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고속화도로의 좌합류하는 경우 즉 램프를 빠져나와 고속화도로의 본선에 합류하는 상황에서 뒷차의 대응에는 분명 문제가 많습니다.
보통 고속화도로에서 진행중인 차량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차량이 합류하는 경우 합류하는 차량이 쉽게 본선에 들어올 수 있도록 공간을 내주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이는 독일과 같은 최고수준의 교통선진국에서 이미 운전면허를 따는 과정에서 교육인지 및 실습을 하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보통 고속화도로에 합류할 때 구지 3차선과 같은 끝차선에서 우선권을 주장하는 운전자들을 보면 한숨이 나옵니다.
공공도로에서는 도로의 흐름에 자신의 차량을 물흐르듯 하는 자연스런 운전이 바람직합니다.
끝차선으로 주행을 하다가도 전방 우측에서 차량이 합류하면 좌측의 여유있는 공간을 활용해 합류하는 차량이 원활하게 본선에 합류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안전운전에서는 바람직한 행동입니다.
상대적으로 2차선 달리는 차량의 입장에서 3차선의 차량이 본선합류하는 차량을 피하기 위해 상위차선으로 옮기는 경우 역시 길을 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국내의 수준 미달의 운전자들은 직진우선의 말도 안되는 개념을 이런 합류도로 상황에 적용시켜 하이빔을 켜거나 경적을 울리는 행동을 많이들 합니다.
시야가 넓고 도로의 흐름에 잘 맞추는 운전자라면 합류하는 차량이 방해에 의해 속도가 너무 줄어버려 정작 본선에 합류할 때 다른차량에 피해를 주는 상황을 피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운전을 해야 합니다.
가끔 올림픽대로나 강변북로에서 본선에 합류하는 상황에서 이런 저질 운전자들 때문에 자연스런 본선합류가 저지되면 상당히 화가나기도해 비슷한 방법으로 응징을 하고 싶은 맘이 굴뚝같기도 합니다.
비슷한 사례일 수 있는데 고속도로에서도 하위차선의 저속차량을 피하기 위해서 상위차선으로 차선이동을 하는 경우 상위차선의 속도가 하위차선에 비해 그다지 빠르지 않은 경우에도 양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일에서는 이런 경우 좀 심할 정도로 하위차선의 차들이 상위차선으로 덤비듯 들어오는 경우가 있는데, 아무런 마찰없이 묵인됩니다.
어차피 진로방해에 해당되기에는 상위차선의 속도가 이미 너무 낮은 경우에만 이런 경우가 받아들여집니다.
운전이라는 것이 상호간의 운전기술을 아우르는 소양이 갖춰져야하는데, 이런 것들이 너무 부족하고 어디에서도 배울 수 없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입니다.
-testkwon-

본선에 합류하려는 차들도 차선 끝까지 가서(우측 차로가 좁아지는 구간까지) 차례대로 합류하면 좋을것을 꼭 미리 차선을 무리해서 바꿔서 들어가려는 바람에 양 차선을 모두 막아버리는 경우가 아주 비일비재합니다. 그냥 아무 생각이 없다고밖에 보여지지 않아요. 결국 그렇게 해봤자 오히려 더 늦어지는데 말이죠.
미국을 와보니 그런 부분은 정말 잘 되있는 것 같습니다.
일단 합류하기까지 속도를 낼 수 있게 직선구간을 매우 길게해놓고 중간에 들어가지 않도록 실선입니다.
고속도로가 막히는 경우에 신호등이 동작해서 합류하는 차들을 일정 간격으로 1대씩 들여보내서 조절합니다.
깜박이를 켜고 있으면 1-3대 지나기 전에 잘 끼어줍니다.
뭐..항상 예외도 있는데...
회사가는 길에 고속도로에서 램프로 나와 일반차도에 진입하는 길에 yield가 안 써있습니다.
안 써있어도 당연히 직진차량이 있는지 확인하고 합류해야되는데...
인도인 동료분들은 쳐다도 안 보고 들어가십니다. Yield가 없으니 그게 당연한 거라네요.
인도인에게 인도교통얘기들어보면 이걸 재밌다고 해야되나 무섭다고 해야되나 모르겠습니다.

그게 도로 건설비용이라는 것이 공공의 비용이기 때문에 가속차선을 매우 길게 뽑는 다는 것은 나라가 돈이 많던지 아니면 땅 값이 싸던지.. 둘 중 하나죠. (미국은 두가지가 다 해당?) 독일은 미국 도로에 비하면 상당히 가속차선은 짧고 폭도 넓지 않은 편입니다. 하지만 리터급 디젤 소형차도 대다수 운전자가 솜씨 있게 가속을 뽑아내서 본선 진입시에 반드시 같은 속도 수준으로 들어오는 것을 봅니다. 그러니까 교육수준이 높으면 사회적비용을 적게 쓸 수 있다? 라는 결론이 가능해집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도로설계기준을 많이 가져다 썼기 때문에 가속차선에 여유가 상당히 있는 편입니다만 그렇다고 솜씨 있게 본선에 같은 속도까지 가속해서 들어오지는 않는 걸 보면 그냥 교육을 못 받아서 그렇다는 생각입니다.
캐나다에서 면허딸때, 고속도로 본선합류시 (1.9리터 소형차) 풀악셀 가까이 하지 않으면 떨어진다고 시험관이 겁줬습니다. 합류차는 능력껏 최대한 빨리 100km/h를 도달해야한다고..
본선합류차량이 본선속도에 도달하지 않는다면 합류의사가 없는것으로 간주해 비켜줄 필요도 가치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주로 운전하는 위스컨신 주와 일리노이 주에서는 본선에서 운행하고 있는 차량의 경우 본선 합류 차량이 보일 때 상위 차선으로 변경을 합니다. 심지어 갓길에 정차해 있는 차들이 있을 경우에도 대략 100 미터 뒤에서부터 다른 차선으로 변경을 하더군요. 법적인 문제도 있겠지만, 상대에 대한 배려심도 어느정도 있으니 가능하겠죠?

