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로터스 에보라에 대한 검색을 하다가 아래의 글을 발견했습니다.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1032769
만일 추후 삭제될 경우를 대비해 캡춰본도 함께 올립니다.
기사를 처음 읽어내려갈때에는 저와 흡사한 경험을 한 기자가 쓴건가 했었습니다.
로터스 엘리스나 엑시지는 민감한 운동성능을 가진 미드엔진 스포츠카여서 이 차로 스핀을
했거나 할뻔한 드라이버들은 아마 무척 많을겁니다.
그런데 엑시지 S240으로 2008년 MPG 트랙데이에서 그런 일을 겪은 한국인이라면 아마 저 하나밖에 없을겁니다.
그 구절을 보니 저 기사가 저와 비슷한 경험을 한 분이 쓴 글이 아니라 제 글을 그냥 부분캡춰해서 베껴간 글이라는
심증이 들 수밖에 없더군요. 물론 MPG에는 저 말고도 몇분의 한국인 회원이 계십니다만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거기다가 미주중앙일보 소속의 회원은 한분도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트랙데이에서 로토스로 스핀할뻔 했던 이야기는 몇몇 동호회 게시판에 올린 글에도 적은 적이 있고
로터스 에보라 시승기를 쓸때에도 언급을 했었습니다.
위 기사의 글은 전체적인 글투로 보아 오토조인스에 기고했던 제 글을 베껴가면서 제 개인적인 에피소드까지
그대로 써버린 것으로 보입니다.
기사에는 직접 겪은 일이라고 적혀있음에도 불구하고 누가 쓴 기사인지 기자의 이름조차 나와있지 않습니다.
그것도 그렇지만 베껴가려면 그나마 좀 재대로나 베껴갈 것이지 왜 저런 구성으로 했는지도 참 의아합니다.
혹시라도 저 글을 보신 분중에 제가 MPG 트랙데이에서 겼었던 일을 다른 게시물에서 이미 보신 분이
계시다면 '권규혁이가 여기다가는 글을 이상하게 썼네?' 라고 생각하셨을 수도 있겠더군요.
기사에 주어진 공간이 짧아 전체 길이를 줄인것은 이해를 합니다. 제 시승기 원문이 참 길었으니까요.
그런데 줄이려면 중요한 내용을 추려내서 그걸 바탕으로 줄일것이지 엑시지로 스핀할뻔했던 이야기를
에보라 시승기에서 반 가까이나 할애하면서 정작 에보라의 시승평에 대해서는 단 한줄도 들어가지 않은건
뭐하자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기사를 쓰다 보면 연도나 역사 등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게 됩니다.
같은 팩트를 놓고 글을 쓰더라도 글쓴이가 다르면 그 서술방식이나 전개가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가끔 까페나 블로그등을 돌아다니다 보면 제 글이나 제가 아는 분의 글을 아주 조금만 가공해서 마치
자기 글인것처럼 하는 분들도 계시더군요.
이런분들에게는 이야기해보았자 오히려 제가 이상한 사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예전에 모 전문지에서 제 만화의 내용을 그대로 가져가 기사에 적용했던
적이 있습니다. 제가 문제를 제기하면서도 해당 잡지사측에서 사과를 할것이라 기대하지는 않았습니다.
워낙 몰상식한 경우를 많이 겪어봤기 때문이었겠죠.
그런대 해당 잡지사 편집장님께서 사실관계를 확인하신 후 몇번이나 사과를 하시고 바로잡아주셔서 참 고마웠습니다.
아마도 지금까지 제가 겪었던 비슷한 일들 가운데 유일하게 상식적으로 해결된 경우였다고 할 수 있을겁니다.
지금 위의 저 기사를 가지고 미주중앙일보측에 이의를 제기한다고 해도 이미 오래전 기사를 가지고 뭘 새삼스럽게
호들갑 떠느냐고 이상하게 보겠죠?
하지만 개인블로그도 아닌 언론사에서 남의 글을, 개인적인 경험으로 예시한 부분까지 그대로 퍼가는 것은 좀
문제가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인터넷 언론이 발달하면서 기자라 부르기도 아까운 자격미달의 사람들이 많이 유입된 듯 합니다.
저 정도면 분명히 문제될 소지가 있다고 보는데 말이죠...
자동차 쪽이 바닥이 좁은데 거기다가 미국이면... 누군지 금방 들통이 나겠네요. 뒷감당 어찌 하는지 지켜보겠습니다.
규혁님 파이팅~! ㅎㅎ

