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jpg)
10여년전 학생때였던가 어느 업체에 삭제된 파일 복구 작업을 도와주러 갔었었습니다.
긴 시간에 걸친 작업을 성공해내고 예상도 기대도 않았던 수고비도 받고... 밥도 먹고 함께 담소 나누다가, 워낙 고마운 느낌이었는지 그쪽분께서 "책꽂이에 맘에 드는 책 있으면 그냥 뽑아 가셔도 되요" 하더군요.
책이 워낙 많은 곳이었는데 수많은 책장중에 한 책장 전체가 for dummies 시리즈가 꽂혀 있었죠. 제가 그 책을 몇권 유용하게 읽은 적이 있었기에 눈길이 쏠렸던 것을 눈치채셨었나봅니다. 다들 아시듯 [어쩌고 for dummies] 안내서 시리즈는 대화체의 쉬운 접근으로 어려운 개념 이해를 이끌어주는 시리즈죠.
"컴퓨터까이꺼 일주일이면 전유성만큼 한다" 비슷한 필?이랄까요. for summies 시리즈는 옛날에 국내에 "깡통을 위한 어쩌고"로 나왔던 기억인데 요즘은 "천재반을 위한 어쩌고"로 번역(-_-)되어 나옵니다.
for dummies 시리즈가 정말 황당한 책들도 많다는걸 알긴 했지만, 거기서 한눈에 펼쳐놓고 보니 .... "기타 포 더미"나 "뜨개질 포 더미"까지는 끄덕거려지지만 "선물투자 포 더미"라든지 "성경 포 더미" "금광건설 포 더미" 이런건 정말이지 멍때리는 느낌이었죠. 또 반대로 "못박기 포 더미" 혹은 "변기뚫기 포 더미" 이런 책들도 엉까는 경악이었습니다 ( ㅡO-);;;
방금 아마존.com에서 for dummies를 입력해보니 "아마존에서 책사는법 포 더미" 혹은 "이베이에서 물건 사는법 포 더미" 뭐 이런 책까지 나오는군요;;;;; 영화 "에반올마이티"에 잠깐 스쳐 나왔던 "방주만들기 포 더미"도 정말 있을것 같은 느낌이랄까요 ^^.
에고 쓰다보니 서론이 길었는데 (이놈의 키보드 주화입마.. - -)
그당시 제 눈에 빡 띄었던 책 한권. "NASCAR for dummies"였습니다.
그래서 염치없이 그책을 뽑아 들고 감사히 가져왔었드랬죠. Mark Martin 이라는 나스카 레이서 분이 쓴것이었는데 ^^;;; 밤마다 취침전 독서용으로 나름 재미있게 읽었었습니다.
그책의 내용중에는 포드 토러스에 대해서 극찬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몇몇년도 무렵 나스카 경기에서는 포드사의 토러스가 다른 차량에 비해 너무 진가의 성능을 발휘하여 수차례 상위 랭킹을 휩쓸게되자 협회에서는 토러스에 핸디캡을 적용하여 反리어스포일러 장착을 의무화하여 랩타임을 떨어뜨렸다"고 되어 있었던 기억입니다. (정확한 원문을 적고 싶지만, 책을 뒤적거려 찾는 귀차니즘 압박이... - -)
그래서 저는 10여년 전에 "아 토러스는 굉장히 내실이 좋은 차구나"라고 개념을 잡고 있었죠.
그런데 사회에 나와서 차에 관심을 가지다보니, 토러스에 관한 얘기는 정말 접하기 힘들군요. 물론 길에서 가끔씩 마주치지도 힘들고요.
얼마전 테드에서 토러스 SHO에 관한 글을 읽고 "토러스 화두는 오랜만인걸" 했었는데, 그날 차를 몰고 테헤란로를 가다보니 라디오에서 토러스 광고가 흘러나왔습니다.
"토러스도 정발되는군. 이클립스도 토러스도 둘다 어릴때 좋아하던 차였는데... 둘다 정발되는 최신 모델에는 왠지 오히려 관심이 별로 안가네. 옛날것이 이뻤는데..."
