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많은 분들이 영암에서 직접 경기를 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저는 눈물을 흘리면서 집에서 친구랑 볼륨 최대한 틀어놓고 관람했습니다. 작년에도 그랬지만 올해의 Korea GP도 너무나 인상적인 경기였던것 같습니다. 2위 싸움, 4위 싸움이 치열하게 벌어지면서 어찌보면 TV로 관람한게 더 낫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ㅠ ㅠ...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젠슨버튼이 해밀튼과 웨버가 공멸하며 2위를 차지하는 꿈을 꿔봤으나...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
기억나는 몇가지 장면들이 생각나 끄적여봅니다.
1. RBR 머신이 질주하던 장면을 보고 있는데 오잉? "보광패미리마트" 라는 로고가 선명하게 보이길래 띠용띠용 했습니다. 한경기만 스폰서할 수 있는 옵션이 있는지는 몰랐었네요,, 근데 스폰서비용을 조금만 했는지 로고가 양쪽도 아니고 한쪽에만 붙어있었습니다. 페텔의 오른팔에도 패치가 붙어있었는데 (아래사진 참조) 카메라가 자꾸 반대쪽에서만 비춰서 잘 보이지는 않았지만.. 일단 든 생각이 "얼마줬을까?" 그 다음은 "왜했을까?" 였습니다...돈을 적게주지는 않았을듯 한데 그다지 광고효과가 있어보이지는 않았습니다..
2. 페트로브와 슈미가 충돌하여 SC가 떴을 때 사고지역에서 정리하던 오피셜들이 SC와 그 뒤로 일렬정렬된 머신들이 다가오자 허둥지둥하며 도망하던 장면이 좀 아찔했던 것 같습니다. 물론 충분히 훈련을 받은 분들이고 남은 데브리들을 치우기 위해 노력하신것이겠지만 워낙 고속으로 질주하는 머신들이 돌진하고 있다 보니 순간 당황하신것들 같았습니다. 순간 좀 아찔했습니다.
3. Mercedes팀의 로즈버그와 McLaren의 버튼이 피트레인에서 기싸움하다 출구쪽에서 로즈버그가 악셀로 앞쪽포지션을 잡는 순간이 있었는데 세게 밟은것도 아니었겠지만 순간가속이 어찌나 빠르던지 정말 눈이 띠용띠용 하더군요. 그런데 로즈버그처럼 피트를 걸쳐서 주행하는 것이 합법한 것인지요?
4. 영암경기장이 1년이 지나고 그 와중에 중간중간 경기와 트랙이벤트가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타이어마모도가 엄청 높은 것 같았습니다. 이것이 코스의 설계에 의해서 그런것인지 잘 모르겠는데 새로 깐 코스는 마모도가 낮을줄 알았는데 제가 생각한 것과 반대인 것 같습니다. 예전에 경기 볼 때는 잘 안 그랬는데 요새는 타이어 전략을 좀 더 유심히 보게 된 것 같습니다.
5. 저는 이번주말에 있었던 여러행사중 F1 영암경기가 한국에서 있었던 제일 큰 행사였을 것 같았는데 9시 뉴스를 보니 월가반대시위-가을날씨 절정-곳곳에 화재사고-야구플레이오프-최나연 LPGA 한국선수 100번째 우승-F1 순으로 뉴스가 나오더군요.. 일반인들의 시각으로 보는 F1과 매니아로서 보는 시각의 순위 차이를 보는 듯 해서 약간 허탈하기도 했습니다. 역시 한국인 출신 F1선수가 빨리 나와야 하겠네요..
여튼 2/3위 싸움, 4/5위 싸움을 비롯하여 중위권에서도 치열한 싸움이 벌어져서 너무나 재미난 볼거리를 제공했었던 경기 같습니다. 경기장 운영의 적자폭이 점점 커지고 있어서 사회적으로 여러가지 말이 많은데 경기장을 좀 더 효과적으로 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서 더 많은 볼거리를 제공하고 적자폭도 줄여나갔음 하는 바램입니다.
PS. 일요일 라스베가스에서 열렸던 2011 IZOD IndyCar World Championship에서 영국출신 댄 웰든 (Dan Wheldon)이 사망하는 사고가 났다고 합니다. 처음 들어보는 선수인데 젠슨 버튼과 앤서니 데이빗슨이 레이스를 시작할 무렵에 같이 동고동락했던 친구라 버튼과 데이빗슨이 많이 슬퍼하는 것 같았습니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저도 처음에 "보광훼미리마트" 보고 뭐지 저건?했는데
다시 생각해 보니 얼마 전 국내 출시한 레드불 음료때문에
(현재 판매처가 훼미리마트 단독 아닌가요??)
모기업인 레드불에서 좀 지원해 준건가 싶더라구요.ㅎ

대략 한 충청도 정도에만 입지했어도 정말 좋았을텐데요.
작년에는 갔었지만, 올해는 운전할 엄두가 안나서 못 갔네요 ㅠㅠ

마지막 타이어마모도는 제생각은 반대입니다. 굉장히 소모도가 낮은것 같습니다 2스탑을 한것도 한거지만 거진 30바퀴를 소프트로 마무리한 웨버, 해밀턴만 보더라도 낮은거로 보이구요. 또한 서포트레이스를 한 김진표선수또한 굉장히 마모도가 낮아서 타이어가 경기를 마치고도 괜찮았다고 하더라구요.

