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아래 기사가 Fact 라는 전제하에 원문 그대로 게재합니다.
제가 현까이건 아니건 그건 중요한 게 아닌 거 같습니다.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 참 많은 걸 생각하게 되는 내용인 거 같습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8&aid=0002726593&viewType=pc
[머니투데이 안정준 기자][반파시 신차 교환 프로그램도 포함…프리미엄 이미지 제고 노려]
현대자동차가 중국시장에서 최고급 세단 에쿠스에 대해 '5년 무제한’ 무상보증 수리를 내걸고 판촉에 나섰다. 또 에쿠스와 제네시스 고객이 차량 반파에 가까운 사고를 당했을 때 신차를 무료로 교환해 주는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현대차가 국내 시장이나 해외 시장에서 기함급 모델에 무제한 무상보증을 적용하는 최초의 사례다. 이는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확산시키는 동시에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중국 자동차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에쿠스 '무상보증', 반파시 신차 교환도=
19일 현대차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법인인은 중국에서 에쿠스와 제네시스의 무상보증 수리기간을 각각 5년 무제한, 5년 10만km로 해주기로 결정했다. 또 올해 에쿠스와 제네시스를 구입한 고객이 1년 안에 차를 팔 경우 중고차 가격 보장률을 차량 원가의 80%로 쳐 주기로 했다. 2년과 3년에는 각각 65%, 45%의 보장률이 적용된다. 아울러 에쿠스와 제네시스 고객이 타인 과실의 사고를 당하고 수리 비용이 차량 가격의 30%를 넘을 경우 무상으로 차량을 교환해 주기로 했다.
◇프리미엄 이미지 제고 위한 포석=
현대차 관계자는 "중국에서 에쿠스와 제네시스에 대한 파격적 판촉에 나선 것은 현지에서 프리미엄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중국으로 전량 수출돼 왔던 에쿠스와 제네시스는 지난 3년(2009~2011년) 동안 누적 판매가 각각 1070대, 850대 수준으로 판매량이 그다지 많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 점유율이 10%에 육박한 상태에서 이제는 양보다 질로 승부해야 한다는 판단을 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 구축이 필수적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중국에서 에쿠스 최고급 트림인 '에쿠스 리무진'을 출시하며 프리미엄 마케팅에 돌입한 상태다. 이 같은 프로그램은 올해 점유율 10% 진입을 노리는 미국시장에서 적극적으로 시장공략에 나선 것과 맥락이 통하기도 한다. 현대차는 미국에서 지난 9일부터 업계 최초로 쏘나타 하이브리드의 배터리를 평생 교환해주는 보증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더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공급과잉 국면에 판촉 드라이브로 대응=
에쿠스와 제네시스에 대한 파격적 보증 프로그램은 올해 중국시장의 공급과잉에 대한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측면도 있다.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에 따르면 매년 전년대비 30% 이상 증가한 중국 승용차 판매는 올해 증가폭이 8.5%로 둔화된 뒤 내년에는 5.7%까지 내려갈 전망이다. 반면 현지 자동차업체들의 생산능력은 올해보다 35.6% 증가한다.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인하 등 경쟁 격화가 불가피한 셈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가 지난해 12월 중국법인장을 '영업 전문가'인 백효흠 사장으로 교체하고 새로운 판촉 프로그램으로 바짝 고삐를 죄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신차교환프로그램은 좀 그렇네요 분명 중국보다 우리나라에서 사는 에쿠스가 더욱 비쌀터인데.... 또 자국시장에서 나는 이윤으로 타국의 현지법인 마이너스 이윤을 메꿔주는 거네요..

