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사진은 계단 본능 - -;;; )
음, 어찌보면 차량관련 이슈가 아닐수도 있어서 삭제 당함을 각오해야겠지만, 교통문화 이슈라고 우겨봄직도 하고, 테드 여러분들 의견도 무척 궁금하여 일단 글을 씁니다.
(마스터님, 부디 지우지 말아주시라고 부탁드리고 싶은데 ^^... 운영기준에 벗어나는 글이라면 알려주세요. 말씀이 있으시면 1박후 회원분들의 리플 내용을 본 뒤 자진삭제하겠습니다.)
작년 언젠가부터... 서울 지하철 몇몇 노선을 이용하다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의 캠패인 홍보를 볼 수 있었습니다.
[에스칼레이터 한줄로 서기를 하지 맙시다.]
저는 이걸 볼때마다 반감이 탱천하는데 - -+++ 한심하다고 생각하면서도 그냥 몇주 캠패인 하다 말겠지 싶어 마늘씹으며 참아 넘기곤 했습니다. 그런데 제 기대와는 너무도 달리 반년 이상 아직도 위풍닭닭하게 캠패인이 지속되네요.
게다가 최근에 인터넷 여기저기를 다니다보면, 에스칼레이터 두줄타기 운동의 옹호론자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는 것도 보게 되고... 이제는 "흠.. 내가 이상한건가 ㅡ-a?"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되는군요.
엔지니어 성향인 저는... 교통수단이나 기계류는 사람이 편하게 활용하도록 만들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에스칼레이터 한줄타기 성향 때문에 에스칼레이터 시설이 한쪽만 쏠려 고장이 잦고 운영비용이 대폭 늘었다면 그건 기계를 똑바로 만들거나 혹은 운영비용을 계속 들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편이랄까요...
에스칼레이터 한줄타기 문화는 다시말하자면, 가만히 서있기보다 원하는 추가 운동을 하면서 빨리 갈수 있는 또 하나의 익스프레스 라인을 확보해주는 선진문화라고 생각합니다. 마치 고속도로 1차선 추월선 개념과 비슷한게 아닐까요?
제 작은 경험안에서 회상하자면, 10년전만해도 한국의 에스칼레이터에서는 이런 개념을 기대하기 힘들었습니다. 바로 옆 물건너 일본만해도 그렇지 않았기에, 여러 외국과 비교하면서 저는 이런 부분을 아쉬워했었습니다.
약 7~8년 전부터 여의도 강남 등지의 지하철 역사에서 한줄서서타기 문화가 눈에띄기 시작하면서 언론에서도 이를 선진문화로 다뤘던 것을 기억합니다. 얼마나 기분이 좋던지, 저는 당시 다니던 회사나 통신 동호회에서 이를 홍보하기도 했었죠.
그런데, 2007년씩이나 되서 이를 되돌리는 캠패인이라니..
캠패인을 살펴보면 주로 두가지 내용을 내세우더군요. 1. 기계가 고장난다. 2. 사고가 더 많이 난다. 둘다 저를 갸웃거리게 만듭니다. 다른 나라의 에스칼레이터 기계도 그랬던가요? 사고가 많이 나는게 한줄서서타기가 정확한 원인일런지요? 안전사고가 문제라면 캠패인의 포커스가 잘못된거 아닐까요?
음.. 혹시... 제가 이상한건가요?
테드 여러분께도 설문 여쭤보고 싶습니다. 다양한 의견을 서로 오픈마인드로 말씀해주시기 부탁드립니다.
1. 에스칼레이터 한쪽으로 서서타기 방지 캠패인을 어떻게 보시나요?
2. 외국에서도 이런식으로 "그거 하지 말라"는 캠패인을 벌인 사례가 있었는지요?
2008.02.26 03:17:45 (*.131.111.175)

출퇴근시간 두줄로 서있으면 답답하기 짝이없죠... 시작을 말지, 홍보까지 해놓고, 도로 되돌리기는 정말 어이가 없습니다.
2008.02.26 04:23:13 (*.140.217.207)
도로 되돌리는것에 찬성하시는 분들의 말씀중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급하면 계단으로 뛰어가라' 였습니다.
한때는 한줄서기가 선진매너인양 대대적인 홍보를 벌이더니..
이제 되돌리겠다니 참 이해가 안가네요.
'급하면 계단으로 뛰어가라' 였습니다.
한때는 한줄서기가 선진매너인양 대대적인 홍보를 벌이더니..
이제 되돌리겠다니 참 이해가 안가네요.
2008.02.26 05:53:50 (*.95.89.222)

당연히 한줄로 서 있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급하면 계단으로 뛰어가는것도 좋지만, 에스컬레이터를 뛰어가면 훨 빠르게 갈 수 있습니다.
2008.02.26 08:51:37 (*.87.60.117)

