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http://news.empas.com/issue/show.tsp/cp_kh/1453/20080220n00959/신형 쏘나타를 구입한 소비자들이 스스로 엔진 커버를 탈거하고 운행하는 진풍경이 연출되고 있다.
처음 이 문제를 제기한 것은 2007년 11월 NF쏘나타 인터넷 동호회(http://clubnf.net)에서 부터. 쏘나타 트랜스폼 2.0 모델 운전자들이 엔진룸에서 이상한 공명음이 난다고 지적했다. 이어 몇몇 사람들이 엔진을 들여다 본 결과 이 차 엔진 커버에 이상한 플라스틱 통이 붙어있는 것을 발견했다.
2.4 모델에는 없는 공명통이 2.0 모델에 붙어있다.
도시락만한 크기의 이 플라스틱통은 엔진쪽으로 손가락만한 구멍이 나 있고 내부가 기타 속처럼 비어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공명을 일으켜 엔진 소음이 커지는 것으로 네티즌들은 추측했다.
이어 "'공명통'과 엔진 커버를 뜯어내고 소음이 확연히 줄었다"는 경험담이 이어지자 소문이 일파만파 퍼져 이제는 젊은 운전자들이 스스로 엔진커버를 제거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현대자동차 공식 정비센터의 한 직원도 "차량의 엔진커버를 벗겨달라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매일 몇건씩은 있다"고 말했다. 심지어 한 업체는 엔진 커버의 '공명통'을 없애고 내부에 흡음재까지 장착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짭짤한 '틈새 수익'을 올리고 있기도 하다.
현대차 측은 "그 부품은 소음을 줄이기 위한 공명통"이며 "기존 모든 차량 엔진에도 그런 공명통이 알게 모르게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기존에는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존재했지만, 이번 쏘나타 트랜스폼의 경우는 눈에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쉽게 발견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 유명 레이싱팀의 한 기술자(미케닉)는 "현대, 대우, 기아의 모든 엔진을 완전히 분해해 봤지만, 공명통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은 본적이 없다"며 쏘나타 트랜스폼의 신형 엔진이 괴짜라고 말했다. 또 "플라스틱 공명통하나 붙여서는 엔진 소음을 줄일 수 없다"고 했다.
몇몇 네티즌들은 엔진에 이 장치를 더한 이유를 "다른 소음을 덮기 위함"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신형 엔진인 '2.0리터 세타2' 엔진이 이전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증가했기 때문에 그것을 눈치채지 못하도록 또 다른 저음의 사운드가 나는 장치를 장착했다는 것이다. 또 어떤 네티즌은 "조잡한 장치를 더해 유럽차 같은 사운드만 나게 한 것"이라고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현대차측은 "이 공명통은 고속주행에서 엔진음이 감소하도록 설계한 것"이라며 "중저속 주행시 엔진음이 다소 증가하는 경우가 있을수도 있다"고 말했다.
<경향닷컴 김한용기자 whynot@khan.co.kr>-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처음 이 문제를 제기한 것은 2007년 11월 NF쏘나타 인터넷 동호회(http://clubnf.net)에서 부터. 쏘나타 트랜스폼 2.0 모델 운전자들이 엔진룸에서 이상한 공명음이 난다고 지적했다. 이어 몇몇 사람들이 엔진을 들여다 본 결과 이 차 엔진 커버에 이상한 플라스틱 통이 붙어있는 것을 발견했다.
2.4 모델에는 없는 공명통이 2.0 모델에 붙어있다.
도시락만한 크기의 이 플라스틱통은 엔진쪽으로 손가락만한 구멍이 나 있고 내부가 기타 속처럼 비어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공명을 일으켜 엔진 소음이 커지는 것으로 네티즌들은 추측했다.
이어 "'공명통'과 엔진 커버를 뜯어내고 소음이 확연히 줄었다"는 경험담이 이어지자 소문이 일파만파 퍼져 이제는 젊은 운전자들이 스스로 엔진커버를 제거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현대자동차 공식 정비센터의 한 직원도 "차량의 엔진커버를 벗겨달라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매일 몇건씩은 있다"고 말했다. 심지어 한 업체는 엔진 커버의 '공명통'을 없애고 내부에 흡음재까지 장착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짭짤한 '틈새 수익'을 올리고 있기도 하다.
현대차 측은 "그 부품은 소음을 줄이기 위한 공명통"이며 "기존 모든 차량 엔진에도 그런 공명통이 알게 모르게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기존에는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존재했지만, 이번 쏘나타 트랜스폼의 경우는 눈에 잘 보이는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쉽게 발견한 것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 유명 레이싱팀의 한 기술자(미케닉)는 "현대, 대우, 기아의 모든 엔진을 완전히 분해해 봤지만, 공명통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은 본적이 없다"며 쏘나타 트랜스폼의 신형 엔진이 괴짜라고 말했다. 또 "플라스틱 공명통하나 붙여서는 엔진 소음을 줄일 수 없다"고 했다.
몇몇 네티즌들은 엔진에 이 장치를 더한 이유를 "다른 소음을 덮기 위함"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신형 엔진인 '2.0리터 세타2' 엔진이 이전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증가했기 때문에 그것을 눈치채지 못하도록 또 다른 저음의 사운드가 나는 장치를 장착했다는 것이다. 또 어떤 네티즌은 "조잡한 장치를 더해 유럽차 같은 사운드만 나게 한 것"이라고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 현대차측은 "이 공명통은 고속주행에서 엔진음이 감소하도록 설계한 것"이라며 "중저속 주행시 엔진음이 다소 증가하는 경우가 있을수도 있다"고 말했다.
<경향닷컴 김한용기자 whynot@khan.co.kr>-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2008.02.20 13:25:14 (*.229.116.62)

