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이번으로 네번째 만화가 지면을 탔군요.
위 그림은 처음 전륜과 후륜 이야기를 풀어나갈 때 만들어본 러프입니다.
후륜이 너무 강조되어 있어 수정이 된 거죠.
동물을 비교한 이야기는 제가 수년 전 이동희님을 통해 처음 접했습니다.
당시는 투스카니 출시 전이었는데, 현대자동차에서 일본 출장을 다녀오신 분이 스카이라인
1세대부터 R32까지의 개발을 담당한 사쿠라이씨와의 면담 내용을 차세대 스포츠카 패널에
출장보고로 올린 내용에 나와있었고 그 부분을 이동희님께서 제게 보여주셨습니다.
나중에 그 엔지니어 성함이 ‘사쿠라이 마사이치로’ 씨라는 것과 아주 작게 나온 사진도
입수하게 되었죠.
그리고 만화를 그리면서 예전에는 신경 쓰지 않던 부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여성캐릭터의 옷도 상당히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고 자동차가 달리는 그림에선
배경을 그리는데 차를 그리는 것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기도 합니다.
예전에 다른 주에 출장 중 어린 따님 둘이 있는 지인의 집에 방문을 하는데 제 차가 따로
있었던 게 아니라서 가던 길에 선물을 준비하지 못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곰, 강아지 등을 비롯한 동물캐릭터들을 그려주었는데 그때 받은 조금
황당하면서도 당연한 리퀘스트가 있었습니다.
꼬마숙녀들에게서 나오기엔 너무나 당연한 건데 말이죠.
“공주 그려주세요……드레스 입은 공주요.”
“저기…… 얘들아.. 수영복은 안되겠니?”
“…”
“에어로빅 옷도 가능해. 공주도 운동 할거 아니겠니.”
(빅토리아 시크릿도 일부 품목은 가능한데..라는 얘기까진 못 꺼냈고….)
이런 특이한 경우를 대비해 여성복 그림을 열심히 연습할 필요는 없겠지만 만화를 그리면서
등장 캐릭터의 옷에도 신경을 쓰지 않을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동물 캐릭터들은 그래도
아무렇게나 입히면 되는데 여성캐릭터의 경우 만화가 신문에 실릴 시기에 맞으면서도
적당한 옷을 골라주어야 하니까요. 결과물로 볼때는 별 것 아니지만 운전자세 에피소드를
그릴 때 쓸만한 스키복 이미지 찾는데 걸린 시간도 꽤 됩니다.
아무튼 만화를 위한 그림을 그리는 것도,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도 경험이 부족하다 보니
발생하는 문제들도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만화 특성상 글을 최대한 축약할 수밖에 없다 보니 제 표현력 부족으로 의도한 것과 다르게
해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어차피 어느 글이나 만화에서도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나 문구를
찾아내는 분들은 항상 있습니다. 김주영님께서는 제가 오로지 후륜만이 고급이라고 표현한
것으로 받아들이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의미는 아니었습니다.
단지 고급성을 추구하는 차에는 후륜구동이 더 어울린다는 일반적인 이야기였고 고급성
보다는 코스트가 더 중요한 보통의 니어럭셔리급은 전륜구동으로도 의도한 범위 내에서의
고급스러움을 충분히 가질 수 있겠지요.
요즘 차들의 주행감성 구분이 모호해진 부분은 100% 동의합니다. 더군다나 미국에서처럼
과속에 따른 범칙금이 어마어마한 경우 일상주행에서는 그 차이를 느끼기 어렵지만 가끔씩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는 상황도 맞이하게 됩니다.
그리고 거꾸로 이야기하자면 고급성이나 스포츠성을 추구하지 않으면서도 후륜구동인 차가
있던가요? 픽업트럭 같은 경우는 당연히 논외로 쳐야 할테고 전륜구동 기술력이 없는 경우,
또는 피아트 124에 바탕을 두고 있는 라다의 일부차종 등을 예로 들 지 말고 찾아보면 딱히
생각이 나지 않는군요. 주어진 길이도 짧고 원고료도 얼마 되지 않으며 차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개략적인 설명 이상을 끌어낼 수도 없는
만화에 너무 많은 것을 바라시는 건 아니신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리어카를 앞에서 끌고 뒤에서 미는 것의 차이에 대한 비교는 제가 생각해 낸 것은
아니고 예전에 학창시절에 레이스팀 선배에게 처음 들은 적이 있었고 그 이후에도 몇 번
들은 비유입니다. 이번 만화 초기 파일럿본을 보신 다른 동호회원께서 썰매의 예를
들어주셨기에 다시 수레를 끌고 미는 이야기가 생각이 나서 포함을 시킨거였죠.
에혀~~ 이제 또 다음 에피소드 뭐하나 고민해야겠습니다.
2008.03.18 17:45:43 (*.145.162.179)

신형 어코드를 타보진 않았지만 이번 제네시스는 시승한 사람들이 TG 랑 비슷한 정도의 언더스티어 셋팅이라고 느껴진다고들 하더군요. 현대에서 대한민국 보통 운전자에게는 이정도 레벨의 언더스티어 셋팅이 제일 잘 어울린다고 설정한 듯 싶습니다. 전륜이건 후륜이건 비슷한 언더스티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보면 현대 팀의 능력에 신뢰가 가네요. b^^
2008.03.18 23:01:53 (*.127.196.45)
빅토리아 시크릿은...? 네이버지식검색 해봐야겠습니다 ^^
가족간의 소소한일 하나 하나에도 신경이 많이쓰이는데 대중에게 지식을 전달하기위한 목표로 만화를 그릴때 얼마나 많은 고심이 있으셨는지 설명과 그림의 디테일을 보면서 조금이나마 알게된같습니다 좋은만화 계속 부탁드립니다 ^^
가족간의 소소한일 하나 하나에도 신경이 많이쓰이는데 대중에게 지식을 전달하기위한 목표로 만화를 그릴때 얼마나 많은 고심이 있으셨는지 설명과 그림의 디테일을 보면서 조금이나마 알게된같습니다 좋은만화 계속 부탁드립니다 ^^
2008.03.19 03:20:40 (*.79.156.51)

