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03년 1월 출고하여 7만6천키로 주행하는 동안 배터리 교환 없이 사용했습니다.
만 5년이 지난거지요. ^^
그런데, 요 근래 와이프의 출산일이 다가와서 제차는 세워두고 와이프의 323으로 출퇴근을 하다가...근 2주만에 시동을 걸었더니...
플릭커가 번쩍이는것이 방전 알림이었더군요. 센터에 전화했더니 어드바이져가 방전일거 같다며 제 퇴근 시간에 맞추어 기동차량을 보내주었습니다.
간단하게 점프하여 시동을 걸고 15분 정도 공회전을 해주었더니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어드바이져에게 배터리 관련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는데, 만 5년 됐으니 배터리 지시계가 정상으로 나오더라도 갈아주는게 좋을거 같다고 하더군요.
제 생각에도 배터리 4-5년 쓰면 적당하게 썼다는 생각이 들고요. 해서 배터리의 매직 아이에는 녹색이 선명하게 나타남에도.... 배터리 교환을 결정하였습니다.
문제는 값비싼 센터의 BMW순정이냐?? 아니면 델코사의 호환 배터리냐?? 였습니다. 어드바이져 말로는 센터것이 특별하게 더 좋을것도 없으나 자기가 정품 이외의 것을 권하기도 그렇다고 하더군요. 규격만 맞으면 문제될것은 없다길래.... 델코사의 100A 규격의 제품을 주문하였습니다.
제 차량에 순정으로 달린 녀석은 80A 규격이더군요. -극에 음각된것으로 대충 보니 02년 38주차 정도에 생산된것인듯....
델코사의 배터리는 지난 수요일 받았는데 08년 1월 8일 생산이더군요. ^^ 용량이 좀 더 커서 그런지 높이는 같아도 길이는 조금 더 길더군요.
직접 교환을 위해 지하 주차장에서 작업하는데...
휴~~ 배터리 무게가 와우~~ 상상 이상입니다. 흐~~
먼저, 기존 배터리를 빼는데, 고정 바의 탈거가 스패너로는 안되서 소켓 렌치를 이용해야만 편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단단하게 조여있기도 하고 바가 굴국이 있어서 스패너로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더군요.
그 다음으로 힘들것은 각 단자를 풀어주는 것인데.... 방식이 기존에 국산차와는 살짝 다른 느낌이었습니다. 뭐 조여주는것은 같지만 크램프 같은 방식이라고 해야하나??
가장 힘든것은 트렁크 한쪽 구석 깊숙히 들어 있는 무거운 배터리를 들어 내는것이었습니다.
휴~~~~
그리고, 더 무거운 100A 용량의 델코 배터리를 다시 넣는것...
사이즈중 길이가 좀 더 긴것은 다행이 차량의 배터리 함에 100A 사이즈에 맞게 고정대에 홀이 나와 있어서 딱 맞게 장착했습니다.
기술적으로는 쉬운 작업인데... 체력은 상당함을 요구하더군요.
어쨋건 만 5년만에 배터리 갈고 나니....속은 시원하네요. ^^
배터리 용량은 작아도 가벼운거로 하시려는 분들 마음이 이해가 갑니다. ^^
옵티마에서 비엠 배터리함 사이즈에 맞는 배터리는 안나올까요??
/////달타냥/////
2008.02.17 17:10:54 (*.144.250.238)
궁뎅이 삼촌...
100A는.... 죽여 줍니다.
델코 80 짜리..인지 85인지..카니발용 DIY해봤는데... 후드안에 넣는건 그럭저럭 괜찮아요.
트렁크 구석에 있는거는... 작살입니다.
100A는.... 죽여 줍니다.
델코 80 짜리..인지 85인지..카니발용 DIY해봤는데... 후드안에 넣는건 그럭저럭 괜찮아요.
트렁크 구석에 있는거는... 작살입니다.
2008.02.17 18:09:16 (*.162.148.195)

