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오늘 볼트 스테빌라이져와 접지선들을 결국 걷어냈습니다.
생각해서 보내준 친구에겐 미안하지만, 막상 며칠 쓰다보니 제 성향과 맞지 않는 부분도 있었고, 부작용도 발생해서 결국 쓰레기통으로 들어가는군요.
일단 작업 후 밝아졌다고 생각했던 램프, 그리고 좋아졌다고 생각했던 오디오 음질은 플라시보 효과였구나 싶습니다. 별반 차이가 없는 듯 하고, 오디오는 며칠 전 제가 세팅을 살짝 건드린 탓이 아닌가 싶네요. 그리고 노이즈도 처음 작업했을 때와 달리 돌아다니며 라디오를 청취해 본 결과 별반 차이가 없었습니다.
원래 뉴프라이드가 최고출력은 6,000rpm에서, 최대토크는 4,500rpm에서 나오도록 되어 있는데 그 즈음되면 오히려 엑셀을 밟고 있어도 힘이 붙는다는 느낌이 없어지더군요. 오히려 최초 스타트부터 약 3,000rpm 정도의 구간까지 꾸준히 토크감이 늘어나다가 넘어서면서 확 떨어져버리니 정말 우울한 느낌이었습니다.
일상적인 주행에서는 저속, 저알피엠 구간에서 토크가 나와주면 운전은 더 편하겠지만, 제 취향은 올라가면서 쥐어짜내는 토크를 즐기는 타입이라 전혀 안맞는 세팅이 되는 것이죠.
결국 고속에서의 가속력까지 손해를 봐서 암만 풀엑셀로 엑셀 페달을 짓눌러봐도 눈에 띄게 가속력이 떨어져서 고속도로에서는 바로 스트레스가 되어 버리더군요. 정말 갓길에 세우고 쥐어 뜯어버리고 싶어지는 것을 겨우 참았습니다.
그리고 한 차례의 부조와 아이들시의 진동이 결정적인 탈거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없었던 아이들시의 잔진동으로 인해 계속 신경이 곤두서게 되더군요. 아무래도 알터네이터와 엔진블럭으로 연결된 접지선을 타고 알터네이터의 노이즈가 전달, 진동을 일으키는 듯 합니다.
안그래도 처음 접지 포인트를 잘못 알고 알터네이터의 접지선을 차체에 연결했다가 엄청 놀랐는데, 그것이 황남원님께서 지난 번에 댓글로 말씀하셨던 알터네이터의 노이즈 때문인가 보더군요. 결국 그 노이즈로 인한 진동이 엔진의 진동과 합쳐져서 더욱 큰 진동을 일으키고, 결국 한 차례 부조현상까지 일으켜버린 것이 아닌가 싶네요.
어찌됐든 볼트 스테빌라이져와 접지선들을 탈거하고 시운전해 본 결과 이전의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왔습니다. 진동도 사라졌고, 이전처럼 알피엠을 따라 꾸준히 올라가는 토크감에 역시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어정쩡한 무언가는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뉴프라이드 구입 후 갖가지 튜닝 유혹에 시달리면서도 초심을 잃지 말고 순정의 한계를 끌어내보고, 거기서 부족한 부분을 찾아 기초부터 차근차근, 천천히 해나가자고 했던 저의 생각이 별 희한한 것에 휘둘렸으니 아직 제가 철이 덜 들었나봅니다. ^^;
생각해서 보내준 친구에겐 미안하지만, 막상 며칠 쓰다보니 제 성향과 맞지 않는 부분도 있었고, 부작용도 발생해서 결국 쓰레기통으로 들어가는군요.
일단 작업 후 밝아졌다고 생각했던 램프, 그리고 좋아졌다고 생각했던 오디오 음질은 플라시보 효과였구나 싶습니다. 별반 차이가 없는 듯 하고, 오디오는 며칠 전 제가 세팅을 살짝 건드린 탓이 아닌가 싶네요. 그리고 노이즈도 처음 작업했을 때와 달리 돌아다니며 라디오를 청취해 본 결과 별반 차이가 없었습니다.
원래 뉴프라이드가 최고출력은 6,000rpm에서, 최대토크는 4,500rpm에서 나오도록 되어 있는데 그 즈음되면 오히려 엑셀을 밟고 있어도 힘이 붙는다는 느낌이 없어지더군요. 오히려 최초 스타트부터 약 3,000rpm 정도의 구간까지 꾸준히 토크감이 늘어나다가 넘어서면서 확 떨어져버리니 정말 우울한 느낌이었습니다.
일상적인 주행에서는 저속, 저알피엠 구간에서 토크가 나와주면 운전은 더 편하겠지만, 제 취향은 올라가면서 쥐어짜내는 토크를 즐기는 타입이라 전혀 안맞는 세팅이 되는 것이죠.
결국 고속에서의 가속력까지 손해를 봐서 암만 풀엑셀로 엑셀 페달을 짓눌러봐도 눈에 띄게 가속력이 떨어져서 고속도로에서는 바로 스트레스가 되어 버리더군요. 정말 갓길에 세우고 쥐어 뜯어버리고 싶어지는 것을 겨우 참았습니다.
그리고 한 차례의 부조와 아이들시의 진동이 결정적인 탈거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없었던 아이들시의 잔진동으로 인해 계속 신경이 곤두서게 되더군요. 아무래도 알터네이터와 엔진블럭으로 연결된 접지선을 타고 알터네이터의 노이즈가 전달, 진동을 일으키는 듯 합니다.
안그래도 처음 접지 포인트를 잘못 알고 알터네이터의 접지선을 차체에 연결했다가 엄청 놀랐는데, 그것이 황남원님께서 지난 번에 댓글로 말씀하셨던 알터네이터의 노이즈 때문인가 보더군요. 결국 그 노이즈로 인한 진동이 엔진의 진동과 합쳐져서 더욱 큰 진동을 일으키고, 결국 한 차례 부조현상까지 일으켜버린 것이 아닌가 싶네요.
어찌됐든 볼트 스테빌라이져와 접지선들을 탈거하고 시운전해 본 결과 이전의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왔습니다. 진동도 사라졌고, 이전처럼 알피엠을 따라 꾸준히 올라가는 토크감에 역시 확실히 검증되지 않은 어정쩡한 무언가는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뉴프라이드 구입 후 갖가지 튜닝 유혹에 시달리면서도 초심을 잃지 말고 순정의 한계를 끌어내보고, 거기서 부족한 부분을 찾아 기초부터 차근차근, 천천히 해나가자고 했던 저의 생각이 별 희한한 것에 휘둘렸으니 아직 제가 철이 덜 들었나봅니다. ^^;
2008.04.21 20:14:32 (*.64.142.163)