하는 생각이 스쳤습니다. 영화 "아메리칸 뷰티"에서 케빈이 몸만들고는 옛날차를 사는 심정이 급이해 갔다고 할까요.
그런데 정작 저는 토러스에 대해 잘 아는바가 없습니다. ^^;;; 왜 별로 이야깃거리가 되지 않을까요? (책의 저자 마크마틴이 혼자 좋아하던 차인가 - -??)
그래서 토러스는 과연 어떤차인지 테드 여러분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
2008.02.28 17:27:43 (*.205.6.41)

NASCAR는 원래 시판용 차들로 벌이는 레이스로 출범했으나 70년대부터 시판차와 경주차의 차이가 심화되어 80년대부터는 내용면에서 양산차와 완전히 다른 차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외부 패널중 보네트, 루프, 트렁크는 양산차와 똑같은 형상의 패널을 사용해야 하기때문에 외형적으로는 비슷한 요소가 있었죠. 나스카 중계나 나스카를 다룬 다큐멘터리를 보실때 곡선자같이 생긴 것을 보네트, 지붕, 트렁크에 올려놓고 그 접촉부를 살펴보는 장면을 보신 분도 계실텐데 이런 방법으로 외부패널이 규정대로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예전에 실차크기보다 살짝 작은 차를 만들어 우승을 했다가 적발된 사례가 있었거든요. 차의 크기가 줄어들면 전면투영면적도 줄어들어 공기저항이 작아집니다. 그런것을 이용한 반칙이었죠. 아무튼 토러스가 나스카 경주용차로서는 상당한 경쟁력이 있었겠지만 그건 나스카 트랙에 한정된 이야기입니다. 시판 토러스는 전륜구동이지만 나스카 경주용차는 모두 후륜구동이고 외부 패널 일부를 제외하면 양산차와 닮은 구석도 없는 차거든요. 더군다나 올해부터는 COT (Car Of Tomorrow)라 하여 팀 구분없이 섀시와 바디까지 똑같은 차들이 투입되기 시작합니다. COT가 투입되면서 Stock Car Race가 아니라 Spec Car Race로 바뀐다고 한탄하는 나스카 팬들도 많습니다.
2008.02.28 17:30:31 (*.145.111.72)
물론 개인적이기는 하지만 토러스는 1세대 이후로 정말 제 마음에 하나도 들지 않는 차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도 2세대의 어중간함으로 판매량에서 큰 손해를 보았고, 무엇보다 토러스에 대한 사람들의 좋은 생각을 나쁘게 만들어놓았습니다. 그 당시에 포드의 품질에 영향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구요. 그 후에 3세대 모델이 나왔지만 렌터카 제고로만 남을 정도로 메이커에 득이 되지 못하고 해가 됐던 게 사실입니다.
그리고 현행으로 판매되는 토러스가 4세대로 접어드는 파이브헌드레드의 F/L 모델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품질도 훨씬 나아지고 엔진도 파워풀하다고는 하는데.....
포드 토러스는 저한테 있어서 '아니올시다'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저만의 생각일지도 모르겠지만요.....
실제로 미국에서도 2세대의 어중간함으로 판매량에서 큰 손해를 보았고, 무엇보다 토러스에 대한 사람들의 좋은 생각을 나쁘게 만들어놓았습니다. 그 당시에 포드의 품질에 영향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구요. 그 후에 3세대 모델이 나왔지만 렌터카 제고로만 남을 정도로 메이커에 득이 되지 못하고 해가 됐던 게 사실입니다.
그리고 현행으로 판매되는 토러스가 4세대로 접어드는 파이브헌드레드의 F/L 모델 정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품질도 훨씬 나아지고 엔진도 파워풀하다고는 하는데.....
포드 토러스는 저한테 있어서 '아니올시다'라고 생각됩니다. 물론 저만의 생각일지도 모르겠지만요.....