저도 와이프 E36에 델코배터리(길더군요..무겁고..게다가 전 전기를 무서워해서 너무 조심조심 작업하느라..)교환해주다가 손등 다 까지고 공구흘려서 트렁크 물건 다 꺼내서 공구찾고 한난리를 폈었습니다.
작년겨울 꼭꼭 추운날만 크랭킹하다 뻗어서 긴급출동만 3번이나 불렀었는데, 배터리 교환하고나니 리모트키로 문열때 문열리는 소리부터 달라지더군요.
^^초딩때 집에 차가 생긴이후로 겨울에 시동안걸릴까봐서 불안에 떨었던건 집사람차가 처음이였던 것 같습니다. 배터리를 사놓고도(가격 오른다고해서 얼렁샀었죠)거의 집에 6개월을 방치하다가 귀챦음을 간신히 이기고 교환하고 난 후 어찌나 뿌듯하던지--;..영하 10도에서 일발시동되는 차안에서 감격에 젖어 스티어링휠을 꼭 쥐어주던 제 모습을 생각하니 귀챠니즘 타파를 위해 극기캠프라도 들어가야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작년겨울 꼭꼭 추운날만 크랭킹하다 뻗어서 긴급출동만 3번이나 불렀었는데, 배터리 교환하고나니 리모트키로 문열때 문열리는 소리부터 달라지더군요.
^^초딩때 집에 차가 생긴이후로 겨울에 시동안걸릴까봐서 불안에 떨었던건 집사람차가 처음이였던 것 같습니다. 배터리를 사놓고도(가격 오른다고해서 얼렁샀었죠)거의 집에 6개월을 방치하다가 귀챦음을 간신히 이기고 교환하고 난 후 어찌나 뿌듯하던지--;..영하 10도에서 일발시동되는 차안에서 감격에 젖어 스티어링휠을 꼭 쥐어주던 제 모습을 생각하니 귀챠니즘 타파를 위해 극기캠프라도 들어가야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2008.02.17 18:12:34 (*.238.96.169)

제 골프도 얼마전 배터리 교환했는데요....
뽁바겐 정품베터리인데요..인디케이터가 녹색이라
첨에는 베터리 문제가 아닌줄 알았습니다. 자꾸 문제가 발생해서
전압검사도 해봤는데 정상...근데 시동은 안걸립니다..
그래도 인디케이터는 녹색이더군요... 환장하죠..흐...
결국 새로 교환.....일단 완방된 베터리는 수명이 준다고(?) 들었습니다...
저도 직접 갈았는데...흐흐.무지 무겁죠..꼭 돌덩이같은...
뽁바겐 정품베터리인데요..인디케이터가 녹색이라
첨에는 베터리 문제가 아닌줄 알았습니다. 자꾸 문제가 발생해서
전압검사도 해봤는데 정상...근데 시동은 안걸립니다..
그래도 인디케이터는 녹색이더군요... 환장하죠..흐...
결국 새로 교환.....일단 완방된 베터리는 수명이 준다고(?) 들었습니다...
저도 직접 갈았는데...흐흐.무지 무겁죠..꼭 돌덩이같은...
2008.02.17 18:17:24 (*.176.80.123)
그래도 BMW는 트렁크에 있으니 트렁크속에 올라가면되죠... 세피아는 엔진 안쪽에 있어서 제가 엔진 헤드커버를 밟고 차엔진에 올라가서 옮기는 작업을 한답니다..
100A짜리 달고 다녔었는데... 처음작업할때 허리 부러지는 줄 알았습니다... 이번에 교체할때 다시 순정사이즈보다 하나 큰걸로 다운그레이드 하긴했는데.. 밧데리 가게에서 교환해준다는거 제가 직접한다고 그 앞에서 또 엔진에 올라타는 쇼까지 또 보여주고 왔답니다..
100A짜리 달고 다녔었는데... 처음작업할때 허리 부러지는 줄 알았습니다... 이번에 교체할때 다시 순정사이즈보다 하나 큰걸로 다운그레이드 하긴했는데.. 밧데리 가게에서 교환해준다는거 제가 직접한다고 그 앞에서 또 엔진에 올라타는 쇼까지 또 보여주고 왔답니다..
2008.02.17 19:53:39 (*.144.250.238)
헉....트렁크 안으로 들어가기는..좀...
용재님... 엔진에 올라타는거는 정말 쑈쑈쑈~~~ 네요. 기회가 되면 구경할 기회가 있었으면...... 크~~~~~~~~~~~~~``
용재님... 엔진에 올라타는거는 정말 쑈쑈쑈~~~ 네요. 기회가 되면 구경할 기회가 있었으면...... 크~~~~~~~~~~~~~``
2008.02.17 20:44:46 (*.22.116.168)
얼마전 방전으로 배터리 교환을 하였습니다.
순정 보쉬 제품과 호환이 가능한 델코나 기타 제품등있지만..상용차량이나 기타 국산차량에 적용해본 결과 같은 규격대비 제품의 성능유지 기간이나 사소한 면에서 저하되는 제품들이 있었습니다.
망설이다가 순정으로 달았지만..국내 유통되는 도매가격과 순정센터의 가격차이는 딱 공임차이였습니다.
머리 굴릴려다 두번이나 본전도 못 뽑은 경우가 있어서..이젠 요령안피우려고 합니다.^^
영진님..삭스는 근황은 어떤가요?
제 경우엔 국내 도로가 너무 싫을 뿐입니다.
순정 보쉬 제품과 호환이 가능한 델코나 기타 제품등있지만..상용차량이나 기타 국산차량에 적용해본 결과 같은 규격대비 제품의 성능유지 기간이나 사소한 면에서 저하되는 제품들이 있었습니다.
망설이다가 순정으로 달았지만..국내 유통되는 도매가격과 순정센터의 가격차이는 딱 공임차이였습니다.
머리 굴릴려다 두번이나 본전도 못 뽑은 경우가 있어서..이젠 요령안피우려고 합니다.^^
영진님..삭스는 근황은 어떤가요?
제 경우엔 국내 도로가 너무 싫을 뿐입니다.
2008.02.17 21:38:10 (*.124.78.189)

