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항상 고급유를 먹이면서 다녔는데 장거리 갔다오다 잔량 측정에 신경을 안썼습니다
다행히 서울 시내에서, 목적지 근방에서 바닥을 쳐서 주유소 찾기는 쉬웠으나 눈에 보이는 건 S오일, 그것도 일반유만 판매하더라구요
그동안은 SK 직영의 주유소에서 고급유만을 넣었습니다
쨋든 S-Oil에서 기름 충전하고, 출발을 하는데.....
일반유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미사어구 필요없이 "정말 좋았습니다"
예전에 마스터님이 3대 정유사 고급유 비교시승 하신글을 봤었는데 "에이 설마~"라고 생각했지만..
고급유/일반유 구분은 저같은 "초짜"도 확 와 닿을 정도였습니다 ㅡ,.ㅡ;;
차 인수후 NA이니까 고급유따위.... 라고 생각하여 일반유 넣었다 바로 후회했을 정도로 "민감한"성향인데...
S-Oil 일반유는 구분이 거의 안되더라구요. 타사 고급유랑 느낌이 비슷했습니다
S-Oil의 일반유는 타사 고급유만큼의 옥탄가를 나타내는 것 같았습니다
지금까지 200~300원/L 더 지불하며 고급유를 넣은 보람이 확~사라지는 그런 슬픈....ㅠㅠ
정유사에서 고시를 잘못하는 건지 아님 S-Oil 일반유가 좋은건지....
집에서 좀 떨어진 곳에 S-Oil 고급유를 파는 곳이 있다는데..... 시간내서 함 가봐야겠습니다
일반유가 이정도 성능(?)을 보여주는데 고급유는 과연 얼마나 좋을지 기대됩니다
PS1 : 리퀴몰리 옥탄부스터 몇번 넣었는데.... 이래서 리퀴몰리 리퀴몰리 하는구나를 느꼈습니다
PS2 : 파워젯이라는 연료첨가제가 연비향상에 좋다는데, 정보 있으신분 계신가요?

각 정유사에서 "우리 옥탄가 이거 입니다" 하고 알리거나 했으면 좋은데 말이죠....
음... 워낙 사실이 아닌게 세상에 많아서 공개 한다해도 믿기가 어려울려나요? ㅎㅎ
넵 제 경험을 말씀드리면
타사 일반유 : 진동 증가/ 반응속도(리스폰스)하락 / 고속(후빨이라고들하지요)시 뭔가모를 답답함 / 연비 하락 등
S-Oil 일반유 : 진동/반응속도/고속 주행 / 연비 = 타사 고급유랑 비슷했습니다만 고작 15L주유한것이라 정확한 데이터는 아닙니다
타사 고급유 + 옥탄부스터 : 타사 고급유에 비해 진동, 반응속도, 고속주행, 연비 모든 것을 해결해주었습니다
확실히 진동이 줄어들고 반응속도가 눈에 띌정도로 와닿습니다. 또한 고속주행시...시원~시원합니다

지인이 S사 주유소를 하는데 일단 육안으로 확인해도 타사와 확연히 차별화 됩니다.
그리고 국가?에서 정기적으로 하는 검사가 있는데 모든 수치가 일반유임에도 타사 고급유 뺨칠 정도로 우월하게 나왔다더군요.
제 생각에는 s사 고급유 > 타사고급유 > s사일반유 > 타사 일반유 이런 순서가 아닐지..
(타사 중에서도 G사가 준수한 편이며 다른 S랑 O 주유소는 제일 나쁘다고들 하더군요)

우리나라도 (유럽은모르겠고) 북미처럼 옥탄가(라고 부르지만 사실 AKI) 별로 등급을 나눠놨으면 소비자에게 유리할텐데요

집주변에 S-oil이 두곳 있네요... 남태령가는길 하나랑 남부순환로 하나...
그 멀리까지 주유하러 가기도 그렇고... 할인카드도 없고... 그래서 패쓰~ 하게 되는군요.