제한거리야 중국내에서 1년에 2만 넘게 타는 경우는 수도 없이 많을 것 같으니 그렇다고 치고, 혹시 반파시에 교환해주는건 현금구매에도 적용되나요? 일부 차종에 대해 할부/리스일 때 국내에서도 해줬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쏘나타 하이브리드도 1년 이내 사고시 신차교환 서비스 지금도 하고 있으며 저도 구입시 혜택 받았습니다. 저는 현까도 현빠도 아니지만 미국에서의 하이브리드는 한국보다 훨씬 비쌉니다. 미국과 한국의 모든 하이브리드 가격과 연비 자료 만들어서 글 올리려고 했지만 테드 사이트의 게시판 파일 첨부가 안돼서 미루고 있습니다만 하이브리드 오너인데 이 기사보고 뚜껑 안열리던데요?^^
쏘나타 하이브리드 평생보증도 모터가 아닌 배터리에 한정되며 제가 계산한 자료로는 미국이 국내보다 세금제외한 순수 가격으로 400만원 비쌉니다. 배터리 어셈블리가 120~150만원이고 20만키로 넘는다고 무조건 갈아야 되는 소모품이 아닌데 저같으면 400만원 덜 주고 20만키로 보증 프로그램 선택하겠네요. 앞으로 쏘나타 하이브리드던 아반떼 하이브리드던 두 대 중의 하나는 20만키로 넘을 때까지 탈 예정인데 그때 경과보고 하겠습니다.
중국에서 에쿠스가 얼마인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그런 프로그램이 다 제품가격에 포함되어 있을 것이고 개인적으로 일본 메이커들이 선전해서 현대차와 국내시장에서 제대로 된 승부수를 펼쳐서 고객에게 이익이 되었으면 합니다.
P.S. 다른 글에서의 댓글 때문에 굳이 첨언하자면 김영석님의 과거 글과 어투를 보면 객관적인 시각에서 보려 하더라도 현까쪽에 가깝게 보일 수 있는 느낌이 상당히 듭니다. 제 글을 보시는 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현대도 깔 게 있으면 까고 칭찬할 것이 있으면 합니다. 다른 메이커도 마찬가지입니다. 글을 올리시면서 대우, 삼성도 까면서 현대를 깐다면 모르겠지만 굳이 현대만 언급하시니 다른 분들이 그런 인식을 가지시는 것 같습니다.^^

첫 차인 레조를 아직 운행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 쉐보레나 르노삼성에는 기대하는 바가 없습니다. 하지만, 현대기아차그룹(이하 현기차)은 자국기업이고 짧은 기간동안 높은 수준의 엔지니어링적인 발전을 이룩한 데 비해 서비스적인 부분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대가 큰 만큼 큰 실망에서 오는 반작용이 아닐까 생각되네요.
개인적으로는 현기차의 기술적인 부분에 대해 비판한 적은 많지 않은 거 같습니다. (제주에서 렌트했던 K5 의 MDPS 는 예외) 테드에선 그렇지 않았는지 모르겠지만 저 역시도 현기차의 엔지니어링적인 발전은 매우 높게 삽니다. (제가 그럴 주제는 안됩니다만) 르노삼성이나 쉐보레는 관심도 없다보니 칭찬은 물론 비판도 거의 안했던 거 같습니다. (사실과 다르다면 이 부분은 정정해야겠지만, 지금은 딱히 제가 두 업체를 칭찬했거나 비판한 기억은 없네요)
다른 분께서도 리플에 언급하신 것처럼 현기차는 시장 1위 업체인데다 자국기업이고 판매량에선 세계에서도 상위권에 속하는 걸로 압니다. 당연히 국민(소비자)로서 관심이 많을 수 밖에 없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기술적인 측면보다 가격을 포함한 서비스적인 측면에 관심을 갖을 수 밖에 없으니 현기차의 서비스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칭찬보단 비판이 많을 수 밖에 없다 생각합니다.
다른 분들이 현까라고 하는 건 상관 없습니다. 소비자로서 구매가치가 높은 상품을 조금 더 좋은 조건에 제대로 된 서비스를 받으며 구매하고 싶을 뿐이니까요. 다른 분들도 마찬가지겠지만 과거에도 그랬지만 앞으로도 쭉 저는 현기차의 잠재적인 소비자이기 때문입니다.
P.S) 쏘나타 하이브리드에 대한 비판은 정확한 사실 관계를 확인하지 않고 작성된 것이므로 자진 삭제했습니다. 오너분께 불편한 감정을 드렸다면 사과드립니다.

그만큼 중국 프리미엄 시장이 중요하다는 얘기겠죠.