안전캠페인은 사고시 책임회피의 역할도 크죠. 계기가 된 사건이 있을듯...
지금 용인 스피드웨이의 말도안되는 안전규정처럼요...
지금 용인 스피드웨이의 말도안되는 안전규정처럼요...
2008.02.26 10:47:14 (*.152.6.112)

장단점이 있습니다. 십여년전 런던 유학중에 처음봤던 행태인데... 처음에는 좋아보이더니 조금 지나니 바보같은 짓이란 생각이 들더군요. 런던의 경우 지하철이 매우 깊기 때문에 대부분 에스컬레이터를 쓰지 걸어서 오르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이게 웃기는게 뛰는 사람도 별로 없는데 에스컬레이터를 다들 한쪽으로만 타니 오히려 체증이 생깁니다.
출,퇴근 시간에는 그래도 빠른걸음으로 추월해 가는 사람이 많은데... 아닌때는 별로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우리나라 처럼 별로 길지도 않은 에스컬레이터 구간에서 한줄타기 한답시고 에스컬레이터 뒤에 구름처럼 뭉게 뭉게 기다리고 있느니 그냥 차곡차곡 타는게 낫지 않을까 싶네요
한쪽으로 무게가 쏠려서 고장이 잦다는것은 생각못했지만 단점이 될 수 있겠네요.
더 튼튼하게 만들면 되지... 라는것은 그동안 멀쩡하게 작동하던것이 한줄로 타면서 그렇게 되었다면 그만큼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겁니다. 더 좋은 부품을 써도 비용이 들고 더 자주 고쳐도 비용이들고... 지하철요금 올랐다고 좋아할 사람 없으면서 그렇게 쉽게 이야기 하는것도 좀 그렇죠. 우리나라처럼 싼 지하철 요금도 없잖습니까.
제일 말하고 싶은 한심한것은....
백화점에 갔더니 어느날 부터인데 백화점에서도 한줄로 타기를 하고 있더군요.
저는 모르고 집사람과 나란히 서서 이야기 하고 있었는데 뒤에 사람이 비켜 달라고 하더군요.
얼떨결에 비켜주긴 했지만....
뭡니까? 백화점에 쇼핑하러 와서 뭐가 그리 바쁘다고 에스컬레이터에서 추월을 하려고하고..
상황에 맞게 행동해야지 백화점에서 무슨 한줄로 타기를 하고 있는지..
자세히 보니 다들 일행들과 나란히 서지 못하고 뒤돌아서 이야기 하는둥...
즐겁게 쇼핑하러와서 무슨짓인지... 참
출,퇴근 시간에는 그래도 빠른걸음으로 추월해 가는 사람이 많은데... 아닌때는 별로 효율적이지 못합니다.
우리나라 처럼 별로 길지도 않은 에스컬레이터 구간에서 한줄타기 한답시고 에스컬레이터 뒤에 구름처럼 뭉게 뭉게 기다리고 있느니 그냥 차곡차곡 타는게 낫지 않을까 싶네요
한쪽으로 무게가 쏠려서 고장이 잦다는것은 생각못했지만 단점이 될 수 있겠네요.
더 튼튼하게 만들면 되지... 라는것은 그동안 멀쩡하게 작동하던것이 한줄로 타면서 그렇게 되었다면 그만큼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겁니다. 더 좋은 부품을 써도 비용이 들고 더 자주 고쳐도 비용이들고... 지하철요금 올랐다고 좋아할 사람 없으면서 그렇게 쉽게 이야기 하는것도 좀 그렇죠. 우리나라처럼 싼 지하철 요금도 없잖습니까.
제일 말하고 싶은 한심한것은....
백화점에 갔더니 어느날 부터인데 백화점에서도 한줄로 타기를 하고 있더군요.
저는 모르고 집사람과 나란히 서서 이야기 하고 있었는데 뒤에 사람이 비켜 달라고 하더군요.
얼떨결에 비켜주긴 했지만....
뭡니까? 백화점에 쇼핑하러 와서 뭐가 그리 바쁘다고 에스컬레이터에서 추월을 하려고하고..
상황에 맞게 행동해야지 백화점에서 무슨 한줄로 타기를 하고 있는지..
자세히 보니 다들 일행들과 나란히 서지 못하고 뒤돌아서 이야기 하는둥...
즐겁게 쇼핑하러와서 무슨짓인지... 참
2008.02.26 12:15:07 (*.236.98.225)

저는 그래서 왼쪽으로 타다가 올라오는 사람이 있으면 비켜주고 그러는데.. 재훈님 말씀처럼 간혹가다 보면 왼쪽으로 지나가는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 오른쪽으로만 주르륵~ 타서 고장이 잦을것처럼 생각되긴 합니다..
2008.02.26 12:24:31 (*.150.0.242)

