없다. ^^; 직접 마트에 가서 이 제품을 들고는 씨익~ 웃던... ^^;)
자전거 타이어에 공기 넣는 것과 비슷하게 생겼다 해서 절대 무시할게 못된다.
이녀석... 생각보다 굉장히 바람이 잘 들어간다.
힘도 생각보다 적게 들면서...
게다가...

그렇다... 순정(? ^^;)으로 공기압 게이지도 달려있다.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하는 PSI 단위로... (아... 제발... PSI가 아니라 lb/in^2 아니냐고는 하지 말아달라!)
내가 가지고 있는 아날로그 게이지와 비교를 해 봤다.
뜻밖에도... 꽤나 근접한 수치를 보여준다.
(하지만 최종 측정은 아날로그 게이지로 항상 했다.)
그렇지만...
자동차 옆에 서서 허리를 굽혔다 폈다 하며...
상상해보라. 정말... 땀난다... --;;;
(특히나 여름철엔 정말... ㅡ..ㅡ;;;;;;;)
그러던 중, 뜻하지 않게 득템을 하게 되었다.
사실은...
모 쇼핑몰의 할인 쿠폰이 생겼는데... 그 쿠폰이란 녀석이, 일정 기간동안만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 기간이 다 되도록, 혹시나 뭐 필요한게 있으면 이걸로 사리라~ 했는데...
긴축 재정상... 살 만한 것이 없었다. --;
그래서... 쿠폰 날짜 다 되던 마지막날... 아쉬운 마음에 이것저것 자동차 용품들을 뒤지던 중...
정겨운 비벤덤 아저씨가 보이더군...
허허... 미쉐린이??? 웬???

시거잭 전원을 이용해서 타이어에 공기를 넣을 수 있는 펌프다.
뒷면을 보니... 역시 마데산이다. ㅡ.ㅡ;;;

그래도, 매뉴얼도 꽤나 꼼꼼하게 있어주신다. ^^;

그리고... 미쉐린 태그까지 붙어있는 촉감좋은 파우치까지!!!

실상은 이렇다.
표면에... 약간의 스크래치가 있은 채 배송이 되었다.
그러나... 그냥... 참고 쓰기로 했다. --;;;

뒷면에는 각종 노즐을 꼽아줄 두 있는 곳도 마련되어 있고...
전선 수납도 이렇게 해 둘 수 있어 깔끔하다.

각종 선들을 모두 빼어보면 이렇다.
웹상에서 설명되었던 시거잭 코드 길이가 짧아서 무척 걱정을 했는데, 막상 꺼내어 보니...
엥간한 승용차는 아무런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할 듯 하다.
SUV들은, 뒷쪽에 Power Outlet이 있으니 또한 무리가 없을 듯 하다.

전원이 들어오면 저 액정에 숫자가 들어온다.

+/-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공기압을 설정해 줄 수 있다.
R버튼을 누르면 각종 공기압 단위가 토글된다. (호오~!)
공기압을 설정하고 아래 버튼을 누르면 공기가 주입된다.
꽤나 요란한 소리를 내며... ㅡ.ㅡ;;;;;;;
공기가 다 주입되고 나서, 내 아날로그 게이지와 비교를 해 보았다.
놀!랍!게!도! 매우 정확한 수치를 보여 주었다...
이제, 자전거 타이어 바람넣는 모양의 그 녀석은... 아쉽지만 집 안으로 들어왔다.
덩치도 훨씬 작은 저 녀석이 이제 내 차의 트렁크 한 구석에 자리잡고 있다. ^^;
얼마 안 되는 돈으로 이정도 물건을 얻었으니...
충분히 '득템'이 아닐까? ^^;
2008.02.07 16:32:01 (*.120.193.214)