얼마전 회사 지급품 45A 순정 아틀라스로 교환했는데... 가격 1만8천원대... 무게, 아주 가뿐히... 역시 이런 부분은 경차와 동급 취급당할만 하군요.
이제 전기계통은 알터네이터만 남은듯...
이제 전기계통은 알터네이터만 남은듯...
2008.02.17 21:39:05 (*.51.244.14)

승용차 배터리는 가벼운편입니다. 기억은 가물가물하지만 군용 k311 베터리는 운전석과 선탑자리 가운데에 배치되어 있는데 혼자선 절대 들수 없는 무게의 베터리가 두개나!! 들어갔었습니다 -_-; (한개의 크기와 무게는 일반suv베터리 두배크기였음) 정말 끝장이었다는...;;
2008.02.17 23:55:21 (*.144.250.238)
수민님.. ^^
공임 차이 정도 인가요?? 순정 센터 가격은 30만원 정도 입니다. 델코 규격 제품은 (규격보다 조금 높지요) 12만원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제 생각에는 큰 차이라서요.
삭스 퍼포먼스는... 인스톨하고 아직 만키로도 주행을 못했습니다. 제가 다니는 경로는 노면 상태가 양호해서....저는 만족하고 있습니다. 요철 넘을때와 가끔 만나는 안좋은 노면에서는 확실하게 쿵쾅거림이 느껴지고요. 흐~~~ 그 외에는 큰 불만 없이 만족하고 있습니다. 다만, 차고 낮아진게 보기엔 좋은데 신경쓰일때가 많습니다. ^^
공임 차이 정도 인가요?? 순정 센터 가격은 30만원 정도 입니다. 델코 규격 제품은 (규격보다 조금 높지요) 12만원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제 생각에는 큰 차이라서요.
삭스 퍼포먼스는... 인스톨하고 아직 만키로도 주행을 못했습니다. 제가 다니는 경로는 노면 상태가 양호해서....저는 만족하고 있습니다. 요철 넘을때와 가끔 만나는 안좋은 노면에서는 확실하게 쿵쾅거림이 느껴지고요. 흐~~~ 그 외에는 큰 불만 없이 만족하고 있습니다. 다만, 차고 낮아진게 보기엔 좋은데 신경쓰일때가 많습니다. ^^
2008.02.18 06:19:06 (*.68.76.196)

제가 딜러쉽보다 더 신뢰하는 정비소에서는 꼭 BMW 배터리를 사라고 해서 딜러쉽에 가서 세금포함해서 약 200불에 구입했습니다.
2008.02.18 09:34:24 (*.187.30.2)
200A 두개면...음... 헬쓰장이군요.
형욱님.. 미국에서의 가격을 보면 한국에서 조금 비싸기는 하지만.. 아주 비싼것만은 아니군요. 한국에서 공임+세금해서 30만원이었습니다. 900원으로 해서 계산해보니 한국이 비싸긴 비싸네요.
형욱님.. 미국에서의 가격을 보면 한국에서 조금 비싸기는 하지만.. 아주 비싼것만은 아니군요. 한국에서 공임+세금해서 30만원이었습니다. 900원으로 해서 계산해보니 한국이 비싸긴 비싸네요.
2008.02.18 10:08:40 (*.228.196.29)

김영진님... 저도 얼마전에 제 차에 밧데리를 제 손으로 교환했는데 같은 고충을 겪으셨군요..^^ 정말로 e36때만해도 그나마 깊지가 않아서 수월하게 했었던거 같은데 e39의 트렁크 깊은 곳에서 밧데리를 빼낼때는 그냥 돈 더주고 센터에서 할걸... 하는 후회가 엄청나게 밀려왔습니다. ^^;; 그치만! 12만원/30만원의 차이는 무시할 수 없어서 제 손으로 한 것에 대해서는 후회안하고 있습니다. 대신 다음부터는 아는 샾에 가서 2만원 주고 갈아달라고 할려구요.. ㅋㅋㅋ
2008.02.18 11:10:27 (*.187.30.2)
태정님... 공임이 2만원이었군요. 크~~~ 저는 39 배터리 함이 그렇게 깊을줄 몰랐습니다. 휴~~ 그것도 오른쪽 구석이다 보니...몸을 잘 꼬아서....
직접 80r짜리 들어서 넣어 보려다가.. 걍 얌전히 담배 들고 리프트에서 멀쩍이 그냥 나왔습니다. 역시 돈으로 해결할 수 있는건 돈으로 해결 보는게 척추 건강에 좋겠구나 싶었죠.
ㅋㄷㅋ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