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제 VR6는 캐나다에서 2002년 한국에서 가져온 후 매년 평균 3000km정도를 주행할 정도로 평소에는 거의 세워져 있습니다. 한번 타고 나가면 100km이상의 거리를 드라이브 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한달에 운행하는 날은 보통 서너번 정도되며, 제가 독일에 있는 동안에는 거의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독일에 가 있는 동안에는 지인집의 차고에 있었고, 과거 차를 여기저기서 보관하는 중 유독 좀 습한 지하차고에 있었던 적이 있는데, 그때 실내에 살짝 곰팡이가 발생했고, 그 이후로 차체의 하부에 있는 볼트나 너트류들이 녹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차대는 기본적으로 워낙 팩토리 코팅이 잘되어 있는데다가 바디가 아연도금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바디쪽은 괜찮았지만 볼트 너트류들의 부식은 막을 수 없었습니다.

한국에 완전히 온데다가 그동안 미뤄두었던 하체 코팅을 진행했습니다. 사진의 뒷바퀴 안쪽 디스크 주변에 살짝 녹이 보입니다.

작업은 강남에 위치한 지바트에서 녹제거 및 하체 코팅을 하였는데, 사진에 보이는 약품을 녹이 난 곳에 뿌리면 수분후 녹이 거짓말처럼 모두 녹아 내립니다.

코팅은 하부 바닥에만 하는 것이 아니라 휠 하우스쪽에도 뿔리며, 부식 방지는 물론 타이어 소음을 약간이나마 줄이는데도 효과적입니다.

하체에 두껍게 코팅액을 도포한 후에 찍은 사진입니다. 차체가 아무리 견고하고 아연도금이 되어 있다해도 염화칼슘에 노출이 되거나 항상 습한 곳에 있으면 차체의 부식이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오래 탈 차들은 한번쯤 코팅을 해주는 것이 좋은 것 같습니다.

엔진룸쪽에는 서스펜션 조절 나사쪽이 유일하게 부식되었는데, 부식 제거제를 뿌려놓은 직후에 찍은 사진입니다.



액을 뿌린 후 3분 정도 흘렀을 때의 모습입니다.

보이는 약품을 이용해 녹이 난 곳에 뿌리면 따로 쇠로된 부러쉬로 갈아 내지 않고도 손쉽게 녹이 제거가 됩니다. 녹을 완전히 제거한 후 방청제를 뿌려주어 녹이 다시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는 작업 역시 진행하였습니다.

방청제를 도포하는 장면입니다.

본넷 안쪽도 부식에 취약하다는 판단에 본넷틈을 통해 역시 약품을 도포하였습니다.

작업은 대만족이었고, 엔진룸을 통해서 약 하루 정도는 약품 냄새가 히터를 켰을 때 들어오기는 합니다만 그리 심한 수준은 아닙니다.
코팅액이 완전히 굳을 때까지는 시간이 조금 걸리기 때문에 작업 직후에는 가급적 주행을 많이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차를 오래 소장하면서 가장 회복하기 힘든 부분이 바로 바디의 부식입니다.
부품은 교환하고 고장난 것은 고치면 되지만 이미 부식이 상당부분 진행된 후에는 다시 회복하는 것이 쉽지 않아 미리 해두는 것이 차를 보호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부식이 진행되면 차의 강성이 급격히 떨어지며, 안전성도 당연히 떨어집니다.
요즘은 작업가격도 그리 비싸지 않아서 부담없이 진행할 수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주행에 바로 영향을 주진 않지만 심리적 안정감과 안심감 때문에 기분이 무척 좋았고, 애마에게 아주 좋은 선물을 해준 것 같아 뿌듯했습니다.
-testkwon-
2008.02.14 11:52:48 (*.206.228.17)
저도 독일차는 별도로 언더코팅을 해 줄 필요없다는 주위사람들의 만류를
뿌리치고 GTI인수하자마자 언더코팅 시공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엔진룸 안에 방청제 뿌리는거....
저는 2001년 XD 구입 후 양재동 모 유명 작업점에서 언더코팅 시공을 하였는데....
작업지시서가 잘못되었는지 엔진룸 안에도 방청제를 뿌려놨더라구요...T_T
공짜여서 그냥 넘어갔지만, 며칠 타다보니 찐득찐득하고 방청제 색상도
고스트버스터즈에 머깨비가 뿌려놓은 연두색 플라즈마를 토해놓은 색상이어서
며칠 후 가서 클레임 제기하고 다시 제거해버렸습니다^^
뿌리치고 GTI인수하자마자 언더코팅 시공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엔진룸 안에 방청제 뿌리는거....
저는 2001년 XD 구입 후 양재동 모 유명 작업점에서 언더코팅 시공을 하였는데....
작업지시서가 잘못되었는지 엔진룸 안에도 방청제를 뿌려놨더라구요...T_T
공짜여서 그냥 넘어갔지만, 며칠 타다보니 찐득찐득하고 방청제 색상도
고스트버스터즈에 머깨비가 뿌려놓은 연두색 플라즈마를 토해놓은 색상이어서
며칠 후 가서 클레임 제기하고 다시 제거해버렸습니다^^
2008.02.14 12:10:27 (*.106.65.125)

