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오늘 모처에서 지인들과 스포츠주행회를 열고 왔습니다.
경험들이 별로 없는 분들이라
제가 그리 능력은 안되지만 초반에 택시 드라이버 역활을 했습니다.
오늘 주행을 했던 모빌의 상태는 등속이 교체되면서 abs에 문제가 생겨
없는 모델로 변신해 있었던 거죠 ^^;;
암튼 첫 동승객들의 체중합이 200 정도 되었습니다.
나름 경험자랍시고 첫주행부터 제가 낼수 있는 80%정도를 내서 달렸더랬죠.
전에도 주행했던 곳이라 걍 편하게 생각하고 풀브레이킹...
하지만 모빌은 쭈욱....
굉장히 당황스러웠지만 바로 정신차리고 제라인을 찾고 달렸죠 ^^
근데 이건 모든 코너에서 이정도?? 하면서 코너진입하는데 모든 코너에서
비슷한 상황을 연출...
그러다 어떤 코너에선 새옷입은지 3일 밖에 안된 모빌에 데미지를 입힐뻔도 했고요 ㅎㅎ
암튼 택시를 끝내고 혼자 복습을 하는데
무게 감량이 되었어도 좀 아슬아슬하더군요.
그래서 문제점을 하나하나 집어 봤죠.
우선 락이 왔을때 후처리에 늠흐 무관심했던 것같아
주행 내내 그부분을 보완하면서 펌핑을 해보니 제동도 예전같은 주행이 가능함을 느끼면서
그동안 아무생각이 abs가 커버해주는 것에 너무 익숙해졌었는지
왠만한 풀브레이킹시에도 원하는 제동과 자세제어에 많은 도움을 해준 것을
뼈져리게 느끼는 하루였네요 ^^
ps. 한편으로 황사가 얇게 깔리고 주행이 별로 없는 도로만큼 위험한 도로가
없겠다는 생각도 드는 하루이기도 합니다
경험들이 별로 없는 분들이라
제가 그리 능력은 안되지만 초반에 택시 드라이버 역활을 했습니다.
오늘 주행을 했던 모빌의 상태는 등속이 교체되면서 abs에 문제가 생겨
없는 모델로 변신해 있었던 거죠 ^^;;
암튼 첫 동승객들의 체중합이 200 정도 되었습니다.
나름 경험자랍시고 첫주행부터 제가 낼수 있는 80%정도를 내서 달렸더랬죠.
전에도 주행했던 곳이라 걍 편하게 생각하고 풀브레이킹...
하지만 모빌은 쭈욱....
굉장히 당황스러웠지만 바로 정신차리고 제라인을 찾고 달렸죠 ^^
근데 이건 모든 코너에서 이정도?? 하면서 코너진입하는데 모든 코너에서
비슷한 상황을 연출...
그러다 어떤 코너에선 새옷입은지 3일 밖에 안된 모빌에 데미지를 입힐뻔도 했고요 ㅎㅎ
암튼 택시를 끝내고 혼자 복습을 하는데
무게 감량이 되었어도 좀 아슬아슬하더군요.
그래서 문제점을 하나하나 집어 봤죠.
우선 락이 왔을때 후처리에 늠흐 무관심했던 것같아
주행 내내 그부분을 보완하면서 펌핑을 해보니 제동도 예전같은 주행이 가능함을 느끼면서
그동안 아무생각이 abs가 커버해주는 것에 너무 익숙해졌었는지
왠만한 풀브레이킹시에도 원하는 제동과 자세제어에 많은 도움을 해준 것을
뼈져리게 느끼는 하루였네요 ^^
ps. 한편으로 황사가 얇게 깔리고 주행이 별로 없는 도로만큼 위험한 도로가
없겠다는 생각도 드는 하루이기도 합니다
2008.04.15 01:30:05 (*.201.180.88)

abs가 없는차량의 코너전에 풀브레이킹은 그 박력이 이루말할 수 없을정도로 짜릿하죠~ 한계브레이킹시에서 언롹을 조절할 수 있는 발의 감각은 달구고 또 달구어 만드는 명인의 검 처럼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2008.04.15 02:00:51 (*.34.101.144)
얼마전 제 소형해치백에 6명이 타고-_- 산길을 달린적이 있는데, 노면이 극히 안좋은 내리막에서 브레이크를 밟으니 락이 걸리면서 쭈우욱 미끄러지더군요; 다들 비명지르며 경악했는데;;;
....요즘 들어 ABS는 꼭 있어야하겠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게다가 레이스에선 필수장비!
....요즘 들어 ABS는 꼭 있어야하겠다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게다가 레이스에선 필수장비!
2008.04.15 02:00:58 (*.121.187.236)