당장은 출혈이 크더라도 중국시장 규모를 볼때 프리미엄급 시장에 현대라는 상표가 각인이 나중에 걷어들일 돈을 생각해보면충분히 해볼만한 일이라 생각됩니다.
다른 모제작사들처럼 100년전부터 차만들어서 프리미엄의 지위에 올랐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은 후발 주자입장에서 신규시장에서 저정도 배팅을 주저하면 그게 바보라 생각됩니다. (저런 프로그램을 한다해도 실제 그렇게 퍼주는 짓을 할 회사도 아니고요..)
기존의 북미시장과 중국시장은 여튼 국내여건과는 동일하게 볼수도 봐서도 안되는 시장이라 생각됩니다.
이 시장의 특징이 가진게 돈이요, 머리수라 여튼 자동차회사의 운영을 위한 판매볼륨확보를 위해서는 이 시장에 전력투구를 해야합니다. 이런 사정은 어느회사나 마찬가지이고, 각 제작사간 경쟁은 그만큼 치열하고 그들이 내놓는 조건들 역시 달콤하죠. 이름있고 여유있는 회사는 자국과 유사한 가격정책과 A/S정책을 가져갈테고(그런 회사가 있을까 싶긴합니다만..) 그렇지 못한 회사는 윗돌빼서 아랫돌 괴는수밖에 없죠. 미국과 중국을 제외한 다른 시장의 소비자들에겐 억울하고 짜증나는일이겠지만, 시장의 힘인걸 어쩌겠습니까?
HMC가 Big5에 드느니 어쩌니 해도 아직 갈길먼 신참입니다. 아랫돌과 윗돌바꾸는 짓이 아직까지는 불가피하게 저질러야 한 회사다보니 국내시장에서 눈에 띠는 메세지가 있기전까진 변화를 기대하긴 어렵다고 생각됩니다.
비싸다 어쩌다해도 국내시장에서 먹힐만한 차를 만드는 회사가 누구인지는 점유율이 얘기해주고 있고, 이걸 잘 알고 있는 제작사쪽에서 이런 혜택을 포기하려 할까요? 아마도 뽑아먹을 수 있는데까지 뽑아먹으려 하는게 기업의 속성이라 생각됩니다. 기업이 뭔가를 행하는건 이윤이 보이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그게 어떻게 포장되어있건간에 결국에는 시장에서의 이익과 지속가능성의 확보를 위해 움직이는게 기업이죠. 단지 방법의 차이와 얼마나 더 멀리보는가의 차이겠지만요.
이런점을 도저히 묵과할 수 없고, 소비자로서의 당연한 권리를 찾기 위해 적극적인 방법을 찾으신다면...
열심히 이런 얘기들이 공론화 되는 것도 해당 제작사에게 피드백으로 작용하겠습니다만, 가장 큰 피드백은 점유율입니다. 즉 그나마 살만한 차를 만드는 회사가 공교롭게도 HMC밖에 없다해도 확실한 시장의 메세지를 위해 구매하지 마십시요. 전 그게 제일 큰 메세지라 생각됩니다.
(안타깝게도 HMC와 KMC를 제외한 나머지 회사들이 이런 시장점유율의 변화를 위해 뭔가를 해줬으면 하는데, 언급할 꺼리도 별로 없는 미미한 상황인데다가, 슬금슬금 눈치보면서 선두가 하는 나쁜짓은 꼭 따라하고 있으니 아쉬울 따름입니다. 그나마 도요타정도 되는 회사가 눈엣가시가 되는 회사의 '본진'을 쳐보겠다고 무려 사장님까지 출동하셔서 가격경쟁력 무척 좋은 차를 런칭하고 있더군요. )

다른건 모르겠고 신차교환 프로그램은 보험입니다... 보험료가 차값에 포함되어 있겠죠...
예전(대략 2006년)에 제가 손해사정업체 근무당시 국내에서 크라이슬러가 저 제도를 운영했던걸로 기억합니다...
제가 몇대 처리했었거든요...
여담으로 국내 모 중고차 업체의 보증수리 제도도 보험 입니다...
예전에 gm대우에서 윈스톰, 토스카로 비슷한 프로그램을 진행한적이 있었어요.
http://blog.gm-korea.co.kr/198
차대차 사고시 신차 보상인데, 조건이 상대과실이라야 하고 수리비가 차값의 30%이상 등의 조건이 딸려있는것도 비슷하네요.