솔직히 정책 입안자들이 무슨 생각을 얼마나 하고 그런 안들을 내놓는지 모르겠네요. 한줄/두줄 서기도 그렇고 영어 교육도 그렇고 갑자기 평을 평방미터로 바꾸는 것도 그렇고... 이유는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고 그냥 하라고만 하니 하기도 싫고 나중에 또 바꿀건데 뭐하러 하나 하는 생각도 들고요.
2008.02.26 14:29:41 (*.47.130.115)

다양한 의견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글을 쓰고 어제밤 이런 꿈을 꿨습니다. 고속도로를 달리고 있는데 1차선만 제한속도가 140으로 상향조정된 곳이더군요. 자연스레 다들 1차선 추월차선 룰을 지키게 되고 도로효율도 정말 좋길래 참 보기 좋았는데, 라디오에서 뉴스가 흘러나오며 "1차선 추월차선을 시행했더니 1차선의 도로 바닥이 상태가 파손이 무척 많이 되었고 사고가 많이 났기에 이 제도를 폐지한다"는 내용이 나오고... 그 즉시 2차선의 차량들이 1차선으로 끼어들면서 길이 답답해지는 - -.. 유치뽕한 꿈을 꾸었다는;;;
이 글을 쓰고 어제밤 이런 꿈을 꿨습니다. 고속도로를 달리고 있는데 1차선만 제한속도가 140으로 상향조정된 곳이더군요. 자연스레 다들 1차선 추월차선 룰을 지키게 되고 도로효율도 정말 좋길래 참 보기 좋았는데, 라디오에서 뉴스가 흘러나오며 "1차선 추월차선을 시행했더니 1차선의 도로 바닥이 상태가 파손이 무척 많이 되었고 사고가 많이 났기에 이 제도를 폐지한다"는 내용이 나오고... 그 즉시 2차선의 차량들이 1차선으로 끼어들면서 길이 답답해지는 - -.. 유치뽕한 꿈을 꾸었다는;;;
2008.02.26 14:32:54 (*.47.130.115)

아, 외국의 사례도 많이 궁금합니다. 한국에서만 기계가 약한건지 혹은 당연한 수리유지를 힘겨워하는건지... 도 살짝 궁금하구요. 테드의 중강점 중 하나가 다국적 회원님들의 파워라고 생각합니다.
외국 계시는 분들께서 주변에 살짝 서베이 해보셔서 "두줄로 서서 가라"는 캠패인의 전례가 있었는지 꼭 의견 좀 부탁드립니다. ^^;;;
외국 계시는 분들께서 주변에 살짝 서베이 해보셔서 "두줄로 서서 가라"는 캠패인의 전례가 있었는지 꼭 의견 좀 부탁드립니다. ^^;;;
2008.02.26 15:03:47 (*.14.86.203)
글쎄요. 저는 마트에서도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에서 좌측으로 걸어가는걸 좋아합니다. 그런데 그앞을 막고있으면 정말 엄청난 짜증이 나더군요. 그래서 일부러 뒤에서 다가갈때 '쿵쿵쿵'하는 큰 발소리를 내면서 다가서서 무언의 '비켜라!'를 외칩니다....;;
2008.02.26 15:36:16 (*.250.114.8)
저는 두줄타기 찬성입니다. 무언가 변하기만 하면 정책탓만 하는 사람들도 좀 문제가 있다고 보구요.. 그렇게 급하면 계단으로 가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줄타기 캠패인을 이미 했으니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고장, 사고위험이 많은 모든 에스컬레이터를 교체해야 한다면.. 아마 그로 인한 정책의 무능함과 탁상행정을 논하는 사람들이 또 생기겠죠. ㅋ
2008.02.26 16:40:24 (*.162.58.146)

좌측 걸어 다니는건 참 편하던데요...
특히나 서울역처럼 사람들이 한꺼번에 확 몰리는 경우에
한쪽에서 쭉쭉 빠져 주면 좋습니다.
전 거기다 추가로 런던 어떤 지하철 역의
에스컬레이터처럼 좀 빨랐으면 좋겠습니다.
2008.02.26 17:12:16 (*.131.111.175)

여담이지만 에스컬레이터 빠르기로는 체코가 장난없지요; 엄청 깊이 파놓은데다 경사도 심하고 속도까지 빨라서 해마다 사람 여럿 죽는다고 하더군요;
2008.02.26 17:43:10 (*.254.212.129)

