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날씨도 따뜻해지고 그동안 벼르고 있던 브릿지스톤의 RE01R을 M5에 신겨주기로 했습니다.

요코하마 네오바와 동급이지만 일본 현지에서는 10% 정도 높은 가격에 판매되고 있고, 네오바의 명성을 누르기 위해 개발된만큼 둘 모두를 장시간 써본 유저들은 RE01R에 조금 더 높은 점수를 주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사이즈는 앞 235/40.18, 뒤 265/35.18 WR그레이드입니다.


워낙 스포츠성이 강한 타이어이기 때문에 옆모습이나 트레드나 모두 상당히 단조롭습니다. 그냥 성능으로 이야기를 할 뿐 특별한 치장을 하지 않은 모습이 스파르탄해 보입니다.

그동안 사용하던 OZ휠 대신 몇년동안 창고에서 썩고 있던 Hamann휠을 꺼내서 이쪽에 장착하기로 했습니다.

Hamann 2피스 PG2는 유러피언 휠들이 대개 그렇지만 제법 무겁습니다. OZ와 비교해도 뚜렷이 무겁게 느껴지지만 살벌하게 튼튼한 장점이 있으며, 단조림의 경우 만약에 휘더라도 수리가 수월합니다.

작업은 양재동에 있는 영모터스에서 진행했으며, 이곳에 22인치 휠까지 조립할 수 있는 장비가 있어 18인치이지만 무지 단단한 타이어를 조립하는데 전혀 무리가 없었습니다.


마침 Audi R8이 엔진오일 교환을 위해 와 있었습니다.

새로 조립한 휠의 방향성을 확인하고 좌우 어느쪽에 장착할 것인지 결정하는 중입니다.

두 휠은 모양의 성격이 다르지만 공통점은 약간 각진 구형 BMW에는 deep dish 스타일이 잘 어울린다는 평소의 소견에 아주 충실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기에는 RE01R쪽이 디자인 특성상 폭이 좁아보이는데 실제로 앞뒤 모두를 재어보니 폭은 실제로 같았습니다. 참고로 네오바는 동급대비 실제 폭과 직경이 미세하기 약간 큰 편입니다.


OZ와 하만이 서로 다른 허브링을 요구하는데, E34의 경우 E39 5시리즈보다 허브의 직경이 1.5mm작습니다. 즉 내경이 72.5mm가 맞으며, 대부분의 BMW 전용휠이 내부직경 74mm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주 얇은 허브링이 필요합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허브링이 찌그러지면서 파손된 것이 확인되어 4개를 선반가게에서 깍기로 하고 정확한 직경을 다시 재고 있는 모습입니다.


토요일도 주문만하면 언제든지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 허브링을 만들 수 있는 나라는 전세계에 아마 우리나라 밖에 없을 겁니다.


장착이 완료되었습니다.


토크렌치를 이용해 정확하고 일정한 토크로 너무 과하지 않게 조이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동안 사용하던 미쉐린 파일럿 스포츠도 상당히 좋은 타이어였습니다. 하지만 전륜이 공기압을 높여도 태백서킷 마지막 코너에서 옆이 누으면서 사이드 마모가 심해지는 것을 피할 수 없었기 때문에 좀 더 사이드 월이 강한 타이어가 아니면태백에서는 조금 부족용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었는데, RE01R이 이점에서는 큰 만족을 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완전히 장착을 완료해 놓고 보니 좀 더 강한 포스가 느껴졌습니다.


휠 타이어 작업이 단순한 작업으로 보일지라도 이런 작업속에서도 작업자의 숙련도가 상당히 요구 됩니다. 차를 리프트시킬 때 밑에 고무바킹을 두는지, 토크 렌치를 사용하는지, 공기압을 맞출 때 오너에게 최소한 선호하는 공기압이 있는지 물어본다든지, 휠을 다룰 때 기스가 나지 않게 조심스럽게 다루는지, 볼트를 뺄 때 볼트가 림에 떨어지지 않게 복서알과 함께 조심스럽게 작업하는지, 이 모든 것이 제게는 너무나 중요한 요소입니다. 때문에 휠 타이어 조립과 같은 단순 작업도 가급적이면 장안평에서 하지 않는 편입니다.