동일 모델 차량의 ABS 장착차량에서 ABS 휴즈를 제거하여 ABS를 끈 경우와 아예 ABS 옵션
을 제외하여 순정일때 부터 ABS 가 없는차를 비교해서 타보니 브레이크 밸런스가 차이가
나는것 같던데요...
을 제외하여 순정일때 부터 ABS 가 없는차를 비교해서 타보니 브레이크 밸런스가 차이가
나는것 같던데요...
2008.04.15 02:03:25 (*.173.166.174)

진우님 abs 있는 상태에서 나름 투피도 넣어두었죠..
근데 문제는 이게 abs전에 제동이 강화시켜논 덕에 더 쉽게 락이 걸리더군요 ㅜ.ㅜ
근데 문제는 이게 abs전에 제동이 강화시켜논 덕에 더 쉽게 락이 걸리더군요 ㅜ.ㅜ
2008.04.15 02:15:29 (*.180.242.208)
잘들어가셨는지요~~
검정엘리사 오너입니다~~
동문님 덕분에 재미난 서킷주행도 해보고
여러 좋은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도 주행시나 와인딩시 오버스티어 성향이 있어서
스핀에 주의해야겠구나..하고 주행했는데..
의도하지 않는 이상 정말로 오버스티어를 내기힘들더군요..^^;
오히려 CP점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악셀을 전개하니..
대박 언더가..ㅋㅋ
후반 막판 주행에서 브레이크 페이드현상은 좀 무서울 정도였습니다..
분진때문에 좀 소프트한 패드를 사용중이었는데..
패드 경화현상이 생각했던 것 보다 빨리 찾아오더군요..
브레이크 페달을 3/2이상 밟아도 락은 커녕 앞으로 전진~~^^;
안전운전하시고 담번에 또 뵙겠습니다~~
검정엘리사 오너입니다~~
동문님 덕분에 재미난 서킷주행도 해보고
여러 좋은 말씀 많이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공도 주행시나 와인딩시 오버스티어 성향이 있어서
스핀에 주의해야겠구나..하고 주행했는데..
의도하지 않는 이상 정말로 오버스티어를 내기힘들더군요..^^;
오히려 CP점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악셀을 전개하니..
대박 언더가..ㅋㅋ
후반 막판 주행에서 브레이크 페이드현상은 좀 무서울 정도였습니다..
분진때문에 좀 소프트한 패드를 사용중이었는데..
패드 경화현상이 생각했던 것 보다 빨리 찾아오더군요..
브레이크 페달을 3/2이상 밟아도 락은 커녕 앞으로 전진~~^^;
안전운전하시고 담번에 또 뵙겠습니다~~
2008.04.15 03:36:18 (*.140.129.130)

후...사견 입니다만...ABS라 해서 다른게(플라스틱쪽) 먼저 생각났네여...차 사이트에선 당연히 브레이크 시스템이라고 먼저 생각나야 합니다만;;;맨날 이쪽일 종사 하다보니...힝~~
2008.04.15 08:40:03 (*.62.199.245)

투스카니의 경우는 ABS가 들어가면서 8+9 텐덤 부스터가 들어갑니다. 제동력이 없는 것 보다 비교적 더 강화되는 측면도 있다고 생각하네요 ^^
2008.04.15 12:48:10 (*.133.138.117)

일단 ABS가 있는 차량은 스핀먹지 않는이상
타야 짱구는 안먹으니까요.. ㅎㅎ
그나저나 타야값 이번에 많이 올랐네요.. -0-
타야 짱구는 안먹으니까요.. ㅎㅎ
그나저나 타야값 이번에 많이 올랐네요.. -0-
2008.04.15 17:20:16 (*.127.196.187)
코너에서 ABS가 작동돼서 간떨어지는 경험을 몇번해서... 웬만하면 퓨즈 뽑아놓고 다니고 싶습니다만... 귀차니즘으로... ㅠㅠ
2008.04.15 21:51:19 (*.187.237.147)

진정한 드라이버라면 발로 ABS를 틀어야 하는것입니까.. - -;;; (수동.. 아니, 족동ABS라고... 이니셜디에서도 나왔던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