볼트스테빌라이져 탈거하셨군요.. 그때 전조등하고 오디오 음질이 좀 좋아졌다 라는글을보고
'플라시보 효과가아니길..'했는데.. 뭔가 접지 킷이라던지 그런것에 의한 향상등이
과학적 증거로 나와있는 물건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올라가는듯한 토크감은 진짜인지 아니면 내느낌인지도 많이 헷갈리고요..
고생하셨습니다 ^^
'플라시보 효과가아니길..'했는데.. 뭔가 접지 킷이라던지 그런것에 의한 향상등이
과학적 증거로 나와있는 물건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올라가는듯한 토크감은 진짜인지 아니면 내느낌인지도 많이 헷갈리고요..
고생하셨습니다 ^^
2008.04.21 20:14:47 (*.254.164.236)

혹 ECU초기화 해보셨나요? 저도 초기에 그러다가 초기화해주니 좋더군요..
근데 좋은점은 딱하나 아이들링시의 소리감소와 전체적인 진동감소 (제차를 타시는 어머니와 동생도 동의)
하지만!!!! 가속은 오히려 전만 못한거 같기도 하고요..
전장류의 불빛이 좋아진다거나 하는건 없는것 같습니다.. ^^
그래서 저도 걷어내기 일보직전..ㅡㅡ;;;
근데 좋은점은 딱하나 아이들링시의 소리감소와 전체적인 진동감소 (제차를 타시는 어머니와 동생도 동의)
하지만!!!! 가속은 오히려 전만 못한거 같기도 하고요..
전장류의 불빛이 좋아진다거나 하는건 없는것 같습니다.. ^^
그래서 저도 걷어내기 일보직전..ㅡㅡ;;;
2008.04.21 20:59:29 (*.133.138.117)