작업은 대단히 만족스러우며, 현재 32psi로 맞춰놓은 상태입니다.
네오바가 보통 26~28psi를 넣었던 경험상 RE01R의 경우도 나중에 여러번 수정할 것으로 고려해서 조금 낮은 공기압에서 출발하려고 하며, 현재 시내에서의 느낌은 생각보다 부드럽고, 조용하다는 점이 맘에 들었습니다.
타이어의 그립이 높아진 것이라고 가정했을 때 여러가지 테스트를 거친 후 서스펜션의 높이나 댐퍼압에 약간의 변화를 줘야할 필요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서스가 가진 용량에 비해 그립이 눈에 띄게 높아지면 코너링 스피드가 상승하는 것만큼 롤이 커지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KW Variant 2 댐퍼의 압력은 앞뒤 모두 중간보다 약간 더 강한쪽으로 세팅되어 있습니다.
시간을 가지고 여러가지 테스트를 진행한 후 RE01R에 대한 좀 더 자세한 평가를 해볼 예정입니다.
-tesetkwon-
- IMG_9318.jpg (118.6KB)(0)
- IMG_9319.jpg (105.7KB)(0)
- IMG_9321.jpg (138.2KB)(0)
- IMG_9323.jpg (90.6KB)(0)
- IMG_9325.jpg (158.5KB)(0)
- IMG_9327.jpg (84.3KB)(0)
- IMG_9343.jpg (67.9KB)(0)
- IMG_9345.jpg (63.3KB)(0)
- IMG_9346.jpg (66.4KB)(0)
- IMG_9347.jpg (129.2KB)(0)
- IMG_9349.jpg (129.5KB)(0)
- IMG_9350.jpg (130.2KB)(0)
- IMG_9351.jpg (119.8KB)(0)
- IMG_9353.jpg (103.8KB)(0)
- IMG_9354.jpg (67.0KB)(0)
- IMG_9355.jpg (70.6KB)(0)
- IMG_9357.jpg (114.3KB)(0)
- IMG_9366.jpg (145.0KB)(0)
- IMG_9369.jpg (101.9KB)(0)
- IMG_9370.jpg (94.9KB)(0)
- IMG_9371.jpg (94.4KB)(0)
- IMG_9372.jpg (126.4KB)(0)
- IMG_9376.jpg (56.2KB)(0)
- IMG_9379.jpg (49.9KB)(0)
- IMG_9380.jpg (122.8KB)(0)
- IMG_9382.jpg (65.5KB)(0)
- IMG_9383.jpg (57.9KB)(0)
- IMG_9386.jpg (64.7KB)(0)
- IMG_9390.jpg (63.4KB)(0)
2008.03.23 12:46:25 (*.53.92.43)

일본 현지에서 BS의 RE01R의 후속 모델로 RE11이라는 모델을 출시하였더군요.
01R의 좌우 대칭 디자인과는 달리 비대칭으로 디자인 되어 있으며 서킷에서의 테스트 데이터를 보니 01R보다 더 빠르고 미세하게 나마 제동거리도 더 짧은 것으로 나왔습니다.
가격도 현재 일본에서 팔리고 있는 UHP 타이어 중에서는 최고더군요..^^
성환님 말씀대로 BS의 빠른 행보에 어드반 및 기타 타이어 브랜드들은 어떤 후속 모델을 내 놓을지 사뭇 궁금해집니다...
01R의 좌우 대칭 디자인과는 달리 비대칭으로 디자인 되어 있으며 서킷에서의 테스트 데이터를 보니 01R보다 더 빠르고 미세하게 나마 제동거리도 더 짧은 것으로 나왔습니다.
가격도 현재 일본에서 팔리고 있는 UHP 타이어 중에서는 최고더군요..^^
성환님 말씀대로 BS의 빠른 행보에 어드반 및 기타 타이어 브랜드들은 어떤 후속 모델을 내 놓을지 사뭇 궁금해집니다...
2008.03.23 12:50:10 (*.240.210.62)