일반유중에는 그나마 에스오일이 나을거라는 편견을 갖고 있습니다. 예전 쌍용정유 시절에 옥탄가 올리기 경쟁의 선두에서서 97까지 팔다가 정부에서 과다경쟁?이라며 막는 바람에... 그 이후론 어떤지 모르겠지만 타사기름이랑 안섞는다는 얘기도 있고. 당시엔 쌍용기름 넣다가 호남정유나 다른 주유소 기름 넣으면 차가 덜덜거리는게 확 티가 났었기도 했구요.
제차는 고급유만 넣어야하는 맵핑된 휘발유 터보차입니다.
제 주변엔 S-OIL이 전무하여.. 넣어볼려해도 넣을수도 없고...
SK와 GS 두가지 선택이 있는데... 둘다 직영셀프입니다.
쭉 GS만 넣다가 한번 SK 주유했다가 그이후로는 다신 안합니다.
기름넣고 나가서 대로변에서 밟는순간 뭔가 거칠고 이질적인 느낌 --;
아주 예민한 성격이 아닌데도 확연한 뭔가가 느껴지더군요...
그 이후엔 수개월간 GS 직영셀프에서 고급유만 넣고있습니다...

SK는 석유품질원에 직영주유소를 2번이나 신고 넣어보기도 했고, 지금도 아무리 기름이 바닥나도 집주변 SK 중 2곳은 절대로 안 갑니다... 그나마 지금까지 OK 캐쉬백 얼마 되지도 않는 것 아쉽다고 SK만 갔는데 그간 GS나 S-Oil을 넣을 때 느꼈던 그 다름이 제 착각만은 아니었던 것 이군요...

흠...역시 저는 무딘가 보네요.....
GS 고급이랑 SK 고급을 주로 넣는데......차이를 느껴보진 못했습니다....ㅠ.ㅜ
나름 느껴보려 직영도 넣어보고 저렴한곳도 넣어 봤는데......
여튼 요즘은 기름 색을 볼수 있는 인디케이터가 달린 SK 고급유 셀프로 넣고 있습니다.


저도 느낌으로 쫌 안다고 생각했는데 ... 0-100 이든 100-200 이든 측정해보기 전에는 그 느낌이 맞다고 확신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


에쓰오일 주유소를 가업으로 운영하기에 리플 달아봅니다 ^^;;
에쓰오일은 기존의 쌍용정유 (사우디 아람코와 쌍용 합작회사)에서 시작하여 지금은 70프로 정도 사우디 아람코사가 지분을 갖고 있기에 외국계기업입니다. 그러다 보니 사우디에서 원유를 공급받고 국내에서 정제하여 수출비율이 높은 회사 입니다. 송유관을 통해 저유소로 보낼때 다른 정유사와 물량 바꿔치기도 안합니다. 국내에서 후발정유 회사이다 보니 정유시설도 최신시설인편이라 품질에 있어 환경부 평가 6년째 최고등급을 받는거 같습니다. 보통휘발유의 경우 옥탄가 91~93 정도인데 에쓰오일 같은경우에는 옥탄가95~97정도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유소를 운영하기전에는 G사 셀프주유소를 이용했는데 렉서스 is 250차량이라 직분사 엔진을 감안하여 예전에는 G사 고급유를 쓰다 현재는 에쓰오일 일반유를 사용하는데 큰 차이가 없는 걸로 보아 물론 고급유보다 수준은 떨어지겠지만 어느정도 근접한 성능이 나오는거 같습니다. 현재 셀프주유소 리모델링 공사 하느라 G사 일반유를 잠시 쓰고 있는데 에쓰오일보다는 좀 부족하지만 S사나 O사보다는 훨 나은거 같습니다. S사나 O사의 경우 시동걸고 D레인지로 바꾸면 아이들링 rpm이 불안정해지면서 부르르 떠는 현상이 있어 되도록이면 안넣고 있습니다.
에쓰오일 일반유가 좋다는 얘긴 많이 들었는데, 반경 5km 이내에 에쓰오일이 없네요. 쩝.
지에스직영셀프에서 고급을 넣고 있는데 바닥치면 한번 넣어보고 싶습니다. -_-