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M5, M3 등 차량의 중고 차를 알아볼 때는 꼭 바노스를 체크해보라는 말이 있는데요.
이 차량들 말고도 바노스가 장착된 BMW들이 수두룩히 많은데 왜 M5, M3 등에서만 이 바노스가 문제가 되는 것인가요?
혹은, 다른 일반 BMW에도 역시 바노스 불량이 고질적인 건데, 제가 잘 모르고 있었던 건지..

현대차에 VVT가 적용된지 9년, 듀얼 VVT가 적용된지 4년여가 흘렀는데 VVT 유닛에 별다른 유지보수가 필요한 것은 없고 일본차도 마찬가지인데 유독 BMW에서 VANOS가 문제되는 것은 기술력과 품질에 문제가 있다고밖에 볼 수 없겠더군요.
사업소에선 통으로 교체되기 때문에 수리비 많이나옵니다.
부품으로 오버홀이 가능하니까 그리걱정안하셔도 됩니다.
현대가 엔진더 잘만들죠. ^^

질문난에 올려야할글을 잘못올려서 board에 올렸는데, 회원님들 답변으로 궁금증이 많이 해결됐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부품 통으로 갈지말고 오버홀로 해결하라는 민경찬님 말씀은 큰 힘이 되는 군요 ^^
배지운님 말씀도 느낌상 공감이 갑니다.

VVT 기술이 적용되었던 투스카니 2.0 엔진의 경우 일정기간 주행후 오버홀을 하면서 VVT가 제 기능을 하지못하고있어 기능 자체를 죽이고 맵핑및 튜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형 엔진이니 요즘의 엔진과는 다르겠지만 개인적으로 BMW및 수입차들의 잔고장문제가 항상 화두가 되는건 수입차는 조그마한 고장이라도 발생하거나 발생할여지가 생기면 바로 경고등이 뜨기때문이 아닌가 싶네요. 반면에 국산차들이나 그런 민감한 경고기능이 없는 차종들은 사실 폐차할때까지 그게 제대로 작동하고있는건지 아닌지도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구요.
예전 국산차들은 운행기간이 길어질수록 연비가 많이 나빠졌죠.. 엔진및 산소센서쪽에 문제가 생겼는데 경고등이 안뜨니까 그냥 타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많았습니다.
물론 요즘 현대차 엔진은 정말 좋다는 부분은 저도 공감합니다..엔진만큼은 정말 최고수준..

vvt에는 OCV(Oil Control Valve)가 밸브타이밍의 진각/지각을 결정하는데 이게 문제가 되는 경우 밸브타이밍은 최지각에서 고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고 별도의 경고등이 들어오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고 최지각에서 고정되면 고회전에서 밸브 오버랩이 없으니 차가 둔하게 가속되겠죠. 만약 최진각에서 고정됐다면 지나친 오버랩으로 인해 공회전에서 하이캠 차량처럼 벅벅거릴텐데 그 역시 거의 보거나 들은 적이 없습니다.
투스카니뿐 아니라 그 이후 대부분의 차가 VVT가 달려있는데 일선정비에서 큰 이슈가 된 적은 없는 것 같습니다. 설사 고장이 난다 하더라도 오일교환을 안해서 OCV 내의 필터가 막힌다던지 하는 경우이고 VVT 단품이 고장나는 경우는 거의 없어서 부품가게에서도 구비가 안되어 있는 것으로 압니다. 보통 자주 고장나는 부품은 정비소 인근 부품가게에서도 구비를 해놓죠.
BMW 오너들이나 정비후기를 보면 유난히 MAF 센서라던가 바노스의 캠포지션센서라던가 하는 것이 잘 나가고 그로 인한 정비비 지출이 많은데 사실 센서류나 ABS 모듈같은 전기장치 고장이 좀 많은 것 같습니다. 국산차도 물론 이런 센서가 나가는 경우 당연히 경고등이 뜨는데 10만키로 탔다고 MAF 바꾸거나 하는 경우는 사실 흔치 않은 것 같더군요. 일본차도 마찬가지구요.
그리고 국산차가 갈수록 연비가 나빠진다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제가 타본 차들은 출고초기나 오랫동안 탔거나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그리고 보통 독일 3사나 현기에 들어가는 센서는 기본적으로 같은 회사에서 개발합니다. 엄밀하게는 생산은 좀 다릅니다만. 그리고 차도 에쿠스와 모닝이 있듯 센서도 스펙별로 차이 많이 납니다.
산소센서는 보통 오래되면 린 쉬프트 하므로 농후한 혼합기를 희박으로 판정해서 연료를 증량하는 쪽으로 보냅니다. 업자들은 통상 조건에서 10만 정도를 수명으로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M3,M5등의 고성능차량들의 운행조건이 다른 차량들에 비해 가혹한 조건이 많아서겟지요
서킷을 달리지 않더라도 해당 차량을 운전한 사람들은 대부분 그차량의 고성능을 즐겼을 가능성이 높고
그러다보니 일반적인 세단차량들에 비해 구동계쪽이 더 스트레스를 받았을거란 생각을 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