제가 잘못 알았던 모양입니다, 저는 타이어마블이 쌓인 양만 보고 판단했던건데 2스탑 전략으로 인해 생길수도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했네요.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레드불 국내진출 협력사 자격으로 2011년 Korea GP 공식 스폰서 선정되었다고 뉴스가 나왔었네요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1101009215863060), 글쓰기 전에 정보 검색습관을 들여야 겠습니다..
그리고 저는 최근 구입한 레드불은 전부 세븐일레븐이서 샀기 때문에 지금은 유통업체가 확장된 것 같습니다.
저도 데브리 치울때 아찔하더군요 캐나다gp떄도 오피셜들이 우왕좌왕하면서 치우는 모습이 오버랩됫습니다.
F1에 대한 한국언론의 무관심은 정말 "대단" 했습니다 쌍팔년도는 차팔기 급급하니 그렇다치고 90년대말2000년대 초반은 마구팔아제낀차 품질올리기 급급하니 그런다치고 이제는 글로벌 톱4네 5네 하는 나라에서 이렇게 관심이 없을수가 있습니까???
9시뉴스 스포츠 뉴스시간에 짧게 한꼭지 나오더만요...너무 무관심한거 아닙니까?????자동차 공업규모와 더불어 모터스포츠에 관한 한국의 자동차 문화는 참으로 기형적인 모터리제이션입니다

한국시장이 아직 F1의 규모를 다 파악하지 못했단 느낌을 받았습니다. 지방행사 하나 하는 정도로 취급하는 것 같습니다. 수익성 때문에 폄하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사실 올림픽을 일년에 한번씩 치루는 행사라고 저는 생각하기 때문에 잘 활용하면 국가적 위상도도 올릴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트위터로 보니 젠슨버튼, 마크웨버, 하이키 코발라이엔 같은 선수들은 경기 직후 도쿄로 다시 돌아가더라구요, Japan GP 때는 선수들이 경기 후에도 일본에 남아서 골프도 치는 등 며칠 남아서 관광도 하고 그러는데 여튼 관광자원을 제대로 활용 못하는 것 같아서 좀 씁쓸했습니다.
인도는 자동차산업이 그리 발달하지 못했지만 그래도 카룬 찬독 등 F1 선수를 두명이나 배출하고 마카오나 말레이시아같이 자국 자동차산업이 존재하지 않는 국가들도 모터스포츠에 꾸준히 투자하고 유치하는 것을 보면 모터스포츠는 자동차산업의 발달도 발달이지만 상업적/국가경쟁력 관점에서 기업/국가가 어떻게 모터스포츠를 바라보는지가 더 중요한 것 같기도 합니다...

2번 트랙 마샬들은 허둥대지 않고 잘 대처했다고 생각합니다.(캐나다 경우와 비교하면 더더욱)
보시기엔 차량 행렬들이 다가오자 허둥지둥 피하는 것 처럼 보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잘 보시면 호각 소리가 난 후 모두 동시에, 일제히 피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트랙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가 팀원들에게 호각으로 신호를 보내는 임무를 가진 마샬도 있기 때문입니다.
렌즈가 망원이라 원근감이 덜해 더 가까워 보이는 면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리커버리 팀 마샬로 활동했습니다.
근처 포스트의 트랙 마샬들을 보니 위와 같은 훈련들을 많이 하시더군요.
정해진 시간 내에 트랙 특정 지점의 파편 주워 포스트로 복귀하기, 달기기 훈련 등등...
트랙사이드 마샬이 마샬 중에 특히 고생도 많고 힘든 임무인 것 같습니다.

예 저도 걱정하시는 마음에 하신 말씀인지 이해합니다. 혹~ 오해하시는 분이 계실까봐 말씀드렸습니다.^^ 고맙습니다!
마샬들에게도 파편들은 성스러운 선물같은 것이라고 할까요? 모두 원합니다만...
프런트 윙 같은 큰 덩어리들은 차와 함께 게러지로 실어 주고 (프런트 윙이 생각보다 정~말 무겁더군요) 작은 조각들은 안가져다 줘도 되는 것으로 압니다. 사고 주변부를 진공청소기로 다 빨아다가 가져다 줄 수는 없으니 말입니다.
이과 관련한 규정이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검차와 관련이 있을 것도 같긴 합니다만...
저는 경기 끝나고 트랙 돌면서 헬멧 필름만 몇개 보고 주워 왔습니다.
모든 분들이 공감하시겠지만, 한국인 F1 드라이버가 - 가급적 어리고 잘생기고 몸짱인 = 한마디로 스타성을 갖춘 - 나오기 전까진 흥행성이 크게 높아지긴 어려울 듯 싶습니다. 그래도, 공중파 중계도 하고 그러니깐 나아지겠지만~ 한계는 분명히 있을 겁니다. 토요타처럼 현기차에서 전략적으로 F1 드라이벌 육성하지 않는다면 김연아 같은 기적적인 사례가 나오긴 힘들 거 같아요. 장비빨이 무엇보다 중요하니까요. 개인이 스폰서 없이 하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