공감합니다. 가끔 다른 차에 동승해서 가는데 오른쪽에 합류차선에서 차들이 들어오고 있음에도 꿋꿋이 끝차선 유지하고 갈 때엔 참...제가 더 불안불안 합니다..

운전도 '센스'가 있는 사람이 안전운전하고 운전 잘한다 말도 듣게 되는것 같습니다. 군대에서도 센스있는 애들이 군생활 잘하고 없는 애들은 고참한테 혼나듯이요.
그래서 저는 타이밍이 안된다싶으면 풀가속해서 아예 앞질러서갑니다 ㅠㅠ

밀어 붙이는 직진 차량도 문제지만 합류 차선에서 직선 도로에 빨리 합류 하지 못하면 뒤에서 경적을 울리고 하이빔을 쏘아대는 조급증도 문제인것 같습니다.
홍콩의 경우는 어떤경우든 우측 차량 (우리나라의 경우 좌측 차량)이 우선권을 갖습니다. 미국처럼 땅이 넓지 못하니 합류 차선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가 많습니다. 고속도로 합류 구간을 보면 가속을 하기 보다는 차량이 많으면 일단 정지해서 기회를 보는 편입니디. 물론 직진 차량들도 가능하면 피해 주기는 합니다만 보통 합류 차선부근 에서는 빨리달리는 일차선으로 이차선 차량이 들어 오는것을 막기 위해 차선 이 실차선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차선 차량들이 실선 구간 전에 미리 차선을 바꾸지 않으면 합류차량들이 정지 해서 기다리다 합류하는 편입니다. 영국의 영향이 있어서 그런지 여기 사람들은 묵묵히 줄서는것에 별로 불만이 없는듯 합니다. 제 부사수가 독일 사람인데 여기사람들 줄 잘서는것을 보면 영국인들 같다고 하더군요.. 하지만 역시 택시나 버스 기사들은 더 무리하기 끼어드는 편입니다만 이건 어느나라를가나 같은것 같습니다.
하지만 홍콩도 예외는 있는데 유원지나 관광지에서 중국 본토 사람들이 많은곳은 한마디로 개판입니다.

궁금한게 있습니다. 사거리에서 우회전을 하는 차량에 대해서 직진하는 차량도, 양보를 하는게 맞을까요?
제 경우에는 사거리에서 직진하는차량에 우선권이 있는걸로 알고 있고, 만약에 직진하는차량이 양보하게 되면 교통흐름을 방해하는것 같아 양보는 안해줄려고 합니다..
제가 맞는걸까요?
너무나 기본적인 사항인데 이런걸 모르면서 운전하는 자체가 넌센스지요.
만약에 서로 양보하지 않는다면 결과는 뻔히 보입니다.
옆에서 끼어드는 차의 속도, 앞차와의 간격을 고려해서 양보를 할지, 앞으로 지나가야할지, 아니면 상위 차선으로 바꿔타야할지 결정해아겠지요.
끼어드는 차도 가능한 차의 속도를 본선 주행 차량에 맞춰서 끼어들어야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거구요.
내가 끼어드는 경우에는 상대방이 양보해야 하고, 남이 끼어드는 것은 용납 못한다고 하는 운전자가 너무 많은것 같네요.

요즘 출근하는 길에 2차선이 1차선으로 줄어드는 도로가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그 지점 500미터 후방은 차가 없다가
거기만 딱 가다서다를 반복하는 수준으로 막히고 거기를 지나면 다시 소통이 원활해진다는 겁니다.
왜 그런가 하고 이유를 곰곰히 생각해봤더니 합류방식의 문제였습니다.
안그래도 이 주제로 글을 한번 써 볼까 하고 고민하고 있었는데 마스터님이 선수치셨네요.
물론 불과 몇년 전만 해도 한 대씩 교차로 합류하는 원칙이 전혀 지켜지지 않았던 것에 비하면 많이 나아지기는 했지만요,
그래도 합류지점에서 공간을 내주지 않으려다가 마지못해 한 대 끼워주는 것은 여전합니다.
우합류를 저지(?)하려면 공간을 줄여야 하고 공간을 줄이려면 전체적으로 속도가 떨어져있는 것이 유리하고
서로 몸싸움(?)을 하다가도 속도가 줄어들고 하다보니
정체가 발생하는 것이죠.
그리고 또 다른 이유가 한 가지 더 있습니다.
합류지점(고속/고속화도로의 본선합류도 마찬가지입니다)에서 끝까지 가지 않고 중간에 합류하는 차들도 문제입니다.
예를 들어 본선 1,2차선에 50, 100의 흐름이 있고 우합류도로에서 50의 흐름이 공급된다고 칩시다.
상식적으로는 합류지점이 종료되면 75, 125의 소통량 정도로 재편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더군요.
우합류 50의 흐름이 줄맞춰 들어가면 그렇게 될텐데,
운전 학원은 단지 면허취득을 위한 가르침만 존재하더군요...
이런 저런 부재들을 공익광고로 함 때려주면 안될까... 생각해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