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어제 속초에 다녀왔습니다.
전 평소와 다름없이 당연히 고속도로를 타고 동해안까지 가서
속초로 올라가려고 했는데 아는 동생이 44번 국도로 가면 빠르다고 조언을 해주더군요.
실제로 지도를 찾아보니 44번 국도가 속초 쪽으로 잘 연결된것 같아서
갈때는 국도를 이용하기로 했습니다.
국도를 타기위해서 일단 올림픽대로에 올라서 6번 국도를 타려고 진행했는데
올림픽에서 차가 꽤 막히더군요..ㅜㅜ
국도도 차가 막히면 빠져나갈곳도 없고.. 살짝 무서웠는데
저의 예상과는 달리 차가 거의 없더군요.
44번도로로 쭈욱 가서 46번, 미시령터널을 넘어서 목적지에 도착했습니다.
44번 도로는 최근에 완공되어서 그런지 노면도 깨끗하고
코스도 적당히 구불구불해서 재밌었습니다.
다만 블라인드 코너가 많아서 여기를 꺾었는데 신호등이 빨간불이면 어쩌지 하는
불안감과 혹시나 무단횡단하는 사람이 있을까봐 조심스럽게 갔습니다.
특히 44번 국도가 끝나고 미시령 근처로 가자..공사중인 지역은 정말...
차선도 없고 공사중 그대로 방치된 부분등이 상당히 위험하더군요..
밤에는 정말 위험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게다가 강원도 쪽은 도로에 살얼음이 있고 눈이 안녹은 곳도 많아서
'스핀하면안돼 스핀하면안돼' 라는 심리적 압박이...-.-;
올때는 고속도로로 왔는데 국도보다 차들도 많고.. 고저차도 심하고 특히나 트럭들도 많고
요상하게 국도보다 더 1차선을 고집하는 서행차량이 많아서
조금 오래걸린것 같습니다.
걸린 시간은.. 국도가 조금 더 빠른것 같고..
주행거리도 물론 국도가 짧습니다.
하지만 이건 서울 - 속초 or 강릉 의 경우이고 다른 곳으로 갈땐 고속도로가
훨씬 편리하...겠죠 ? ㅋㅋ
전 국도는 항상 고속도로가 갈수 없는 길 or 근처 주민들이 이용하는 길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다녀오면서 국도에 대한 인식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ㅎㅎ ;;
요약하자면..
국도의 장점 - 의외로 빠른 차량 속도 , 다양한 (?) 볼거리, 여러가지 명소를
들릴수 있다는 점, 고속도로보다 적은 차들 , 단축되는 거리 등..
단점 - 어디서 사람이 나올지 모른다는 불안감 (?), 반복되는 신호등, 상대적으로 낮은 제한속도, 반복되는 커브, 도로의 상태 등등...
고속도로의 장점 - 직진위주의 도로, 풍성한 휴게소, 나름 괜찮은 노면상태 등..
단점 - 톨게이트에서 비용 발생, 서울근교에서는 급 증가하는 차량들 , 단조로운 코스 등..
참고로 제 차의 연비를 한번 올려봅니다.
330은 고속 연비가 참 잘나왔는데 (140~160 에서 11km/l 정도)
이놈은 순간연비게이지를 보면서 무리한 가속을 하지 않았는데도 10km/l가 안넘는군요.
물론 100km로 천천히 간다면 약 12km정도는 나올거 같습니다만...
요즘은 국도에서도 차들이 100km로 안가더군요 ㅋㅋㅋ
2008.02.15 00:08:54 (*.133.99.200)

강릉이면 몰라도 속초라면 44번 국도가 훨 빠릅니다. 영동고속도로 타고 양양에서 속초 올라가는 코스는 톨비도 아깝고 특히 서울로 올라는 오는 코스는 여주부터 막히는 경우가 많아서 돈내고 더 걸릴 수도 있죠.
2008.02.15 00:20:30 (*.236.98.187)

네 지운님 말씀처럼 여주부터 차가 진짜 빽빽하더군요.. 막히지만 않을뿐이지 ;; 첨에 언덕에 차들 줄 지어서 가는거 보고 사고난줄알았습니다. ㅋㅋㅋ
2008.02.15 01:31:47 (*.229.116.62)