저도 좀 의아하긴 했는데... 두줄서기를 권장할만한 폭의 에스컬레이터가 아주 많지는 않은 것 같더라구요.. 사고가 나면 꽤 다치시는 걸 봤습니다.
저도 오래전 외국에서 처음보고...
참 괜찮다고 생각했었는데... 사고가 좀 걱정이긴 하구...
(고장은 통계치를 가지고 있는 곳에서 알것 같구요...)
하지만, 요즘에 외국나갈때..유심히 안봐서 그런지 몰라도..
꼭 express line을 가동하는 건 아닌 것 같네요... (기억을 더듬어보니..)
저도 오래전 외국에서 처음보고...
참 괜찮다고 생각했었는데... 사고가 좀 걱정이긴 하구...
(고장은 통계치를 가지고 있는 곳에서 알것 같구요...)
하지만, 요즘에 외국나갈때..유심히 안봐서 그런지 몰라도..
꼭 express line을 가동하는 건 아닌 것 같네요... (기억을 더듬어보니..)
2008.02.28 13:50:56 (*.119.143.114)
외국이 한줄로 서든 두줄로 서든 신경 쓸 일 있나요. 우리나라 사정에 맞게 필요하면 한줄이고 두줄이고 결정하면 되겠지요.
기사 보니까 한줄 서기가 사고율이 증가 했다고 하던데, 이게 사실이라면 당연히 두줄로 서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조금 빨리 가는 것 보다 모두 안전하게 가는 게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에스컬레이터가 고속도로 1차로도 아니고...
기사 보니까 한줄 서기가 사고율이 증가 했다고 하던데, 이게 사실이라면 당연히 두줄로 서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조금 빨리 가는 것 보다 모두 안전하게 가는 게 더 중요하지 않을까요? 에스컬레이터가 고속도로 1차로도 아니고...
2008.02.28 16:02:18 (*.47.130.115)

자세히 찾아봐도, 사고율이 늘었다는 부분에 상세 데이타를 제공하는 곳이 없습니다. 지하철 호선수도 계속 늘었고 잠재적으로 이용인구도 꽤 늘었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발생건수로만 통계를 낸다면 옳은 데이타는 아닙니다.
기업이든 정부든 어떤 목적을 가지고 (예를 들어 에스칼레이터 수리비용절감) 캠패인을 기획함에 있어 근거 통계치는 얼마든지 목적에 맞게 적절하도록 뽑아낼 수 있습니다.
기업이든 정부든 어떤 목적을 가지고 (예를 들어 에스칼레이터 수리비용절감) 캠패인을 기획함에 있어 근거 통계치는 얼마든지 목적에 맞게 적절하도록 뽑아낼 수 있습니다.
2008.02.28 20:04:08 (*.163.223.80)
에스컬레이터 사고율 통계 포함된 기사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네이버에서 찾았습니다.
target=_blank>http://cafe.naver.com/gunsulmedi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7551
해당기사의 근거가 되는 실제 통계 자료는 다음 링크에서 볼수 있습니다
target=_blank>http://www.kesi.or.kr/life/life_07_01.asp?s_over=16
실제 통계를 보면 좀더 문제가 심각해 보입니다. 전반적인 승강기 사고율이 올라가고 있습니다만, 에스컬레이터의 사고는 평균 승강기 사고 증가율보다 훨씬 가파르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 정도면 수리비고 뭐고 이용자의 안전을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통계치는 얼마든지 목적에 맞게 적절하게 뽑아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게 모든 통계치가 믿을수 없다는 이야기와 같은 이야기는 아닙니다.
통계치를 떠나서, 에스컬레이터에서 걸어다니는게 가만히 서 있는 것 보다 위험하다는 것은 제 생각으로는 상식 아닐까 싶습니다.
target=_blank>http://cafe.naver.com/gunsulmedi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7551
해당기사의 근거가 되는 실제 통계 자료는 다음 링크에서 볼수 있습니다
target=_blank>http://www.kesi.or.kr/life/life_07_01.asp?s_over=16
실제 통계를 보면 좀더 문제가 심각해 보입니다. 전반적인 승강기 사고율이 올라가고 있습니다만, 에스컬레이터의 사고는 평균 승강기 사고 증가율보다 훨씬 가파르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 정도면 수리비고 뭐고 이용자의 안전을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통계치는 얼마든지 목적에 맞게 적절하게 뽑아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게 모든 통계치가 믿을수 없다는 이야기와 같은 이야기는 아닙니다.
통계치를 떠나서, 에스컬레이터에서 걸어다니는게 가만히 서 있는 것 보다 위험하다는 것은 제 생각으로는 상식 아닐까 싶습니다.
이미 오래전에 1줄서기 캠페인을 TV까지 동원해서 지금까지 전파해놓고 이제와서 2줄서기라니요-_-;; 좀 어이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