2008.02.28 20:05:07 (*.229.116.62)

권규혁님 소개대로, 나스카는 영화 '폭풍의 질주'를 보셨다면 알겠지만, 규정대로 제작된 프레임샤시에, RC카처럼 FRP 로 만든 뚜껑을 씌운 모델이여서 엔진과 운동성이 전혀다릅니다. 헤드라이트와 그릴까지 모두 스티커로 붙이거나 그려진..ㅋ 시작은.. 미국에 금주법이 있던 시절, 밤 하이웨이로 밀주를 운송하던 총알기사 출신들이 실력을 겨루기 위해, 언더그라운드 배틀을 벌이면서부터인 걸로 압니다. 올시즌 부터 국내 CJ 전에도 스톡카 레이스가 투입된다네요.
토러스는 86 년경 출시된걸로 기억하는데, 당시 일본차에 밀려 고전을 면치못하던 미국차들에 새바람을 일으켜, 카오브더 이어와 베스트셀링한 모델로 압니다. 둔중한듯 공기역학적인 물방울 형상 디자인으로 센세이션을 일으켰죠. 87 년 영화 '로보캅'에 페트롤카로 등장해 출동장면에서 강력한 전륜휠스핀을 일으키는 다이나믹한 장면으로, 전세계적으로 FF 구동차를 유행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서울시내에선 미군택시가 대부분 크라이슬러 플리머스아니면 토러스였죠. 로보캅 이후로, 미군택시만 봐도 가슴이 설레였죠.^^
형제차였던 머큐리 세이블이 기아에서 수입,조립생산되어 국내에도 꽤 굴러댕겼는데..전체비례는 비슷했지만, 유약한 프론트 모습으로 토러스만한 카리스마는 느낄 수 없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무난한 3천씨씨 승용차였지만, 외산차가 드물던 그시절엔 시선을 고정시키게 되는 멋진차로 비춰졌지요. 로보캅에서의 무광검정 토러스는 압권이였습니다. 유후~ 이후엔 지나치게 굴려지고 얍삽해진 디자인땜에 1세대의 우직한 맛이 없어져 별 관심이 안갔던거 같아요.
이번에 파이브헌드레드의 이름을 다시 토러스로 바꾸면서, 국내에서 저렴하고 무난한 차로 다시 사랑을 받게되어가는 느낌입니다. 좀 단조롭지만 심플한 프론트와 리어뷰가 슬쩍 벤츠를 연상케도 하고, 옆에 지나칠때 보면 나름 존재감이 어필되는거 같아, 시선을 끕니다.
토러스는 86 년경 출시된걸로 기억하는데, 당시 일본차에 밀려 고전을 면치못하던 미국차들에 새바람을 일으켜, 카오브더 이어와 베스트셀링한 모델로 압니다. 둔중한듯 공기역학적인 물방울 형상 디자인으로 센세이션을 일으켰죠. 87 년 영화 '로보캅'에 페트롤카로 등장해 출동장면에서 강력한 전륜휠스핀을 일으키는 다이나믹한 장면으로, 전세계적으로 FF 구동차를 유행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서울시내에선 미군택시가 대부분 크라이슬러 플리머스아니면 토러스였죠. 로보캅 이후로, 미군택시만 봐도 가슴이 설레였죠.^^
형제차였던 머큐리 세이블이 기아에서 수입,조립생산되어 국내에도 꽤 굴러댕겼는데..전체비례는 비슷했지만, 유약한 프론트 모습으로 토러스만한 카리스마는 느낄 수 없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무난한 3천씨씨 승용차였지만, 외산차가 드물던 그시절엔 시선을 고정시키게 되는 멋진차로 비춰졌지요. 로보캅에서의 무광검정 토러스는 압권이였습니다. 유후~ 이후엔 지나치게 굴려지고 얍삽해진 디자인땜에 1세대의 우직한 맛이 없어져 별 관심이 안갔던거 같아요.
이번에 파이브헌드레드의 이름을 다시 토러스로 바꾸면서, 국내에서 저렴하고 무난한 차로 다시 사랑을 받게되어가는 느낌입니다. 좀 단조롭지만 심플한 프론트와 리어뷰가 슬쩍 벤츠를 연상케도 하고, 옆에 지나칠때 보면 나름 존재감이 어필되는거 같아, 시선을 끕니다.