오..저정도 연비면 좋다고 봐지는데요? 44국도 정도의 구빗길을 달려 10km 이내 연비면 양호하다고 봐집니다. 2.0 이엡소나타의 연비랑 차이가 없네요. 물론 알피엠을 높게 쓰는 편이지만요.^^
와인딩이 많은 국도주행 시 주의점을 몇가지 요약드릴게요.
* 블라인드가 많은 국도의 경우, 코너링중 안쪽 CP 를 관통한 바깥쪽 라인이 가장 멀리까지 보일수 있도록 탈출구가 보이는 지점까지, 최대한 아웃라인을 타세요. 코너진입시 조금더 아웃라인을 오래타는걸로 십수미터 이상 멀리 볼수 있습니다. (만일의 사고시 견적이 달라지는 거리죠^^) 물론 다음직선이 보이는 지점에 이르러서는 CP 를 향해 인라인을 통과해야죠.
*겨울철 시외도로 주행은 노면정보가 가장 중요합니다.
차량주행이 빈번한곳은 빙면이 충분히 녹아 위험성이 덜하지만, 그렇지 않은곳에선 가장먼저 살펴야 할게.. 산이나 언덕, 건물에 가려진 그늘지역입니다. 확신이 서지않는 그늘이 나타나면 가능한한 속도를 줄이고 서행하고, 노면에 빛이 나는 부분은 결빙되었을 확률이 높습니다. 겨울철 스포츠드라이빙은, 노면 정보력에 따라 레벨차이가 납니다.^^
* 지방도로의 상하좌우로 구비진 도로에서 나름 빠른속도를 유지하며 당황하지 않을수 있는 방법은, 코너R 과 길가의 전봇대를 함께 보는 방법입니다. 모든 전봇대는 도로방향과 일치함으로, 언덕을 슬쩍넘는 블라인드에선 전봇대들의 휘어지는 각으로 미리 코너R 을 참고해서 주행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 국도중의 마을에선 당연히 신호등이나 보행자, 자전거 탄 사람이나 경운기등이 빈번하게 출몰할 수 있으므로, 속도를 언제든 정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줄이는게 필요할거고.. 가장 중요한 마지막 팁은.. 블라인드 코너진입시엔 항상, 언제든 시프트다운.. 감속, 정지 할수있도록 '마음의 준비'를 하며 진입해야 하는점입니다.
와인딩이 많은 국도주행 시 주의점을 몇가지 요약드릴게요.
* 블라인드가 많은 국도의 경우, 코너링중 안쪽 CP 를 관통한 바깥쪽 라인이 가장 멀리까지 보일수 있도록 탈출구가 보이는 지점까지, 최대한 아웃라인을 타세요. 코너진입시 조금더 아웃라인을 오래타는걸로 십수미터 이상 멀리 볼수 있습니다. (만일의 사고시 견적이 달라지는 거리죠^^) 물론 다음직선이 보이는 지점에 이르러서는 CP 를 향해 인라인을 통과해야죠.
*겨울철 시외도로 주행은 노면정보가 가장 중요합니다.
차량주행이 빈번한곳은 빙면이 충분히 녹아 위험성이 덜하지만, 그렇지 않은곳에선 가장먼저 살펴야 할게.. 산이나 언덕, 건물에 가려진 그늘지역입니다. 확신이 서지않는 그늘이 나타나면 가능한한 속도를 줄이고 서행하고, 노면에 빛이 나는 부분은 결빙되었을 확률이 높습니다. 겨울철 스포츠드라이빙은, 노면 정보력에 따라 레벨차이가 납니다.^^
* 지방도로의 상하좌우로 구비진 도로에서 나름 빠른속도를 유지하며 당황하지 않을수 있는 방법은, 코너R 과 길가의 전봇대를 함께 보는 방법입니다. 모든 전봇대는 도로방향과 일치함으로, 언덕을 슬쩍넘는 블라인드에선 전봇대들의 휘어지는 각으로 미리 코너R 을 참고해서 주행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 국도중의 마을에선 당연히 신호등이나 보행자, 자전거 탄 사람이나 경운기등이 빈번하게 출몰할 수 있으므로, 속도를 언제든 정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줄이는게 필요할거고.. 가장 중요한 마지막 팁은.. 블라인드 코너진입시엔 항상, 언제든 시프트다운.. 감속, 정지 할수있도록 '마음의 준비'를 하며 진입해야 하는점입니다.
2008.02.15 02:49:34 (*.47.130.115)

저도 국도 좋아라 합니다. 특히 고속도로가 조금이라도 차가 많을 타이밍에 경기도~충북을 누벼야 할때에 42번 & 38번 & 45번 & 17번 국도를 잘 조합하면 정말 우왕ㅋ굿ㅋ 하면서 다닐 수 있습니다. 39번 등 비교적 최근에 정비한 도로들은 길 상태도 좋고요 ^^;;;
2008.02.15 02:50:36 (*.234.196.228)

저도 작년휴가때 공현진 해수욕장을 다녀오느라 같은 루트를 이용해서 다녀왔는데요....고속도로 뺨치게 노면도 좋고 거리도 엄청나게 가까워서 새삼 놀랐습니다....E36 M3 북미형이 기어비가 높아서 고속도로 주행에도 연비가 그리 좋지 못한데.... 추가 주유없이 여유있게 왕복을 하더군요....^^;
2008.02.15 12:51:15 (*.11.60.2)

전 주로 와이프의 스펙트라로 처자식 데리고 가는 길이라..
언제 제 차로 이 길을 달려보고 싶다는 생각이 자주 들더라구요 T_T
(하지만 처자식이 제 차 타는걸 싫어하니..어쩔수가 없네요)
언제 제 차로 이 길을 달려보고 싶다는 생각이 자주 들더라구요 T_T
(하지만 처자식이 제 차 타는걸 싫어하니..어쩔수가 없네요)
2008.02.15 13:06:09 (*.247.142.137)

강릉, 양양(현남)까지는 영동고속국도가 당연히 빠릅니다.
한강 아래쪽에 거주하시는 분들께는 더욱 더~
말 많은 미시령 터널은 통행료까지 징수 된다는..
저는 곧 개강을 하여 강릉 현지인이 되렵니다. ㅎㅎㅎㅎ
한강 아래쪽에 거주하시는 분들께는 더욱 더~
말 많은 미시령 터널은 통행료까지 징수 된다는..
저는 곧 개강을 하여 강릉 현지인이 되렵니다. ㅎㅎㅎㅎ
2008.02.15 18:55:09 (*.152.187.95)
저도 어제 오늘44번국도 이용해서 속초 다녀왔습니다...^^ 여름만 아니면 평균속도 110정도로 편안하게 다닐수 있어서 속초등지를 가게되면 이용하는 길입니다.....ㅎㅎ 춘천에서 출발하는 관계로 그날 컨디션과 동승자에 따라서 고속도로로 44번국도까지 가느냐, 와인딩을 타고 가느냐가 결정되서 즐거운길 중에 하나입니다ㅎㅎ
고속도로는 일단은 좀 지나면 졸리고...
이단은... 절 추월하는 대부분의 차를 따라갈 엄두가 안나서...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