이나즈마eco를 테스트해본게 생각나는군요
2000rpm까지만 토크감이 상승하다가 떨어져 버립니다..
바로탈착.. -_-;;
지금은 hyper사용중인데
음질은 좋아집니다
출력과 연비는 무관하다는.. ㅋ
2000rpm까지만 토크감이 상승하다가 떨어져 버립니다..
바로탈착.. -_-;;
지금은 hyper사용중인데
음질은 좋아집니다
출력과 연비는 무관하다는.. ㅋ
2008.04.21 21:27:41 (*.143.37.160)
오래된 차량의 경우 접지는 분명 효과를 보았구요.( 12년된 엔터프라이즈 집에 한대 있습니다) 이나즈마의 경우 들쭉 날쭉의 볼트를 잡아주는데는 분명 효과있습니다. 허나 메이커에서 말하는 연비 향상등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되구료. 명근님 말씀대로 음질 또한 효과는 있구요. 얼마전 올라온 이나즈마의 허구? 에 관한 글은 국내 또는 해외의 쓰레기급 이나즈마들만의 문제이지 유명 메이커들과 나름 효과있고 전압 안정에 도움이 되는 제품은 하나도 열거되지 않았더군요..
2008.04.22 03:55:09 (*.99.144.116)

전 제 RX7에 카PC를 장착했었는데 카 PC가 참 여러가지로 말썽을 일으켰었지요... 시동 꺼트려 먹으면 같이 프리즈 되버린다던가, 라디오 문제 등등... 이나즈마 하이퍼 달구서 한방에 해결 했었습니다. 연비에 고생하던 찰라에 장착한 이나즈마 HG는 뭐... 거의 쓸모가 없었고, 비슷한 류인 탑퓨엘 파워네오를 병열 2개 (세븐은 연료연결선이 2개 입니다.) + 워터라인, 카타라직 까지 풀셋으로 연결하구서는 상황에 따라 50~100Km 정도 연비가 상승되서 감동했던 기억이 있네요. ^^
2008.04.22 04:48:20 (*.243.246.137)

핫이나즈마 Type-MR 을 달고있는데 이걸 떼어버려야 하나.. 잠시 생각했습니다..^^
뭐 몸으로 느껴지는 장/단점이 없는지라... 걍 전류 안정정치가 있다는 심리적 안정 정도로 만족해야겠네요.
뭐 몸으로 느껴지는 장/단점이 없는지라... 걍 전류 안정정치가 있다는 심리적 안정 정도로 만족해야겠네요.
2008.04.22 09:08:51 (*.104.184.54)

차에 따라서도 틀린 듯 하고, 제가 이름없는 이상한 제품을 쓴 것이 문제였는지도 모르죠. 일단 뜯어낸 김에 확인차 뜯어보니 내부 구성은 그 쪽에서 공개된 스펙대로 되어 있었습니다만, 만능기판 위에 얼기설기 납땜질 된 모습을 보고 뜯길 잘했지 싶더군요. ^^;
2008.04.22 09:37:00 (*.129.245.5)

저도 현재 제차에 핫이나즈마 MR이 달려있습니다. 제차가 워낙 오래된 차(1996년식)이다보니 체감적으로 오디오의 볼륨감은 나아진 편이고 제 터보타이머에 있는 볼트상태를 보니 확실히 나아졌습니다. 근데 제가 궁금한 것은 전기적인 노이즈가 물리적인 잔진동으로 변환된다는 것이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제가 하는 일이 플랜트의 설비최적화를 하는 일을 하다보니 자동차와 똑같다고 볼 수는 없지만 진동을 측정했을 때 접지문제로 인한 노이즈는 실제적인 물리적 진동과는 차이를 갖게 됩니다. 물론 이것의 해결방법도 접지를 향상시키는 방법이구요. 그리고 볼트 스테빌라이져의 경우는 필수적으로 ECU의 초기화가 필요하다고 저도 들었습니다.
2008.04.22 09:48:51 (*.104.184.54)