2008.02.28 21:27:11 (*.215.1.88)

우리나라로 치면 소나타 2,3정도의 위상으로 보시면 정확하고...가정용 세단으로 참 좋은 차입니다.. (다만 국내정서엔 조금 편의장비가 안맞는..) 철저하게 미국인들의 입맛에 맞게 만든차인만큼 당연한걸수도... 엄청나게 커보이는 겉모습에 비해 공차중량은 생각보다 꽤 가벼운편이고.. 가장 인상깊었던 점은 바로.. 엔진...
아.. 마무리가 좀 거칠고 인테리어 디자인이나 편의성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역시 공업대국에서 만든 엔진은 뭔가 다르구나..라는 생각을 하게해준 차였죠.. (이번에 나오는거말고 -ㅇ-;; 이전에 나온 토러스 마지막모델이였습니다.)
풍부한 토크감에 고회전으로 올라가도 회전질감이 꽤 좋습니다..(물론 BMW같은 유럽차와는 조금 다른 느낌..) 오토미션도 4단인게 아쉽지만 궁합이 꽤 잘맞는 편이고.. 연비도 동급의 다른 엔진들에 비해 평균이상은 나오더군요. 2년넘게 타면서도 얼라인먼트가 한번도 틀어진적이 없었던 점도 국산차와 달랐던 점..
다만 엔진성능을 못따라가는 섀시와 서스의 물컹한 느낌이 빨리 달리기엔 조금 무리 ^^;;
아.. 마무리가 좀 거칠고 인테리어 디자인이나 편의성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역시 공업대국에서 만든 엔진은 뭔가 다르구나..라는 생각을 하게해준 차였죠.. (이번에 나오는거말고 -ㅇ-;; 이전에 나온 토러스 마지막모델이였습니다.)
풍부한 토크감에 고회전으로 올라가도 회전질감이 꽤 좋습니다..(물론 BMW같은 유럽차와는 조금 다른 느낌..) 오토미션도 4단인게 아쉽지만 궁합이 꽤 잘맞는 편이고.. 연비도 동급의 다른 엔진들에 비해 평균이상은 나오더군요. 2년넘게 타면서도 얼라인먼트가 한번도 틀어진적이 없었던 점도 국산차와 달랐던 점..
다만 엔진성능을 못따라가는 섀시와 서스의 물컹한 느낌이 빨리 달리기엔 조금 무리 ^^;;
2008.02.28 21:30:00 (*.215.1.88)

아.. 그리고 토러스가 평가절하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위에도 언급된 렌터카의 무분별한 보급이였는데요... 렌터카로 나오는 엔진과 우리나라에서 판매되었던 듀라텍엔진과는 다른 엔진입니다. 보통 미국에서 렌터카로 토러스 타보셨던 분들은 상당히 안좋은 인상을 가지고 계시더라구요..(전 렌터카엔진은 안타봐서 어떤지 잘 모름..)
2008.02.28 23:26:31 (*.131.111.175)

3세대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은 꽤 깔끔하고 괜찮다라는 인상을 받았었는데...ㅎ
3세대 페이스리프트 이전 모델은 이해하기 힘든 디자인이랄까요... -_-;;
3세대 페이스리프트 이전 모델은 이해하기 힘든 디자인이랄까요... -_-;;
2008.02.29 03:31:02 (*.47.130.115)

많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익렬님 글을 보고 "아차 로보캅 깜장빽차 얘기 빼먹었구나" 싶었습니다 ^^;; 많이 좋아했었는데. 그러고보니 토러스는 세대간 외관차이 폭이 좀 큰것 같기도 하고..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08.02.29 03:47:17 (*.233.12.94)
백차.. 우리말로 경찰차 순찰차.. 고속도로에서 자주보는 차네요. 매년 미국으로부터 100대씩 정부가 구매한다는군요.. 이유는 미국차를 한국에서 사지 않아서.. 이더군요.. 미국엔 차를 수만때씩 팔는데.. 형평성때문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