요즘 인터넷 기사들에 대한 댓글 보면 가장 쉽게 보이는 코멘트가 있죠...
"기자하기 어렵지 않아요~~~"
(절대 규혁님과 개념 기자분들께 해당되는 멘트가 아닙니다!!!)
저런 저질스런 행태가 반복되지 않도록 따끔한 충고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규혁님 힘내세요...!!

많은 조언들 감사합니다. 우선 저작권 관련 변호사를 찾아서 상담을 해보아야겠네요.
뭔가 일이 진행되면 이곳에 진행상황 올리겠습니다.

미국내 한인 언론사들이 문제가 많은것 같습니다.
저작권 뿐만 아니라 광고주에 대한 횡령 및 사기도 많이 보고 겪었습니다.
특히 한인 방송국쪽 PD들의 횡포와 직원들의 열악한 처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권규혁 님께서 확실히 일을 추진하시어서 미주 한인언론의 횡포를
조금이나마 막아주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그리고 변호사는.....유태인 변호서 추천합니다. 좋은 한인 사무장이랑 같이 일을 한다면 더욱 좋을것같습니다.
지금 다른 필드의 2가지 케이스를 진행중인데 각각 한인 변호사와 유태인 변호사입니다.
유태인 변호사와는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원활하여 별 문제가 없지만
한인 변호사는 커뮤니케이션 자체를 거부하는 스타일이라 답답하기만 한데 다른 한인변호사들도 비슷하다고 하여
앞으로 (그런일은 없어야겠지만..) 변호사를 선임할 일이 있다면 무조건 유태인을 쓰기로 마음먹었습니다.
SUE라는 말을 쉽게 꺼내사람들중, 직접 법적인 문제로 변호사와 함께 일을 해본 사람이 과연 몇명이나 있는지 궁금합니다.
해당 편집장님이 직접 여러차례 사과하셨고, 금전적인 문제나 다른 큰 피해 상황이 없는걸로 보이는데, 이런 케이스로SUE 하는 정신 나간 사람이 있는지 궁금하군요. 설령 승소했다 해서 뭘 얻는지 궁금합니다.