저도 이런 쪽에는 문외한이라 누가 좀 이해시켜주면 좋겠습니다만...... . 어쨌든 제가 몸으로 직접 느낀 것이긴 합니다만, 그게 왜 그런지는 지식이 짧아 이해를 못하고 있습니다. -_-;;;
그나마 가장 가까운 예로 골드문트 앰프의 접지얘기를 토대로 그런 것 아닌가 하고 이해하려고 노력중입니다. 골드문트 앰프는 앰프의 작동시 자체에서 발생되는 파장, 노이즈 등으로 인한 진동을 막기 위해 독특한 접지구조를 사용한다고 하더군요.
그나마 가장 가까운 예로 골드문트 앰프의 접지얘기를 토대로 그런 것 아닌가 하고 이해하려고 노력중입니다. 골드문트 앰프는 앰프의 작동시 자체에서 발생되는 파장, 노이즈 등으로 인한 진동을 막기 위해 독특한 접지구조를 사용한다고 하더군요.
2008.04.22 09:54:24 (*.104.184.54)

실제로 처음 접지선을 알터네이터에서 뽑아서 왼쪽 서스펜션 마운트 쪽의 순정 접지 포인트에 연결했을 때 느낀 진동은 어마어마했습니다. 마치 오래된 디젤트럭에 앉은 듯 차 전체가 떨더군요. 깜짝 놀라서 시동 바로 꺼버렸으니까요.
그래서 다시 이것저것 뽑아놓았던 자료들 중에 어딘가에서 봤던 뉴프의 접지 포인트들을 보니 엔진블럭에 연결하라고 되어 있어서 다시 엔진블럭에 연결했지만 역시 아이들시 계속해서 미미한 진동이 전해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어제 볼트 스테빌라이져부터 접지선까지 다시 다 걷어내고 난 후엔 그 미미한 진동도 사라졌더군요.
어찌되었던 간에 제 차에는 곧죽어도 안맞는 물건인 듯 하고, 다른 모든 것들이 그렇겠지만, 전장계통에는 함부로 뭘 건드리면 안된다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예전에 S-AFC로 인한 부조로 그렇게 고생을 해놓고도 또 이런 희한한(?) 것에 휘둘려서 참...... . T_T
그래서 다시 이것저것 뽑아놓았던 자료들 중에 어딘가에서 봤던 뉴프의 접지 포인트들을 보니 엔진블럭에 연결하라고 되어 있어서 다시 엔진블럭에 연결했지만 역시 아이들시 계속해서 미미한 진동이 전해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어제 볼트 스테빌라이져부터 접지선까지 다시 다 걷어내고 난 후엔 그 미미한 진동도 사라졌더군요.
어찌되었던 간에 제 차에는 곧죽어도 안맞는 물건인 듯 하고, 다른 모든 것들이 그렇겠지만, 전장계통에는 함부로 뭘 건드리면 안된다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예전에 S-AFC로 인한 부조로 그렇게 고생을 해놓고도 또 이런 희한한(?) 것에 휘둘려서 참...... . T_T
2008.04.22 10:45:35 (*.104.184.54)

오... 경찬님 그렇군요. 이 문제로 헤매이던 중에 어느 분의 블로그에 접지와 진동 얘기를 하시면서 골드문트 앰프 예를 드셨길래 그게 그건가 하고 있었습니다만... 역시 이런 쪽은 전문가분들의 다양한 견해를 들어도 제 지식이 미천한 관계로 뭐가 뭔지 이해가 어렵네요. ^^;
아무튼 결론적으로 제 차, 그리고 저한테는 맞지 않는 아이템이었고, 탈거 후 오히려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왔으니 제 스스로는 이것으로 고민을 마치려고 합니다. ^^;
아무튼 결론적으로 제 차, 그리고 저한테는 맞지 않는 아이템이었고, 탈거 후 오히려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왔으니 제 스스로는 이것으로 고민을 마치려고 합니다. ^^;
적든 많든 '긍정적인 효과'쪽으로 발휘가 되어야하는게 정상인데, 부작용이 나타난다는것은 제 상식으로는 이해가 힘드네요.... (단순히 컨덴서 몇개만 붙여도 말이죠......)
특히 오디오같은것은 1v 차이에도 음의 밀도가 많은 차이를 보이기때문에, 녹음실같은곳의 전원케이블도 몇십만원짜리고 쓰고있는 신세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