흐~ 중미산에서 Re01R 특유의 그~그~극~ 거리는 소음을 느겨보시죠.. ^^
단면이 라운드형인 타이어가 코너에서 접지 면적은 더 많다고 합니다...
네오바와 다른 부분이죠...
단면이 라운드형인 타이어가 코너에서 접지 면적은 더 많다고 합니다...
네오바와 다른 부분이죠...
2008.03.23 15:17:19 (*.22.116.168)
제가 구하고 있는 싸이즈의 휠과 타이어네요.^^
OZ 노바(맞지요?) /PG2 림이 멋집니다.
제 경우엔 브레이튼 FRAME으로 가려고 생각중입니다.(타이어마모가 끝나는시점)
bmw에겐 휠의 림 깊이가 더 돋보이는듯합니다.
타이어 탈착만 봐도 그 샾의 수준이나 마인드를 잘 알수가 있습니다.
임팩으로 아무리 돌려도 토크렌치 한방 이면 그것에 감동받습니다.
OZ 노바(맞지요?) /PG2 림이 멋집니다.
제 경우엔 브레이튼 FRAME으로 가려고 생각중입니다.(타이어마모가 끝나는시점)
bmw에겐 휠의 림 깊이가 더 돋보이는듯합니다.
타이어 탈착만 봐도 그 샾의 수준이나 마인드를 잘 알수가 있습니다.
임팩으로 아무리 돌려도 토크렌치 한방 이면 그것에 감동받습니다.
2008.03.23 15:59:22 (*.140.139.247)

이것도 W급이군요..
아.. 와인딩에서도 쓸만한 Y급 타이어를 구하는건 참 쉽지 않네요..
맘에 드는 타이어가 있어도 사이즈와 물량이 없는 경우가 많고..
아.. 와인딩에서도 쓸만한 Y급 타이어를 구하는건 참 쉽지 않네요..
맘에 드는 타이어가 있어도 사이즈와 물량이 없는 경우가 많고..
2008.03.23 16:41:32 (*.64.78.163)

하드코어 타이어를 준비하는 시즌이 오긴 왔군요..ㅎㅎ
RE01R 좋은 선택이십니다..^^ 제 경험으로는 FF보다 FR에 더욱 좋은 매칭을 보여주더군요. 배타고 넘어올 RE-11이 기다려 집니다.. 후후~
RE01R 좋은 선택이십니다..^^ 제 경험으로는 FF보다 FR에 더욱 좋은 매칭을 보여주더군요. 배타고 넘어올 RE-11이 기다려 집니다.. 후후~
2008.03.23 17:54:24 (*.106.75.76)

오 RE-01R 꼭 써보고 싶은 타이어입니다. 네오바의 그립에 조용하고 승차감도 좋다더군요. 안타깝게도 네오바나 RE-01R 둘다 제 타이어 사이즈에 맞는놈이 미국에 수입이 늦게 되는 바람에 어드반 스포츠를 쓰고 있습니다만 다음 타이어는 RE-01R 이나 후속편 11을 꼭 써보고 싶네요. ^^
2008.03.23 18:07:51 (*.229.116.62)