하체에 뿌리는 찐득거리는 방청제는 엔진룸에 뿌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볼트의 녹을 제거한 후 재발을 막는 투명한 액체를 도포해두었습니다.
2008.02.14 14:53:08 (*.134.225.3)
우와... 녹제거제 신기합니다!
녹제거 하다하다 안되서... 결국 두껍게 빠데 발랐는데
그래도 생기고 있는듯 합니다...
저런게 있다니...
녹제거 하다하다 안되서... 결국 두껍게 빠데 발랐는데
그래도 생기고 있는듯 합니다...
저런게 있다니...
2008.02.14 16:22:06 (*.94.1.37)
제차 역시 저희 아파트 최하지하층에 장기간 세워두었더니 마스터님과 동일한 문제가 발생되었었습니다... 발생되지 않았던 볼트류의 녹들이 생겼더군요... 다행이 바디는 방청작업을 오래전에 해두고 벗겨진곳이 없이 유지되다보니 녹이 전혀 생기진 않았는데 볼트 같은것은 어쩔수 없더군요... 국산차의 경우 사이드 스탭부분에서도 녹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서.. 제차 언더코팅을 했을때는 사이트 스탭속으로도 엄청난 량의 코팅제를 넣었었답니다..
방청작업은 국산차, 수입차를 불문하고 우리나라에서 차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좋은 아이템인것 같습니다.
방청작업은 국산차, 수입차를 불문하고 우리나라에서 차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좋은 아이템인것 같습니다.
2008.02.14 16:39:38 (*.117.99.154)
제 클릭도 언더코팅해줘야하는데.....사실 차 구입하고나서 언더코팅전에는 절대 바다를 갈 생각이 없었는데, 어쩔수없이 여친과 바다를 가게 되더군요..ㅠㅠ
빨리 해줘야하는데...ㅠㅠ
빨리 해줘야하는데...ㅠㅠ
2008.02.14 16:57:15 (*.81.243.51)
언더코팅은 모르겠지만 지바트 바디 방음방청은 비추입니다. 내장재 탈거 안하고 작은 구멍을 뚫고 숙련된 솜씨로 안봐도 비디오 공법으로 한다고 해서 훌바디 해 보았는데, 나중에 제가 내장재 탈거해서 다 뜯고 보니 떡진 곳은 떡지고 안발린 곳은 안 발린 그야말로 하나마나 작업이었습니다. 그래서 나중에 약을 사서 바닥 카페트 다 들어내고 집에서 직접 발랐습니다. 역시 오너가 작업하는게 최고죵. 지바트,완진,제로존 다 쳐 발라 보았으나 결론은 그 돈으로 좋은 차를 사자 였습니다. 10년된 그 차는 아직까지도 녹이 생기지 않습니다. 다만 정비사님들께서 리프트에 띄우고 뭔가를 교체하실때 볼트를 찾아 여기저기 파헤치십니다.
2008.02.14 19:30:55 (*.22.116.168)
언더 코팅같은 방청/방음 작업에 신뢰를 하지 못합니다.
하부에서 올라오는 잔잔한 소음은 잡아 질지 몰라도..하체의 프라스틱류같은 제품에 악영향이 있었습니다.
수성이나 유성 여러가지로 나뉘지만..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순히 리프트에 띄어 놓고 휠 하우스 안쪽에 뿌려대는건..안닌거 같습니다.
하체의 부품을 모두 탈거하고(나사류까지.) 고르게 뿌려진 재대로된 작업이 아닌다음에야 결코 만족도는 떨어지지 않을까요?
하부에서 올라오는 잔잔한 소음은 잡아 질지 몰라도..하체의 프라스틱류같은 제품에 악영향이 있었습니다.
수성이나 유성 여러가지로 나뉘지만..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순히 리프트에 띄어 놓고 휠 하우스 안쪽에 뿌려대는건..안닌거 같습니다.
하체의 부품을 모두 탈거하고(나사류까지.) 고르게 뿌려진 재대로된 작업이 아닌다음에야 결코 만족도는 떨어지지 않을까요?
2008.02.14 20:02:44 (*.251.131.124)
92년 처음새차를 구입하고 지바트 풀 시공해서 10년타고 폐차( 전복사고로...)
01년 새차 사자마자 시공해서 만7년이 지난 차의 하체 별다른 부식 없슴...
04년 구입한차의 풀시공으로 현재 만족할만한 상태임...
포뮬러Q라는 코팅제는 아직도 굳지않고 제역활을 해주는것 같네요( 01년차...)
하지만 보통 시공방법이 문짝의 경우 드릴로 구멍을 뚫어 뿌리는 방법으로 시공합니다.
문짝에 주석 방음지 붙이기 위해 뜯어 보고는 시공하는곳의 성의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네요...
일반 승용차 오래 탈려면 추천할 만한 아이템인데
시공점은 잘 고르시길 바랍니다.
그 재료는 믿을만 하다는 것과 다른곳에 비해 고가인점...
그리고 경량화를 위해 차를 뜯어내는 사람이 주변에 한두명씩 생기다 보니 필연적으로
생기는 무게의 증가 부분에 대한 고려도 하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01년 새차 사자마자 시공해서 만7년이 지난 차의 하체 별다른 부식 없슴...
04년 구입한차의 풀시공으로 현재 만족할만한 상태임...
포뮬러Q라는 코팅제는 아직도 굳지않고 제역활을 해주는것 같네요( 01년차...)
하지만 보통 시공방법이 문짝의 경우 드릴로 구멍을 뚫어 뿌리는 방법으로 시공합니다.
문짝에 주석 방음지 붙이기 위해 뜯어 보고는 시공하는곳의 성의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네요...
일반 승용차 오래 탈려면 추천할 만한 아이템인데
시공점은 잘 고르시길 바랍니다.
그 재료는 믿을만 하다는 것과 다른곳에 비해 고가인점...
그리고 경량화를 위해 차를 뜯어내는 사람이 주변에 한두명씩 생기다 보니 필연적으로
생기는 무게의 증가 부분에 대한 고려도 하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