다음 에피소드는 ABS와 TCS, DSC( VDC) 등 적극적 안전개념을, 그 다음엔 세이프티 케이지, 크럼플 죤, 에어백, 안전벨트 착용법 등 수동적 안전 개념을 다루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 다음엔 운전자의 자가 정비 중요성 등 등을......
ABS 하나만 하더라도 한 회 분량은 되지 않을지요?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그 다음엔 운전자의 자가 정비 중요성 등 등을......
ABS 하나만 하더라도 한 회 분량은 되지 않을지요?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2008.03.19 16:30:48 (*.113.182.2)
전륜/후륜 모두 장단점이 있고, 양쪽모두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단점이 점점 줄어들고있는 것이 구동방식에대한 기본적 이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고급차에는 후륜적용방식이 더어울린다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다 장단점이 있는데 왜 고급차에는 후륜방식이 더 많이 채택되고 있는 것일까요...이것은 앞서 언급되었던 무게배분과 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고급차종일수록 기통수가 많아지는 것은 당연하고요, 이에따라 점점 엔진이 무거워지게 되며, 전륜만으로 조향과 구동 모두를 감당하기에는 버거워지는 것이죠(주행성능에서 발란스가 안나오겠죠)..따라서 고배기량으로 갈수록 후륜구동방식채택의 빈도수가 높아지며, 이것은 고배기량의 스포츠카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겁니다. 후륜만의 무게배분 특성의 향상에서 오는 감성적인 핸들링이라던지 등의 이유로 고급차는 후륜구동이 많다라는것을 설명하는것은 무리라고 보입니다... 만화의 내용은 매우 재미있는 캐릭터를 활용하여 알기쉽게 묘사가 되었습니다만...대중적인 매체로서의 역활을볼때 좀더 객관적으로 내용이 보강되어져야 할것같습니다.
2008.03.19 22:55:02 (*.79.156.51)

손지훈 님의 말씀도 일리가 있으나, 객관적이지 않다는 지적은 적절치 않은 것 같습니다.
권규혁 님의 말씀도 맞겠고 지적하신 바를 모르시지 않으실 겁니다.
고급 승용차에서 핸들링&스티어링 필은 빼놓을 수 없습니다.
적절한 중량 배분이 이 것에도 유리하고, 중량 배분은 승차감과 회두성에 영향을 미치고...
써스펜션 지오매트리도 영향을 미치지만 기본적으로 토크가 가장 많이 걸리는 구동바퀴가 어디에 있느냐가 타이어 슬립 앵글과 관련하여 스티어 성향을 결정합니다.
물론 FF에서도 부드럽고 세련된 스티어링 필을 구현할 수 있을지 모르나 여러 제약이 따르며, 특히 토크스티어라도 생긴다면 분명 마이너스 요인이 됩니다.
권규혁 님의 말씀도 맞겠고 지적하신 바를 모르시지 않으실 겁니다.
고급 승용차에서 핸들링&스티어링 필은 빼놓을 수 없습니다.
적절한 중량 배분이 이 것에도 유리하고, 중량 배분은 승차감과 회두성에 영향을 미치고...
써스펜션 지오매트리도 영향을 미치지만 기본적으로 토크가 가장 많이 걸리는 구동바퀴가 어디에 있느냐가 타이어 슬립 앵글과 관련하여 스티어 성향을 결정합니다.
물론 FF에서도 부드럽고 세련된 스티어링 필을 구현할 수 있을지 모르나 여러 제약이 따르며, 특히 토크스티어라도 생긴다면 분명 마이너스 요인이 됩니다.
2008.03.22 13:59:38 (*.214.132.93)

뉴욕 오토쇼에 다녀오느라 이제서야 손지훈님의 답글을 보았습니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구동방식으로 인한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자동차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누구나 다 아는 이야기입니다. 윗글 본문에도 이야기 한 적이 있고 그 전의 다른 게시물에도 밝힌 적이 있습니다만 짧게 축약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보니 읽으시는 분들이 제 의도와 다르게 해석하실 수 있는 요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솔직히 이번 만화에도 한두줄만 더 집어넣을 수 있었으면 좀 더 자세하고 구체적이면서 일반인들이 알아듣기 부담없이 설명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만 주어진 지면은 언제나 한정이 되어있습니다. 짧게 줄이다 보면 오해의 여지가 많아진다는 점은 인정하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만화를 그리는 도중 콘티 상태에서 소규모 동호회 두곳에 올려서 그곳 회원들의 의견을 듣고 반영할 수 있는 부분은 최대한 반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객관성이 보강되어야 한다는 부분에 대해서 대답을 원하신다면 '저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자신합니다. 물론 사람이다 보니 주관이 들어갈 수밖에 없겠지만 손지훈님도 자신이 남에게 지적을 할때 그 지적내용이 객관적이신지 한번 살펴보시는 건 어떨까요? 제 주관적으로 손지훈님의 답글에 대해 보자면 결국 같은 결론이 나오는 이야기를 놓고 지원님이 생각한 내용이 설명되어있지 않으니 제 만화의 객관성이 결여되었다고 지적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