제가보기엔 드라이빙 감성에 보탬을 주는 앞선아이템 같은데.. 일반오너들 생각은..ㅋㅋ유럽차엔 벌써부터 달려있을거 같은데요. 타이어에도 성능과 상관없이, 싸이프의 패턴차이로 저중고음 싸이클을 분산시켜 소음을 줄입니다. 엔진음과 주행음을 즐기기위해 도심서행때 빼놓곤 항상 오디오를 off 시키는데, 보통은 오디오감상 즐기려고 주행정보의 가장 큰몫인 엔진음을 줄이고싶어 하네요. ^^
2008.02.20 13:37:30 (*.147.3.120)

유럽사운드를 만들때 배기나 흡기쪽에 저런 아이템으로 소리를 만들어낸다고 들었는데..이거 어떻게 해석을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2008.02.20 13:53:45 (*.219.0.69)

레조네이터에서 잡는 흡기 공명음이야 주파수마다 다를테니 그게 있어서 소리가 크고 적고는 아닐겁니다. 특정 영역에서 소음을 줄이기 위해 달아놓은 것일텐데.. 저도 그 레이싱 관계자가 누구일지가 궁금해진다는.. ㅎ
2008.02.20 13:58:19 (*.251.76.82)

그 레이싱 관계자는 아마도 기자가 만들어낸 허상일겁니다.
그런식으로 말을할 관계자도 없을뿐더러 특정주파수를 겨냥한
레조네이터의 경우는 우리가 알게 모르게 거의 모든차종에 존재하죠
문제는 특정주파수 음을 잡고 다른 주파수 공명음을 키우면 안된다는
것인데 말이죠 어쨌든 머 이슈 만들기 좋아하고 기사거리 충분치
못했단 생각밖에 안드는군요 ㅎㅎ
그런식으로 말을할 관계자도 없을뿐더러 특정주파수를 겨냥한
레조네이터의 경우는 우리가 알게 모르게 거의 모든차종에 존재하죠
문제는 특정주파수 음을 잡고 다른 주파수 공명음을 키우면 안된다는
것인데 말이죠 어쨌든 머 이슈 만들기 좋아하고 기사거리 충분치
못했단 생각밖에 안드는군요 ㅎㅎ
2008.02.20 13:58:28 (*.247.131.39)
사운드를 만드는 것은 좋은 의도지만, 세타2엔진의 경우는 출력을 향상시키면서 엔진의 소리가 거슬릴 정도로 커졌다면, 엔진의 완성도라 할 수 있는 엔진음의 완성도를 향상시켜야 된다고 보이네요.. 튜닝 할 때도 그 소리가 귀에 거슬린다면 제대로 된 사운드라 할 수 없겠죠..
2008.02.20 17:48:44 (*.179.231.24)