조건을 생각해보면 평생 한번 날까말까한 조건의 사고에다가, 보상받는 액수가 순수 새차만큼이 아니라, 새차가치-사고차량가치 차액만 보상받는 개념이어서 보상액도 큰편이 아닌거 같아요.
새차 보상이라하니 뭔가 그럴싸한 호감을 주는 싼 써비스가 아닐까 하는데.
저 가치가 보험상품으로는 얼마짜리일까요..

전세계가 중국공략에 열올리고있는마당에
자국민에겐 받을거다받아서 중국가서 헐값에 뿌리던말던 신경안쓰는데
자국민에게 받을거 다받고 파셨음
제발 안티현기가 더이상 안늘어나도록 불량난차량이나
제조과정에서 소비자가 어이없을정도의 원가절감질로인해 두번 눈물짓는짓은 안해줬음 합니다
중국에서 최고가격인 에쿠스 리모진이 125만RMB입니다. 기준환율로 2억2천4백만원이네요.
중국현지생산 520L이 42.86만RMB입니다. BMW는 현지생산인데도 불구하고 7680만원이네요. 참고로 국내에서는
에쿠스리모진이 1억4천9백만원으로 7천5백만원이나 비쌉니다. 수입관세가 25%를 감안해도 국내보다 비쌉니다.
BMW는 물론 롱버전이긴하지만 현지생산임에도 불구하고 대략 천만원이 비싸네요.
참고로 RMB가 상승추세이니 가격 차이는 더 날 전망입니다. 한 번 중국에 있는 쏘나타, 위에둥 현대기아 전차종 가격확인해 보시죠 모두 훨씬 비쌉니다.

네, 문정호님 말씀처럼 중국에서는 자동차 뿐만 아니라 웬만한 공업제품은 전부 다 욜로리 비쌉니다.
지금은 그래도 많이 저렴해진 편인데, 제가 처음 중국에 정착하기 시작했을 무렵에 어처구니없이 비싼 우리나라 자동차 가격에 까무러 쳤다가 황당한 독일차 가격엔 혼절할 뻔 했죠..쿠쿠.
모, 많이 깎아주긴 합니다만.. 아마 서민들은 삼대가 벌어도 수입차를 구입,유지하기가 쉽지 않을 겁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짝퉁' 이라는 제품이 있죠.
첨에는 도저히 이해불가인 짝퉁 제품들에 이해도 안되고 어떨땐 너무 어이없어 웃음만 나오곤 했지만.. 7년 넘게 살다보니 이제 조금은 이해가 됩니다.
아! 자꾸 쓸데없는 얘기가 길어지네요..ㅋ
암튼, 중국이라는 곳이 모라고 몇 마디로 판단하기 상당히(혹은 영원히..) 힘든 시장이라 현기차가 설사 한대 사면 한대 더 주는 기가막힌 써비스를 하더라도 별로 욕먹을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그래서 중국에서 사업하시는 분들은 '중국에선 되는 일도 없고 안되는 일도 없다!' 고 하나 봅니다..쿠쿠.
저 기사가 사실이라면 정말 파격적이네요.
공급과잉으로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중국 자동차 시장.... 이란 말이 먼저 눈에 들어오네요.
현기가 개인적으로 좋건 나쁘건 간에
소비자 입장에서는 시장 경쟁이 없으면 대접 못받는건 사실인듯 합니다.
더욱이 독점시장에서 ~소비자를 위해~, 고객을 위해~ 라는 말은 어불성설~ 이죠.^^
독점시장을 누가 만들었느냐.. 만들어 주었냐.. 달걀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 같은 논쟁이 될듯 하고요.
여튼 소비자로써 저런 뉴스에 상대적 상실감을 느껴야 하는게 참 맘 안좋네요.
그리고 타인에게 쉽게 '현까'니 '현빠'니 하는 얘기는 테드에서는 안들었으면 합니다.
남에게 들어서 그닥 좋은 감정이 드는 속어도 아니고...
본인에게 하는 말이면 상관없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