트레드블럭 패턴이 썩~마음에 듭니다.
권영주님 M5 와 영오토의 익스테리어가 이국적인 풍경으로 다가오네요. 타이어 휠 탈착작업 공정도 마음에 들지만, 옆의 R8 차체에 보호용필름을 덧대어 놓고 오일교환 작업중인 모습에 신뢰감이 가는군요.
권영주님 M5 와 영오토의 익스테리어가 이국적인 풍경으로 다가오네요. 타이어 휠 탈착작업 공정도 마음에 들지만, 옆의 R8 차체에 보호용필름을 덧대어 놓고 오일교환 작업중인 모습에 신뢰감이 가는군요.
2008.03.23 19:03:58 (*.138.171.53)
전 RE-01R을 이미 장착하고 1만 마일 이상 운행 했습니다. 분명 그립에선 어떤 타이어 보다 충분한 만족감을 주었지만.... 트레드웨어가 좀 약한듯 보입니다... 네오바 처럼 지우게 타이어과로 보입니다. 참고로... 전륜임에도 불구하고... 폭설중 눈 위에선 50km/h로도 직진하기 힘들었습니다. 진정한 썸머 타이어로 보이네요.....그리고 북미에선 네오바 보단 좀 쌉니다.
2008.03.23 19:06:32 (*.138.171.53)
추가 하자면.. 1.5만 마일 운행후... 전륜과 후륜의 트레드웨어 차이는(전륜구동입니다.) 전륜 10% 미만... 후륜 80% 이상입니다.
2008.03.23 19:12:52 (*.190.6.49)

HAMANN PG2 모델은 OZ Racing OEM 의 cast wheel 입니다. Outer rim 의 flange 는 INOX stainless steel 로 만들어져 있구요. 3피스인 PG3 휠도 아우터림만 spun barrel 을 사용한 주조휠이구요. 그나마 spun cast 방식이라 PG2 보다는 조금 더 가볍지요. 유러피안튜너휠들의 무게가 무거운 이유는 대부분이 주조방식이라 TUV 인증을 받으려면 무게가 늘어날 수 밖에 없지요. 하지만, 최근에는 유럽튜너들의 휠들도 대부분 단조방식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입니다.
2008.03.24 01:04:22 (*.34.30.7)

맞습니다. 유럽도 점진적으로 단조를 선호하고 있어서 향후 나올 유러튜너들의 휠들이 사뭇 궁금해집니다. 아무튼, 멋지고 좋은 휠들만 갖고 계신 마스터님이 참으로 부럽네요. 타이어까지... ^^
근데 영모터스라는 곳에서 타이어 교환작업 시 대략 비용이 어느정도 소요될까요? 익렬님 말씀처럼 이국적인 풍경이라 가보고 싶은데, 비용을 알면 참고가 될듯해서요. 테드에 공식 광고를 기재하는 곳인만큼 좀 더 자세한 (샵에 대한) 정보가 있었으면 합니다.
날도 따뜻해지고, 튜닝은 계획 없지만 샵 한 곳은 뚫고 싶어서요.
근데 영모터스라는 곳에서 타이어 교환작업 시 대략 비용이 어느정도 소요될까요? 익렬님 말씀처럼 이국적인 풍경이라 가보고 싶은데, 비용을 알면 참고가 될듯해서요. 테드에 공식 광고를 기재하는 곳인만큼 좀 더 자세한 (샵에 대한) 정보가 있었으면 합니다.
날도 따뜻해지고, 튜닝은 계획 없지만 샵 한 곳은 뚫고 싶어서요.
2008.03.24 01:53:12 (*.251.76.82)

흠 bs 의 RE01R 타이어는 시운전을 해보았습니다.
과거 경주용 슬릭을 공도에 1년 넘게 장착하고 다녀봐서
슬릭타이어의 그 진득함을 가슴에 담고 다녔는데 와인딩에서
01R 은 슬릭에 준하는 접지력을 보여주더군요 꽤나 좋은 타이어입니다
E34 M5 에게서는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궁금하군요
과거 경주용 슬릭을 공도에 1년 넘게 장착하고 다녀봐서
슬릭타이어의 그 진득함을 가슴에 담고 다녔는데 와인딩에서
01R 은 슬릭에 준하는 접지력을 보여주더군요 꽤나 좋은 타이어입니다
E34 M5 에게서는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궁금하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