너무 비전문적 기사네요.. 레조네이터 없는 차는 제가 아는 선에선
없는것 같습니다.
레조네이터는 공명음도 잡지만 일종의 챔버역활도 하지 않나요??
저속토크를 위해서요..
없는것 같습니다.
레조네이터는 공명음도 잡지만 일종의 챔버역활도 하지 않나요??
저속토크를 위해서요..
2008.02.20 18:08:50 (*.162.148.195)

^^저도 이 기사 아침에 읽으면서..한참 웃었습니다. 오전내내 daum 메인페이지에 계속 떠있던 기사니 꽤 많은 사람들이 읽었을텐데...과연 저런 주장에 힘을 실어준 레이싱미케닉은 어떤분일까 궁금하기도하고, 이런식으로 양측의 의견과 반응을 던져주고 어쩌라는건지싶은 기사에 수많은 사람들이 낚이겠구나 싶은 생각도 들었구요. 언론이란 역시 무섭다는 생각입니다..
2008.02.20 18:42:53 (*.133.138.117)

문제는 레조네이터로 보이는 무언가(?)가 인테이크나 덕트가 아닌
엔진카바에서 쓸데없는 소음을 유발했다는거죠.. *^^*
엔진카바에서 쓸데없는 소음을 유발했다는거죠.. *^^*
2008.02.20 18:52:31 (*.152.36.135)

기사의 행간을 통해 볼 수 있는 것은 일단 엔에프소타타트랜스가 엔진음이 시끄럽다는 부분일 것같은데요.
시끄럽지 않다면 굳이 떼어낼 필요는 없었을 것이고요.
시끄럽지 않다면 굳이 떼어낼 필요는 없었을 것이고요.
2008.02.20 20:13:00 (*.120.109.81)
저 기사 내용은 인테이크관쪽이 아니라 엔진 커버에 붙은 레조네이터 야그를 하는 것 같은데요.
근데, 알게 모르게 존재한다. 는 업체의 답변이나 별도로 존재하는 것은 본적이 없다. 는 미케닉의 답변이나 좀 흐리멍텅하게 읽기 딱 좋은게 입소문상 어디가 문제인지 헷갈릴 것 같습니다. 엔진 커버 안쪽은 흡음재 같은 것(제 차의 경우)이 붙어 있던데, 희한하군요. 공명통과 흡음재 중 공명통이 더 낫다???
근데, 알게 모르게 존재한다. 는 업체의 답변이나 별도로 존재하는 것은 본적이 없다. 는 미케닉의 답변이나 좀 흐리멍텅하게 읽기 딱 좋은게 입소문상 어디가 문제인지 헷갈릴 것 같습니다. 엔진 커버 안쪽은 흡음재 같은 것(제 차의 경우)이 붙어 있던데, 희한하군요. 공명통과 흡음재 중 공명통이 더 낫다???
2008.02.20 21:12:00 (*.172.222.119)

다른 회원님 말씀대로 기사에서는 인테이크에 붙어있는 것이 아니고 엔진 커버에 달린 것을 말하는거 같은데요? BMW Z4에서는 실제로 엔진 사운드가 실내로 잘 들어오라고 깔대기 모양의 확성기(?) 같은 구조가 달려있다는 기사를 Car & Driver 지에서 읽은 적이 있습니다만, 반대로 특정 주파수의 진동 소음을 줄이기 위한 장치를 달은 건 아닐까요? 하여간 실제 사진으로 한번 볼 수 있으면 좋겠네요.
국내유명레이싱팀의 관계자가 누군지 궁금하네요...제가 알기론 달린차들이 있는것으로 아는데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