해당편집장님이 여러차례 사과하시고 해결된 문제는 미주 중앙일보건이 아니라 예전에 있던 다른 사건입니다.
저에게 소송에 대해 조언해주신 분들은 이미 잘 해결된 예전의 다른 일을 말씀하시는게 아니라 이번에 발견된 미주중앙일보건에 대해 말씀하시는 것이구요.
이 두가지는 완전 별개의 사안입니다.
제가 이번건에서 미주중앙일보 편집장께서 사과를 했다고 썼나요?
제 글을 다시 읽어보아도 그런 내용은 전혀 없는데요.
아마 제가 글을 좀 어렵게 써서 뭔가를 잘못 받아들이신듯 한데요, 정리를 해드리자면
해당 편집장님의 사과 -> 2008년에 있었던 일. 잘 해결됨
이번 미주 중앙일보건 -> 2010년 기사 실림, 2012년초 발견, 현재 아무 액션 없음
이렇게 완전 다른 사건이고 제게 조언을 주신 분들은 이번 미주 중앙일보건에 대한 말씀을 해주신겁니다.
제가 보기엔 저도 정신이 아직은 정상인것 같고 제게 조언을 주신 분들도 정상적인 조언을 주셨다고 봅니다.
금전적인 문제... 예, 원래 외주 저널리스트 원고료 얼마 되지 않으니 큰 피해라 할 수 없을겁니다.
다른 피해라.... 예, 그냥 기분 좀 나쁜거 말고 별로 없겠죠.
승소해도 얻을수 있는것 별로 없을겁니다.
거기에 들이는 비용과 시간을 생각하면 그냥 귀찮은 짓 하지 말고 좋은게 좋은거지 하고 넘어가는게 현명할지도 모르죠.
하지만 적어도 변호사 상담정도는 받아보는게 정신나간 사람이 하는짓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제글에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권규혁님을 두고 한말이라기 보다. 요즘 고소, 고발등의 단어가 너무 쉽게 사용되는거 같아
드린 말씀입니다.
legal action을 취할때는, 감정을 철저하게 배제한후 이성적인 판단을 하셔야 합니다.
윗 댓글중 저라면 일단 SUE 하고 봅니다. 라는 이런 댓글이 권규혁님에게 위안이 되실진 모르겠지만, 글쎄요.
차라리 현실적인 상황을 말하는게 옳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리고, 위의 케이스로 정말 고소를 하신다면, 변호사는 저런 case를 맡을 사람이 별로 없을겁니다. 뭘 위해 하겠나요?
미국에 사시는거 같으니 차라리 스몰크레임으로 본인의 정신적, 물질적 피해를 입증하시는게 더 현실성 있어보입니다.
혹은, 이번에 중앙일보에 다시 사과를 받으시고, 문서로 작성된 사과문도 함께 받으세요.
그안에 들어가는 내용은 권규혁님이 쓰시고, 다시 일어날시 어떻게 손해배상을 할지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하시구요.

언론사가 개인을 상대로 한 저작권 관련 고소나 개인이 언론사를 상대로 한 저작권 관련 고소나 동일합니다.
저작권 관련해서는 한국이든 미국이든 당연하고 저작권은 개인의 권리이고 이것이 침해되었다고 생각되면 누구나 고소가 가능합니다..
금전적인 피해를 입었다면 민사소송으로 이어지거나 합의로 이어집니다.
승소해서 얻는건 타인에게 빼앗긴 자신의 글에 대한 권리입니다..
그리고 고소나 소송의 승리로 인한 당장의 금전적인 이익이 아닌 앞으로 발생할지도 모를 금적전인 불이익을 막는것그것이 저작권과 관련한 소송의 이유입니다.
알아듣기 쉽게 설명했으니 이번엔 이해를 잘 하셨길 바랍니다.

기분이 좋을 답글은 아니었습니다. 물론 무조건 소송하고 본다, 일단 Sue하고 본다는
신수철님 답글은 존중받을 의견이지 제가 거기서 위안을 받을것은 아니죠.
현실적인 상황을 완전히 잘못 알고 말씀하시면서 저나 조언주신 분들이 정신갔다는 것처럼
이야기하시는 것이 좀 놀라웠습니다. 위 답글에도 말씀드렸듯이 편집장님의 사과를 받은 것은
이번 건이 아니라 완전 다른 사건이었습니다.
그런 경우가 과거에 있었다는 하나의 예를 든 것 뿐이죠.
저 역시 저런 일로 소송을 맡을 사람도 찾기 어려울 것이며 진짜 소송으로 이어진다 해도 제가 얻을 수 있는것은
실익보다는 상징적인 부분일 것입니다. 실제로 금전적으로는 오히려 손해를 볼 수도 있겠죠.
과거에도 비슷한 일들이 있었고 제 그림 그냥 가져다가 까페 (인터넷상의 동호회가 아니라 실제 건물짓고 식음료
판매하는) 메뉴판에 버젓이 집어넣은 곳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조그마한 권리침해가 계속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뭔가 조치를 취하는 것, 당장 조치를 취하지는
못하더라도 어떻게 하는것이 좋을지 알아보는 것은 제가 가진 권리라고 생각합니다.
미주 중앙일보네요...
권규혁님이 계신 곳과 같은 지역이시구요...
저라면 일단 SUE 하고 봅니다... 100% 이길만한 자료가 있으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