미쉐린에서 나온 제품인가요 ? 상당히 깔끔해보이네요~~ @_@;; 묻지마 시거잭 컴프레서를 사용해본적이 있는데 소리가 정말 죽음이더군요... 모든이의 시선을 사로잡는...
2008.02.07 17:06:04 (*.46.120.6)
사용기가 어디서 많이 본거 싶다 했더니 스르륵클럽에 올리신거 였군요..
저도 저거 구입한다 해놓고 아직도 구입 못하고 있네요...설 끝나고 주문을...^^
저도 저거 구입한다 해놓고 아직도 구입 못하고 있네요...설 끝나고 주문을...^^
2008.02.07 18:24:53 (*.39.183.235)

이 제품... 불량이 꽤 많아서 쇼핑몰들 고생 좀 시키던 제품이죠^^ 요샌 괜찮아졌나 모르겠네요~ 제품이 말썽만 안부리면 괜찮긴 합니다.
2008.02.07 18:44:22 (*.60.2.25)

명규님//
수동식펌프는 '집더하기'마트에서 팔구요. 2만원정도였던걸로 기억합니다.
자동식펌프는 G사장네에서 샀던 기억이 나네요. 대략 3만얼마정도였던가, 기억이 확실치 않네요. --;;;
수동식펌프는 '집더하기'마트에서 팔구요. 2만원정도였던걸로 기억합니다.
자동식펌프는 G사장네에서 샀던 기억이 나네요. 대략 3만얼마정도였던가, 기억이 확실치 않네요. --;;;
2008.02.07 18:45:15 (*.60.2.25)

재우님//
네, 맞습니다. 그곳 기타사용기에 올렸다가, 엄청난 쪽지를 받았지요. --;;;
ㅎㅎㅎ 그곳 제 닉이 '불휘기픈나무'입니다. ^^v
네, 맞습니다. 그곳 기타사용기에 올렸다가, 엄청난 쪽지를 받았지요. --;;;
ㅎㅎㅎ 그곳 제 닉이 '불휘기픈나무'입니다. ^^v
2008.02.07 19:15:16 (*.238.96.200)

읏, 저도 미쉐린 아날로그 발펌프 사용중인데요, 상당히 정확합니다.
신차 출고후 측정해봤는데 메뉴얼상 공기압이랑 100프로 일치하더라구요~
가격대 성능비 최고인듯 ㅎㅎ, 사진상의 자동펌프는 못써봤네요...
신차 출고후 측정해봤는데 메뉴얼상 공기압이랑 100프로 일치하더라구요~
가격대 성능비 최고인듯 ㅎㅎ, 사진상의 자동펌프는 못써봤네요...
2008.02.08 07:38:09 (*.116.88.187)

자세한 리뷰 좋습니다.
하지만, 제가 항상 강조하는 것은 써킷주행을 자주 하시는 분들은 절대 시거잭 스타일 쓰지마시고, 배터리에 직접 물리는 타입으로 쓰세요. 모터 크기가 비교안되게 큽니다.
하지만, 제가 항상 강조하는 것은 써킷주행을 자주 하시는 분들은 절대 시거잭 스타일 쓰지마시고, 배터리에 직접 물리는 타입으로 쓰세요. 모터 크기가 비교안되게 큽니다.
2008.02.08 08:45:27 (*.173.166.149)

6개월이 넘게 이 제품 씁니다 ^^
정확도는 굉장히 높은 편입니다.
레이스용 게이지와 1:1로 용인에서 실측해보니 거의 비슷해서 지금도 사용중이구요. 고장제품은 저 제품이 아니고 SUV용으로 나온 더 큰 제품이 있지요 그게 문제가 많았지 저제품은 아닌걸로 압니다. ^^
정확도는 굉장히 높은 편입니다.
레이스용 게이지와 1:1로 용인에서 실측해보니 거의 비슷해서 지금도 사용중이구요. 고장제품은 저 제품이 아니고 SUV용으로 나온 더 큰 제품이 있지요 그게 문제가 많았지 저제품은 아닌걸로 압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